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tent Diversity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Authorized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Weight of an Object" Unit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 내용 다양성 분석 - '물체의 무게' 단원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2.04.25
  • Accepted : 2022.05.19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diversity of seven authorized science textbooks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concept description and the contents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weight of objects" unit. For each textbook, the flow of concept description content and the uniqueness of the concept description process were analyzed, and the number of nodes and links and words with high connections were determined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In addition, for the inquiry activities described in each textbook, the inquiry subject, inquiry type, science process skill, and uniqueness were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the authorized textbooks displayed no more diversity than expected in their scientific concept description method or their inquiry activity composition. The learning elements, inclusion of subconcepts, and central words were similar for each textbook. The comparison of inquiry activities showed similarities in their contents, inquiry types, and scientific process skills. Specifically, these textbooks did not introduce any research topics or experimental methods that were absent in previous textbooks.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authorized textbook system was developed based on the same curriculum, some efforts were made to make use of its strengths. Since the sequence of subconcepts to explain the core contents differed across textbooks, this explanation process was divided into several types, and although the contents of inquiry activities were the same, the materials for inquiry activities were shown differently for each textbook to improve and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the existing experiments. These findings necessitate the continuation of efforts to utilize the strengths of certified textbooks.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국정 교과서와 동 교육과정에 따라 2022년에 출판된 초등 과학과 검정 교과서 7종의 '물체의 무게' 단원에 진술된 과학 개념의 서술과 탐구활동 내용의 특징을 비교하여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의 내용 다양성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각 교과서의 설명텍스트에서 개념 서술 내용의 흐름, 개념 서술 과정에서의 특이점을 분석하였고,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으로 노드와 링크 수, 연결중심성이 높은 중심 단어를 분석 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에서 탐구활동 유형, 탐구과정기능 및 탐구 활동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검정 교과서에서는 과학 개념의 서술이나 탐구활동 내용 구성에서 다양성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 하위 개념의 포함 여부, 중심 단어 등이 교과서별로 유사하였다. 탐구활동을 비교하였을 때에도 탐구활동 내용과 탐구 유형, 탐구과정기능이 유사하였다. 특히 이전 교과서에서 제시되지 않았던 새로운 탐구활동 주제나 실험 방법을 도입한 경우는 없었다. 하지만 동일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검정 교과서 체제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노력들이 일부 시도되고 있었다. 핵심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하위 개념의 배치 순서가 교과서마다 달라 개념을 설명하는 과정이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탐구활동의 내용은 동일하였지만 기존 실험에서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해 탐구 활동 준비물이 교과서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검정 교과서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시도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한중, 송정미, 강석(2010).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이독성 연구. 초등과학교육, 29(2), 134-143.
  2. 김경한(2021). 교과교육 관점의 교과서 검.인정 기준 재구조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4), 747-763.
  3. 김세영(2017). 교과서의 대안적 모습 탐색. 통합교육과정 연구, 11(1), 115-142.
  4. 김종영, 하지훈, 임희준(2016). 5E 과학학습 과정 상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 2009 개정 초등과학교과서 삽화 분석: 3~4학년 지구과학 단원을 대상으로. 초등과학교육, 35(3), 305-315.
  5. 김지영, 한재은, 박종석(2012).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 II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928-937.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928
  6. 류지수, 전문기(2021). 과학교과서의 학년 간 언어적 특성 분석: 텍스트 정합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2), 71-82.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2.71
  7. 문영주(2020). 토픽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장공모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26(1), 217-242. https://doi.org/10.24159/JOEC.2020.26.1.217
  8. 박경진(2017).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의 학습목표 특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27(1), 17-35. https://doi.org/10.9722/JGTE.2017.27.1.17
  9. 박선미(2010). 사회과 교육과정 구조가 교과서 다양성에 미친 영향: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중학교 지리영역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3) 251-267. https://doi.org/10.17279/JKAGEE.2010.18.3.251
  10. 박주현, 권혁순(2007). 제7차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물질영역에 제시된 발문 분석. 초등과학교육, 26(5), 551-557.
  11. 박준형, 전영석(2014). 무게 단원 수업에서 겪는 교사와 학생의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295-301.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295
  12. 박준형, 전영석(2020). 초등학교에서 무게와 질량 단위도입의 문제에 대한 고찰. 새물리, 70(7), 603-612.
  13. 백남권, 서승조, 조태호, 김성규, 박강은, 이경화(2002). 제 6차와 제 7차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과 삽화의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21(1), 61-70.
  14. 서영진(2018). 국어 교과서 검정기준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청람어문교육, 67, 117-156.
  15. 신명환, 맹승호, 김찬종(2010). 초 중등 과학교과서 화산과 지진 관련 단원 글의 언어 구조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1(1), 36-50. https://doi.org/10.5467/JKESS.2010.31.1.036
  16. 임희준(2020). 초등학교의 무게 단원에 적용한 다차원적 관점의 참여 증진 수업 전략의 효과.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1), 87-97. https://doi.org/10.22368/KSECCE.2020.10.1.87
  17. 장기범(2014).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운동과 에너지 영역에 관한 과학 교수학습에서의 탐구활동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4(1), 35-42.
  18. 장경완(2020). 직업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16(2), 135-156. https://doi.org/10.18842/KLACES.2020.16.2.006
  19. 조현민, 황홍섭(2022). 검정교과서로 전환에 따른 초등사회과 교과서 비교분석: 3-4학년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61(1), 103-124.
  20. 천경록(2017). 초등 과학 교과서의 학습읽기 전략 실태와 개선 방안. 청람어문교육, 61(0), 33-58.
  21. 한창일(2016). 검정교과서 선정 시 초등 교사의 시선추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황서이, 황동열(2018).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예술경영 연구동향 분석. 예술경영연구, 48, 5-29.
  23. Chen, C., & Truscott, J. (2010). The effects of repetition and L1 lexicalization on incidental vocabulary acquisition. Applied Linguistics, 31(5), 693-713. https://doi.org/10.1093/applin/amq031
  24. Galili, I. (2001). Weight versus gravitational force: Histor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0), 1073-1093.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38585
  25. Galili, I., & Bar, V. (1997). Children's operational knowledge about weigh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3), 317-340. https://doi.org/10.1080/0950069970190305
  26. Kesidou, S., & Jo Ellen Roseman, J. E. (2002). How well do middle school science programs measure up? findings from project 2061's Curriculum Review.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522-549. https://doi.org/10.1002/tea.10035
  27. Priya, M. R., & Yadava, S. (2017).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 framework for analysis. International Education and Research Journal, 3(7), 3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