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amination of the Topics and Changes in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for the Topic Modeling Analysis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 기반의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한 '초등과학교육' 학술지 연구논문의 주제 및 변화

  • Chang, Jina (Seoul Seongil Elementary School) ;
  • Na, Jiyeon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22.01.20
  • Accepted : 2022.03.21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topics that have appeared in th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over the past 50 years to identify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was applied to 1,065 English abstracts from the first issue (1983) to 2021, from which 14 main topics were extracted. The meaning of each topic was then analyzed from its keywords and documents. Subsequently, to elucidate the topic trends, the topics' increase or decrease every three years was statistically examined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d support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의 지난 50년을 돌아보기 위하여, '초등과학교육'에 게재된 연구논문들이 어떤 주제로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창간호(1983)년부터 2021년까지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의 총 1,065개 영문초록들에 대하여 LDA 기반 토픽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LDA 분석 결과 총 14개의 토픽들이 추출되었으며, 핵심어 및 핵심 문서를 통해 각 토픽들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였다. 또한 시기별로 각 토픽들의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3년을 주기로 하여 토픽들의 평균 비중값 변화를 분석하고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 또는 감소한 토픽들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초등과학교육 연구 수행 및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가석현, 김찬종, 최승언(2019). 자동내용분석법(Automatic Content Analysis)을 통한 과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8년부터 2015년까지 8년간의 JRST, IJSE 연구논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7), 519-543.
  2. 강은미, 신동훈, 권용주(2006). 과학 지식 생성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가설 지식 생성 능력의 발달. 초등과학교육, 25(3), 257-270.
  3. 곽민호, 신윤주, 이진희(2019). 지구과학교육의 연구 동향: 데이터 마이닝 기법 잠재디리클레할당을 이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1311-1335.
  4. 권난주, 권혁재(2019). 과학체험학습에 관한 선행연구 및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다양한 과학체험학습장의 활용방안 모색. 초등과학교육, 38(1), 43-54.
  5. 권난주, 안재홍(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65
  6. 권도현, 권성기(2000). 초등학생의 부력 개념 형성과 인지 수준의 관계.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9(1), 131-143.
  7. 권영식, 이길재(2013). 과학과 미술 통합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뇌 활성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2(4), 567-580.
  8. 김민서, 여상인(2014). 초등 과학영재와 발명영재의 사고 양식 비교. 초등과학교육, 33(3), 558-565.
  9. 김성연(2020).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SIAM Journal on Applied Mathematics의 연구 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7), 607-615.
  10. 김영우(2021). Do it! 쉽게 배우는 R 텍스트마이닝. 서울: 이지퍼블리싱.
  11. 김장환, 신원섭, 신동훈(2018). 탐구형 초등과학수업 '호흡' 차시에서 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수행동 및 시각적 주의 분석. 초등과학교육, 37(2), 206-218.
  12. 김재영, 임채성, 백자연(2014). 뇌 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자유탐구에서 행동 영역 분석. 초등과학교육, 33(3), 579-587.
  13. 김찬종, 박현정(1997). 초등학교 학생들의 빛에 대한 개념과 달의 위상 변화 개념 사이의 관련성: 개념 생태학적 접근. 초등과학교육, 16(1), 173-187.
  14. 김한제, 정용재, 장명덕(2013). '어는점 내림'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설명 모형 제안. 초등과학교육, 32(2), 206-224.
  15. 김현주(1985). X선 회절법에 의한 석약의 광물학적 분석 연구. 초등과학교육, 3, 13-28.
  16. 김형욱, 송진웅(2020). 계량서지 정보 분석을 통한 과학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 동향 탐색. 교사교육연구, 59(3), 291-304. https://doi.org/10.15812/TER.59.3.202010.291
  17. 김혜원, 전영석(2021).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초등과학교육, 40(3), 283-294.
  18. 김희경(2007). 과학 교사의 전문성 계발 프로그램의 조건과 모형. 초등과학교육, 26(3), 295-308.
  19. 나지연, 윤혜경, 김미정(2015).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사용지도서 목표 간의 비교 분석-2009 개정 교육과정 3~4 학년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4(2), 183-193.
