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Grievance-resolution for Women in Daesoon Thought: Focusing on Choi Song-sul-dang, a Female Writer from the Early 20th Century

대순사상의 여성 해원에 대한 연구 - 20세기초 여성 문인 최송설당을 중심으로 -

  • Lim Bo-youn (College of creative future talent, Daejin university)
  • Received : 2022.07.25
  • Accepted : 2022.09.14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is study is a novel attempt at a fusion of female-authored Chinese poetry and Daesoon Thought. Notably, this has style of fusion has never been attempted in classical literature studies or in studies on Daesoon Thought. This study will also clarify the the key concept of grievance-resolution (解冤 haewon) in Daesoon Jinrihoe through comparison with classical works. Choi Song-seoldang's poetry that was composed in the early 20th century, contemporaneous the emergence of Daesoon Thought, is analyzed here via the concepts of 'tranquility (平 pyeong)' and 'harmony (和 hwa)' under the framework of grievance-resolution for women. An effort is made to find a point of progression towards familial harmony (家和 gahwa) and Mutual Beneficence (相生 sangsaeng). Resentment (恨 han) from the perspective of a woman was expressed in her works such as Wang So-gun's Resentment (昭君怨 sogunwon), Self-Report (自述 Jasul), and An Original Rhyme of Song Seol-dang (松雪堂原韻 Song Seol-dang Won-un). Works such as Wishes on the First Day of New Year (元朝祝 wonjochuk) and A Spontaneous Poem (偶吟 Ueum) expressed the contents of wishing for familial peace. In the process of trying to resolve the grievances (冤 won) of her family, Song Seol-dang faced limitations, and felt resentment (恨 han) for her inability to become a man. She strived her whole life to embody 'tranquility' and 'harmony' as both are crucial components of achieving familial harmony. This thesis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terms of academic expansion via the convergence of literature and ideas. In terms of Daesoon Though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concepts and literature within a context of fusion because this goes beyond research that focuses only on theory or ideology. It is also meaningful to confirm aspects of Daesoon Thought through the life and culture of the still traditional early modern era and to reveal how it still has the present-day significance that transcends time.

이 연구는 그동안 고전문학에서도 시도되지 않았던 여성 한시와 대순사상의 융합 연구이자, 대순사상 분야에서도 시도되지 않았던 여성 한시와 대순사상의 융합 연구이다. 대순진리회에서 중요한 해원 사상을 고전 작품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는 시도였다. 대순사상의 출현과도 시대적 맥락을 같이 하는 20세기 초의 최송설당(崔松雪堂)의 한시 작품을, 여성 해원이라는 틀 위에서 '평(平)'과 '화(和)'의 개념으로 분석하여, 가화(家和)와 상생(相生)으로 나아가는 지점을 찾고자 했다. <왕소군의 원망(昭君怨)>, <자술(自述)>, <송설당원운(松雪堂原韻)> 등과 같은 작품에서 여자로서의 한(恨)이 표현되었다. <정월 초하루(元朝祝)>, <우음(偶吟)> 등과 같은 작품에서는 가족의 평안을 바라는 내용을 표현하고 있었다. 송설당은 가정의 '원(寃)'을 풀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남자가 되지 못한 '한(恨)'을 느끼며 한계에 부딪히기도 하였지만, 가화(家和)를 이루기 위해 '평(平)'과 '화(和)'를 중요하게 여기며 평생을 노력해온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문학과 사상의 융합이라는 학문적 확장의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순사상의 측면에서도 사상 자체에만 몰두한 연구에서 나아가 사상과 문학을 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전통시대의 삶과 문화 속에서도 대순사상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고, 이것이 고전에서 현대에 이르는 여전히 현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記夢」
  4. 張伯偉 編, 「朝鮮時代女性詩文集全編」 上.中.下, 南京: 鳳凰出版社, 2011.
  5. 김종순, 「「송설당집」의 문학사적 의의와 근대성」, 「한성어문학」 26, 2007.
  6. 정후수.신경숙.김종순 공역, 「송설당의 시와 가사」, 서울: 어진소리, 2004.
  7. 최송설당기념사업회 엮음, 「송설당집(I)」, 서울: 명상, 2005.
  8. 문선영, 「대순사상의 여성 이해와 그 현대적 의미」,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255
  9. 박마리아, 「에코페미니즘의 관점으로 본 대순진리회의 여성관」, 「신종교연구」 22, 2010. https://doi.org/10.22245/jkanr.2010.22.22.1
  10. 박민미.황희연.박용철, 「대순사상의 남녀평등이념과 여성성 재조명: 여성해원의 원리로 본 공덕과 실천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9,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9.0.209
  11. 이경원, 「대순사상과 여성: 21세기 남녀평등의 새로운 이념모색」, 「대순사상논총」 10, 2000.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0.10..018 https://doi.org/10..018
  12. 임보연, 「최송설당 한시의 소재(素材)를 통해본 자아 인식의 변화」, 김진영.연점숙 편, 「여성문화의 새로운 시각 10」, 서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13. 임보연, 「최송설당 영물시(詠物詩) 연구」, 「배달말」 69, 2021.
  14. 정나연, 「대순사상의 여성관 연구: 이념적 특징을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