DOI QR코드

DOI QR Code

대순진리회의 미륵사상 현황과 그 과제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Maitreya in the Context of Daesoon Jinrihoe

  • 김탁 (한국학대학원 )
  • Kim Tak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투고 : 2022.04.20
  • 심사 : 2022.09.14
  • 발행 : 2022.09.30

초록

대부분의 증산교단에서는 증산을 미륵불의 영체(靈體)나 화신(化身)으로 믿는다. 그런데 대순진리회에서는 미륵불의 운수가 5만년 동안 지속될 것이며, 미륵불상의 금(金)이 곧 후천 가을을 '상징'한다고 주장한다. 대순진리회의 금강산 토성수련도장에는 관촉사의 미륵불과 비슷한 모습의 미륵불상이 있는데, 금산사의 미륵불상과는 다른 '상징'을 보여준다. 금산사의 미륵불상이 증산과 그의 종통을 이은 정산이라는 두 인물을 상징하는 모심이라면 보다 보편적인 입장에서의 신행(信行)을 상징하는 미륵불상이 토성수련도장을 통해 제시된 것이다. 금산사의 미륵불상이 종통문제를 다룬다면 금강산 토성수련도장의 미륵불상은 민중구원과 도통군자의 출현을 예언하는 문제와 연결된다. 그리고 대순사상에 따르면 미륵불은 더 이상 가까운 장래에 오실 미래불이 아니라 이미 지상에 몸을 나투신 현재불이다. 증산이 이 땅에 내려오심으로 인해 미륵불의 현현이 실제로 이루어졌다는 믿음이다. 향후 증산의 천지공사를 구체적으로 사회에서 실행하고 실천하여 미륵신앙의 참된 신행이 이루어져 미륵불이 지향하는 이상사회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A majority of religious orders in Jeungsanism believe in Jeungsan as a spiritual entity or incarnation of Maitreya. However, Daesoon Jinrihoe insists that the destiny of Maitreya lasts for fifty-thousand years and the 'gold (金)' associated with the Maitreya icon (Geumsan-sa Temple) symbolizes the 'Later World.' A different Maitreya icon was produced for Daesoon Jinrihoe's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That icon of Maitreya looks similar to the one at Gwanchok-sa Temple. That is because the icon in Daesoon Jinrihoe has been formed in order to emphasize Maitreya as a symbol different from the one in Geumsan-sa Temple. If the Maitreya icon of Geumsan-sa Temple is a core that symbolizes two figures, Jeungsan and his successor, Jeongsan, who inherited his religious orthodoxy, then the Maitreya icon at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is a symbol that suggests faith and religious practice from a more conventional perspective. The Maitreya icon in Geumsan-sa Temple deals with issues of religious orthodoxy whereas the icon at Toseong is related to the prophecies on the redemption of people and the advent of Dao-empowered sages. According to Daesoon Thought, Maitreya is not just the future Buddha. He has already descended on the earth in modern times. Due to Jeungsan's descending on the earth, the incarnation of Maitreya has been accomplished as far as the Daesoon faith is concerned. Henceforth, the true practice of Maitreya reverence in the context of Daesoon Jinrihoe should be focused around a group of devotees who specifically practice Jeungsan's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n attempt to do so will enable the formation of the ideal world aimed upon by Maitreya.