  20. 노금자, 김효남(1996). 과학적 상황과 일상적 상황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용해 개념. 초등과학교육, 15(2), 233-250.
  21. 문공주, 서경운, 강은희, 황요한(2020).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문제와 해결책에 관한 초등학생의 인식조사. 초등과학교육, 39(3), 399-411.
  22. 박종도(2019).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다문화 연구의 이슈 추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3(3), 273-289. https://doi.org/10.4275/KSLIS.2019.53.3.273
  23. 박종욱, 김도욱(1997).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화학실험 현상에 대한 추론유형과 증거중시태도와의 관계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16(1), 83-95.
  24. 박종호, 김재영, 배진호(2001).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0(2), 271-280.
  25. 박준형, 오효정(2017).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토픽모델링 기법 비교: LDA 와 HDP 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4), 235-258.
  26. 박지선, 송진웅(2016). 초등 교사의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에 대한 윤리적 민감성. 초등과학교육, 35(4), 416-425.
  27. 박지연, 이경호(2004). 과학개념변화 연구에서 학생의 개념에 대한 이해: 오개념에서 정신모형까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621-637.
  28. 박형민, 임채성(2021). E학습터 플랫폼을 활용한 원격 생물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40(1), 13-21.
  29. 배창호, 김정길, 김해경(2002). 초등학교 야외 지질학습현장 개발 및 활용방안. 초등과학교육, 21(2), 241-252.
  30. 백남권, 서승조, 조태호, 김성규, 박강은, 이경화(2002). 제6차와 제7차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과 삽화의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21(1), 61-70.
  31. 백영민(2020). R을 이용한 텍스트마이닝. 서울: 한울아카데미.
  32. 성혜진, 임희준(2018). 과학 탐구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7(4), 391-401.
  33. 손석락(1985). 유문등에 포획된 모기류의 계절적 발생 소장. 초등과학교육, 3, 3-12.
  34. 송진웅(1995). 과학교육 연구의 균형성을 위한 모형과 지수.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1-5.
  35. 신원섭, 박형민, 김남일(2021).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의 변천 과정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1983~2020년). 초등과학교육, 40(4), 545-555.
  36. 신현옥, 이기영, 김찬종(2005). 초등 과학 포트폴리오 평가와 다른 과학 평가 방법 간의 상관관계 분석. 초등과학교육, 24(3), 301-309.
  37. 심재호, 이양락, 김현경(2015). STEM, STEAM 교육과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이해와 해결 과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4), 709-723.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709
  38. 안재홍, 권난주(2015). 아나모픽 착시예술을 활용한 초등과학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34(2), 224-237.
  39. 여상인, 박창식, 임희준(2007). 한국과 미국 BSCS 초등과학 교과서의 삽화 비교. 초등과학교육, 26(4), 459-467.
  40. 여성희, 김희령, 김미경(2003).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학년 과학교과서의 과학 탐구 과정과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실태 분석. 생물교육, 31(3), 214-223.
  41. 오동주, 배진호, 박수홍(2016). 과학기반 심화융합영재 프로그램이 초등 과학영재의 창의적 사고활동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5(1), 13-25.
  42. 오세일(1994). 아동의 빛 개념 변화에 비치는 오개념 교정 수업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13(1), 51-79.
  43. 원용준, 최선영, 강호감(2002). 슬기로운 생활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창의력 계발. 초등과학교육, 21(1), 71-80.
  44. 위수민, 곽정실, 김현정, 조현준(2008). 초등학교 과학과 지질 단원 교수-학습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4), 420-436.
  45. 유경희, 신영준(2014). 체험형 환경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3(1), 69-81.
  46. 유혜경, 임희준(2014).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논증활동에서 증거의 유형 및 수준 분석. 초등과학교육, 33(1), 162-171.
  47. 윤진아, 서혜애(2016).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과학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문헌분석 대 사회네트워크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0(3), 353-366.
  48. 윤혜경(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49. 윤혜경(2011). 초등 예비교사의 자기 모델 탐구 과정과 과학적 모델에 대한 이해 변화. 초등과학교육, 30(3), 353-366.
  50. 이경란, 박종호, 백남권(2016). 초등학생의 빛의 성질 개념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의 개발. 초등과학교육, 35(3), 326-335.
