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천간과 지지의 상조(相助)와 상극(相剋)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tual Aid and Mutual Contention of the Ten Celestial Stems and Twelve Earthly Branches

  • Woo Yeon-hwa (Dept. of Future Forecast Studies, Dongbang Culture University) ;
  • Kim Man-tae (Dept. of Future Forecast Studies, Dongbang Culture University)
  • 투고 : 2022.07.06
  • 심사 : 2022.09.14
  • 발행 : 2022.09.30

초록

빛과 어두움이 공존하는 것처럼 만물이 가진 두 가지 측면을 음양(陰陽)이라 한다. 초기의 음양 개념은 단순히 자연현상을 나타내는 표현에 불과하였으나 점차 우주 만물의 생성변화를 설명하는 중심개념이 되었다. 명리학(命理學) 또한 음양론을 기초로 하여 하늘과 땅을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로 나누어 이들의 상호관계를 살피는 것을 중요시한다. 본고는 주요 원전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천간과 지지의 상조(相助)와 상극(相剋) 관계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천간과 지지가 상조하는 개념에는 통근(通根)과 투간(透干)이 있다. 통근이란 천간에 있는 글자가 지지의 글자에 뿌리를 내렸다는 의미이며, 천간의 통근처(通根處)는 같은 오행의 삼합(三合)과 방합(方合)이 되는 지지이다. 통근력(通根力)을 보는 방법은 첫째, 통근한 자리로 보는데 일간(日干)은 월(月) > 일(日) >시(時> 년(年) 자리 순이며, 다른 천간은 월지>앉은 자리(천간의 바로 아래에 있는 지지 글자) > 가까운 자리(앉은 자리 좌우의 지지 글자) 순이다. 둘째, 통근한 지지 특성으로 보는데 록왕지(祿旺支)·장생지(長生支) > 여기(餘氣) >묘고(墓庫) 지지의 순이다. 투간(透干)은 통근과 그 주체가 바뀐 개념으로 지지의 기운이 천간에 발현된 것을 말하며, 지지에 감춰둔 오행이 밖으로 드러나서 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천간과 지지가 상극하는 개념에는 개두(蓋頭)와 절각(截脚)이 있다. 개두에 대하여 천간만을 위주로 보고 판단하는 시각과 천간이 지지를 극(剋)하는 관계로 보는 시각이 있어 다소 이견이 있지만 대다수는 천간이 지지를 극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개두의 상대 개념인 절각은 지지가 천간을 극하여 천간의 기운을 약화시키는 것으로서, 이 둘은 조화롭지 못한 명조(命造)를 만들 가능성이 크다.

As many perhaps already know, in East Asian thought there are two aspects of all things such as light and darkness coexist and are called Yin-Yang (陰陽). The initial concept of Yin-Yang was just a simple expression meant to depict natural phenomena, but it gradually became the central concept in explanations of creation and the changes that undergo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e study of the ordering principle of nature that was known as Myeongli (命理) also examine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sky and the earth and divided the two into Ten Celestial Stems (天干 cheongan) and the Twelve Earth Branches (地支 jiji) based on Yin-Yang theory. This thesis analyzed conten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n Celestial Stems and the Twelve Earth Branches in terms of the patterns of Mutual Aid (相助 sangjo) and Mutual Contention (相剋 sanggeuk)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exploration of their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Different categorized phenomena under the pattern of Mutual Aid include Tonggeun (通根 root downward) and Tugan (透干 appearance of the upward). Tonggeun means that signs in the Celestial Stems took root in their counterparts of the Earthly Branches. In the Celestial Stems, there is also Tonggeuncheo (通根處 a place to root downward) which in relation to the Earthly Branches show that the same five phases become Samhap (三合 combined three ways to gain power) and Banghap (方合 gathering in the same season). The methods of seeing Tonggeunryeok (通根力 power of a downward root) are as follows: First, it is seen by the places where Tonggeun takes hold. Ilgan (日干 the Celestial Stem of a birthday) is ordered as month (月 wol) > day (日 il) > hour (時 shi) > year (年 nyeon), and other Celestial Stems appear ordered as month > sitting > close place. Second, it can be seen by the characteristics of Earthly Branches that Tonggeun has taken hold. The Earthly Branches are ordered as Rokwangji (祿旺支 vigorous land) and Jangsaengji (長生支 newborn land) > Yeogi (餘氣 remaining energy) > Myogo (墓庫 storage and burial grounds). Tugan is the concept that the main agent was changed to Tonggeun, which means that the spirit of the Earthly Branches is manifested in the Celestial Stems. And the five phases hidden in the Earthly Branches will be able to play their roles as they are revealed. There are also the phenomena of Gaedu (蓋頭 the heavenly destroying the earthly) and Jeolgak (截脚 the earthly destroying the heavenly) which are concepts that convey that the Heavenly Stems and Earthly Branches can mutually destroy one another.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on Gaedu because some adopt viewpoints of just focusing on the Celestial Stems and considering it only in terms the Celestial Stems destroying the Earthly Branches. But, the vast majority of scholars think that the Celestial Stems weakens the role of the roots by destroying the Earthly Branches. Jeolgak, the reverse concept of Gaedu, weakens the spirit of the Celestial Stems as the Earthly Branches destroy them, and this is associated with the strong possibility that one is fated to experience disharmon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만태, 「한국사주명리연구」, 서울: 민속원, 2011.
  2. 김만태, 「정선명리학강론」, 서울: 지식의 통섭, 2022.
  3. 김만태, 「명리학의 한국적 수용 및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4. 김만태, 「명리원전 「명리정종(命理正宗)」에 함축된 병약(病藥)사상 고찰」, 「동양학」 67, 2017. http://dx.doi.org/10.17320/orient.2017..67.169
  5. 김미정, 「「자평진전(子平眞詮)」의 격국(格局)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http://uci.or.kr/I804:47004-200000017405
  6. 김준호, 「일간(日干) 중심의 용신(用神)과 「자평진전(子平眞詮)」의 격국용신(格局用神)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http://uci.or.kr/I804:47004-200000118520
  7. 송미규.김만태,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에 함축된 '정기신(精氣神)' 고찰: 임철초주(任鐵樵注)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90, 2021.
  8. 송지성, 「「명리정종(命理正宗)」 연구」, 공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9. 신기주, 「명리학의 중화적(中和的) 해석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10. 신영호, 「「명리약언(命理約言)」의 지명체계(知命體系)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11. 신육천, 「사주명리학대사전(四柱命理學大事典)」, 대구: 갑을당, 2013.
  12. 이호열, 「대순사상의 음양론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13. 정대붕, 「명리학에서 월지중심의 간명법과 격국운용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14. 최상길, 「뉴명리강론」, 서울: 파랑새미디어, 2022.
  15. 최찬주, 「명리학의 명(命)과 운(運)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16. 陳鼓應, 「老子註譯及評介」, 臺北: 中華書局, 1989.
  17. 徐樂吾, 「子平粹言」, 臺北: 武陵出版有限公司, 2010.
  18. 沈孝瞻 著.徐樂吾 評註, 「子平眞詮評註」, 臺北: 集文書局有限公司, 2014.
  19. 任鐵樵 增注.袁樹珊 撰輯, 「滴天隨闡微」, 臺北: 進源文化事業有限公司, 2012.
  20. 張楠, 「神峰通考命理正宗」, 臺北: 集文書局有限公司, 2016.
  21. 陳素庵, 韋千里 校輯, 「命理約言」, 臺北: 上海印書館,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