키워드

참고문헌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도전님 훈시」, 「대순회보」 5,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6.
  4. 「증산천사공사기」 경성: 상생사, 1926.
  5. 「대순전경」 초판, 경성: 동화교회도장, 1929.
  6. 「증산도도전」 서울: 대원출판사, 1992.
  7. 「정감록」 경성: 한성도서주식회사, 1923.
  8. 「고려사(高麗史)」
  9. 「삼국사기(三國史記)」
  10. 「삼국유사(三國遺事)」
  11. 「성호사설(星湖僿說)」
  12. 「송사(宋史)」
  13. 「수서(隋書)」
  14. 「원사(元史)」
  15. 「위서(魏書)」
  16.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17. 김찬문.김태진, 「천지공사 실록 동곡비서」, 서울: 동곡서원, 1990.
  18. 고성훈, 「조선후기 민란의 전형: 미륵신앙과 정감록을 내세운 변란」, 「민란의 시대: 조선시대의 민란과 변란들」, 서울: 가람기획, 2004.
  19. 고성훈, 「정조년간 삼수부 역모사건의 추이와 성격」, 「사학연구」 90, 2008.
  20. 구사회, 「미륵사상과 강증산」, 「불교어문논집」 3, 1998.
  21. 김남희, 「증산교의 미륵신앙 수용과 전개과정」, 「한국불교학회」 61, 2011. http://uci.or.kr/G704-001245.2011..61.001
  22. 김방룡, 「금산사의 미륵신앙과 호국애민정신」, 「금산사와 호국불교」, 서울: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2021.
  23. 김삼룡, 「한국미륵신앙의 연구」, 서울: 동화출판공사, 1983.
  24. 김탁, 「조선의 예언사상」 상, 성남: 북코리아, 2016.
  25. 김탁, 「일제강점기의 예언사상」, 성남: 북코리아, 2019.
  26. 김홍철, 「한국신종교의 미륵신앙」, 「한국사상사학」 6, 1994.
  27. 대순진리회 교무부, 「상제님께서 금산사 미륵금불에 임어하시다」, 「대순회보」 69, 여주: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2007.
  28. 목정배, 「한국 미륵신앙의 역사성」, 「한국사상사학 6집: 미륵사상의 본질과 전개」, 서울: 서문문화사, 1994.
  29. 미쓰이시 젠키치, 「중국의 천년왕국」, 최진규 옮김, 서울: 고려원, 1993.
  30. 유병덕, 「계룡산하 종교집단체와 모악산하 종교집단체의 비교 연구」, 이리: 원광대학, 1968.
  31. 유병덕, 「일제시의 미륵하생신앙」, 「한국미륵사상연구」,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3.
  32. 안춘근, 「정감록집성」, 서울: 아세아문화사, 1973.
  33. 양백의(陽白衣), 「미륵신앙재중국적유전(彌勒信仰在中國的流轉)」, 「마한백제문화」 7, 1984.
  34. 윤미정, 「금강산 토성수련도장의 미륵불에 대한 예(禮)」, 「대순회보」 214, 여주: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2019.
  35. 윤재근, 「증산사상의 불교수용과 해석」, 「신종교연구」 23, 2010.
  36. 이능화, 「조선고대신교이행(朝鮮古代神敎已行)」, 「역주 조선불교통사6」,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37. 이병욱, 「한국불교에서 본 대순사상: 미륵사상과 삼교회통(조화)사상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5상, 2015. https://doi.org/10.25050/jdaos.2015.25.1.157
  38. 이봉호, 「전경에 나타난 '미륵'의 성격」, 「대순사상논총」 26,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6.0.45
  39. 이중성, 「천지개벽경」, 서울: 대도연수원 부설 용봉출판, 1992.
  40. 전경현, 「범증산종단사」 상.하, 서울: 해피로라, 2019.
  41. 정석종, 「조선후기사회변동연구」, 서울: 일조각, 1983.
  42. 「종단소식」, 「대순회보」 57,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97.
  43. 최종석, 「증산교에 나타난 불교적 요소: 미륵신앙의 수용을 중심으로」, 「선문화연구」 23, 2017.
  44. 최종성, 「무업(巫業)없는 무당: 개종상황에 놓인 조선의 무당들」, 「종교학연구」 32, 2014.
  45. 한승훈, 「조선후기 혁세적 민중종교운동 연구: 17세기 용녀부인 사건에서의 미륵신앙과 무속」,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46. 한승훈, 「미륵의 시대, 진인의 귀환: 조선후기 종교운동에 대한 '반란의 현상학'」, 「종교연구」 75, 2015. https://doi.org/10.21457/kars.75.2.201506.193
  47. 한승훈, 「미륵, 개벽, 요나오시: 동아시아 종교사에서의 위기와 혁세 인식」, 「종교와 문화」 40, 2021. https://doi.org/10.46263/RC.40.2.
  48. 홍범초, 「증산교개설」, 서울: 창문각, 1982.
  49. 홍범초, 「범증산교사」, 서울: 한누리, 1988.
  50. 홍범초, 「한국사상에 있어 미륵신앙과 그 사상적 구조」, 「한국사상사학」 6, 1994.
  51. Barend J. Ter Haar, 「중국 역사상의 민간종교운동: 백련교의 실체와 그 박해」, 송요후 옮김, 서울: 신서원, 2007.
  52. 미야타 노보루<宮田登>, 「미로쿠신앙의 연구」, 동경: 미래사, 1975.
  53. 《동아일보》1966년 3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