  51. 이명제(2010). 과학적 소양 관련 논문에서 서술자의 종류와 빈도 특성 연구. 초등과학교육, 29(4), 401-413.
  52. 이병희, 이형철(2016). 플립드 러닝 (Flipped Learning) 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5(1), 78-88.
  53. 이봉우, 조헌국(2020). 상세 서지분석을 이용한 기후변화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2), 99-109. https://doi.org/10.22368/KSECCE.2020.10.2.99
  54. 이아람, 홍영식(2013). 한국초등과학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초등과학교육, 32(3), 260-268.
  55. 이인선, 박종원(2019). 과학 영재학생들의 과학탐구 포스터 작성을 위한 점검표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8(3), 426-438.
  56. 이형철, 이순자(2000). 부력 개념에 관한초등학교 교사들의 이해도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9(1), 145-156.
  57. 이혜정, 박국태, 권용주(2005a). 초등예비교사들의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인과적 의문의 사고 유형과 생성 과정. 초등과학교육, 24(3), 249-258.
  58. 이혜정, 양일호, 서형두, 정재구(2005b).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수업의 사회적 참여구조 유형. 초등과학교육, 24(2), 123-129.
  59. 임재근, 이소리, 양일호(2010). 과학적 실험과 공학적 실험에서 초등교사의 수업 과정 분석. 초등과학교육, 29(4), 515-525.
  60. 임현지, 최선영(2016). 초등과학영재의 정서지능과 성취목표지향성이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5(3), 316-325.
  61. 장병기 (2003). 초등과학교육 연구의 동향. 초등과학교육, 22(2), 192-199.
  62. 장은진, 권치순(2010). 과학과 탐구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자아 개념과 교수 불안. 초등과학교육, 29(2), 155-165.
  63. 장진아, 전영석(2010). 초등학생을 위한 자유 탐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생의 과학 탐구 기능 특성 및 지속적 피드백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9(2), 207-218.
  64. 전아름, 노석구, 박재근(2012). 반복되는 불일치 상황에 서 상황 제시 방법에 따라 초등학생들이 예상을 바꾸는 특성. 초등과학교육, 31(3), 298-310.
  65. 정성희, 천옥명, 강성주(2015). 미성취 영재를 위한 초등과학 개별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초등과학교육, 34(4), 394-405.
  66. 정정인, 한재영, 김용진, 백성혜, 송영욱(2007).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사용된 보조적 시각 자료의 분류 및 분석. 초등과학교육, 26(5), 525-534.
  67. 정진우, 송보용, 김효남(1994). 자연과 수업에서 Vee Diagram 의 적용에 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3(2), 177-193.
  68. 정하나, 전영석(2014). 초등학교 "물체의 속력" 단원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느끼는 교수, 학습 곤란도 분석. 초등과학교육, 33(1), 172-180.
  69. 조선형(1983). 소백산 륙괴의 부분적으로 조사작성한 지질도의 분석. 초등과학교육, 2, 3-12.
  70. 조헌국, 이봉우(2019). 상세 서지분석을 이용한 에너지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9(3), 241-251. https://doi.org/10.22368/KSECCE.2019.9.3.241
  71. 주은정, 김재근(2012). 생태적 소양 함양을 위한 토양 종자 은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초등과학교육, 31(3), 284-297.
  72. 차민경(2015). 국내 언론에 나타난 '예술경영'관련 이슈의 의미연결망 분석: 1990 년부터 2014 년까지 국내 일간지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29(2), 168-200. https://doi.org/10.16937/JCP.29.2.201508.168
  73. 차유미, 강훈식(2020). PCK 에 근거한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영재수업과 발명영재수업 구성과 실천의 특징 비교. 초등과학교육, 39(3), 338-352.
  74. 채동현, 임성만(2011). 반증-실험 모형을 이용한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개념 변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30(4), 524-534.
  75. 최은순, 노석구(2001). 마인드 맵 활용이 자연과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0(2), 281-291.
  76. 최재환, 이운환, 김애자(1993). 국민학교 아동의 지적발달 수준과 자연 교과서 내용과의 비교 연구. 초등과학교육, 12(2), 127-144.
  77. 최행숙, 백성혜(1999). 초등학교 과학실험 기구 조작 기능에 대한 관찰 평가 준거 개발-초등학교 화학 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18(1), 65-73.
  78. 최호성(2016). 한국 영재교육의 위기 현상 진단과 해결 방안. 영재교육연구, 26(3), 493-514. https://doi.org/10.9722/JGTE.2016.26.3.493
  79. 하지훈, 신영준(2014). 초등학생의 VARK 학습양식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33(4), 724-735.
  80. 한광래(2003). 메뚜기를 이용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관찰능력 조사. 초등과학교육, 22(1), 121-129.
  81. 한국연구재단(2021.11.20). 한국학술지인용색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학술지 인용정보. https://www.kci.go.kr/kciportal/po/search/poCitaView.kci?sereId=000311
  82. 한기순, 양태연(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2006 년도 연구물 분석.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83. 한영욱, 김대홍(2002). 귀국학생 지도를 위한 미국과 한국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내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21(1), 1-10.
  84. 황고은, 문신정(2017). 영상콘텐츠분야 정권별 빅데이터 분석: 상위 중심성 값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 콘텐츠학회 논문지, 18(5), 911-921.
  85. Arun, R., Suresh, V., Madhavan, C. V., & Murthy, M. N.(2010, June). On finding the natural number of topics wit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Some observations. In R. Arun, V. Suresh, C. E. Veni Madhavan & M. N. Narasimha Murthy (Eds.), Pacific-Asia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pp. 391-402). Berlin: Springer.
  86. Blei, D. M.(2012).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55(4), 77-84. https://doi.org/10.1145/2133806.2133826
  87. Blei, D. M., Ng, A. Y., & Jordan, M. I.(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Jan), 993-1022.
  88. Cao, J., Xia, T., Li, J., Zhang, Y., & Tang, S.(2009). A density-based method for adaptive LDA model selection. Neurocomputing, 72(7-9), 1775-1781. https://doi.org/10.1016/j.neucom.2008.06.011
  89. Chang, Y. H., Chang, C. Y., & Tseng, Y. H.(2010). Trends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 automatic content analysi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9(4), 315-331. https://doi.org/10.1007/s10956-009-9202-2
  90. De Jong, O.(2007). Trends in western science curricula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A bird's eye view. Journal of Baltic Science Education, 6(1). 15-22.
  91. DeBoer, G. E.(2000). Scientific literacy: Another look at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meanings and its relationship to science education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6), 582-601.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08)37:6<582::AID-TEA5>3.0.CO;2-L
  92. Deveaud, R. E., Eric, S., & Patrice, B.(2014). Accurate and effective latent concept modeling for ad hoc information retrieval. Document Numerique, 17(1), 61-84. https://doi.org/10.3166/dn.17.1.61-84
  93. Gatti, C. J., Brooks, J. D., & Nurre, S. G.(2015). A historical analysis of the field of OR/MS using topic models. arXiv.org, stat. ML. Retrieved from https://doi.org/10.48550/arXiv.1510.05154
  94. Griffiths, T. L., & Steyvers, M.(2004).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1(suppl 1), 5228-5235. https://doi.org/10.1073/pnas.0307752101
  95. Harlen, W.(2001). Primary science: Taking the plunge. How to teach science more effectively for ages 5 to 12. Heinemann, 361 Hanover Street, Portsmouth, NH 03801-3912.
  96. Keeley, P.(2009).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the K-12 system. Science and Children, 46(9), 8-9.
  97. Martin, D. J.(2012).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Cengage Learning. Belmont, CA: Wadsworth.
  98. Odden, T. O. B., Marin, A., & Rudolph, J. L.(2021). How has Science Education changed over the last 100 years? An analysi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cience Education, 105, 653-680. https://doi.org/10.1002/sce.21623
  99. Silge, J., & Robinson, D.(2017). Text mining with R: A tidy approach. California: O'Reilly Media, Inc.
  100. Steyvers, M., & Griffiths, T.(2007). Probabilistic topic models. In T. K. Landauer, D. S. McNamara, S. Dennis, W. Kintsch (Eds.), Handbook of latent semantic analysis (pp. 439-460). New York: Psychology Press.
  101. Wasserman, S., & Faust, K.(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