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 특성과 수용의도의 관계: 개인혁신성과 기술적 보안성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Mydata Service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Use: The Moderating Effects of Innovativeness and Technology Security

  • Changyong Sohn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yunsun Park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anghyun Kim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2.06.28
  • 심사 : 2022.09.21
  • 발행 : 2022.12.31

초록

데이터가 새로운 핵심자원으로 주목받으면서 마이데이터가 금융, 의료, 공공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지만 마이데이터 사용자의 행동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마이데이터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금융 분야를 대상으로 마이데이터 특성이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근거로 연구모형을 제안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개인을 대상으로 295부의 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AMOS 2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금융 마이데이터 특성으로 제안한 자기정보결정권, 금융 편의성, 개인화서비스는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가치는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개인혁신성과 기술적 보안성을 조절변수로 제안하여 변수 간의 관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개인혁신성은 자기정보결정권, 개인화서비스와 지각된 가치 간의 관계를 강화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적 보안성은 지각된 가치와 금융 마이데이터 수용의도 간의 관계를 강화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금융 마이데이터 사용자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고 개인의 혁신성 수준과 기술적 보안성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s data becomes a new core resource with high attention, MyData service is spreading to various fields such as finance, medical care, and the public sector. However, research on the behavior of MyData service user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MyData service traits on value perception and acceptable behavior particularly in the financial sector where MyData service is most active.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literature. 295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s and analyzed using AMOS 26.0 for hypothesis test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lf-information control, financial convenience, and personalized serv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that perceived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accept MyData service.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personal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sec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suggesting them as moderators. Results show that individual innovation was foun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self-information control and personalized service) and perceived value. Also, technological security was shown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accept financial MyData service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financial MyData service users an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innovation levels and technological secur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나영, 김지수, 손예원, 이정빈, 김민정 (2022). 금융소비자의 마이데이터에 대한 인식과 맞춤형 마이데이터서비스 이용을 위한 금융정보 제공의향.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8(1), 23-46.
  2. 금융위원회 (2021). 금융분야 마이데이터 서비스 가이드라인.
  3. 김상현, 박현선 (2013). 소셜커머스의 쇼핑 가치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소셜커머스 특성과 지각된 보안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12(2), 31-53. https://doi.org/10.9716/KITS.2013.12.2.031
  4. 김아름, 양혜경 (2021).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서비스의 지각된 가치 및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혁신성 및 혁신저항의 조절효과. Financial Planning Review, 14(2), 55-88. https://doi.org/10.36029/FPR.2021.05.14.2.55
  5. 김영대, 윤혜정, 김상진, 신용태 (2021). 지각된 가치와 신뢰가 마이데이터 서비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IT정책경영학회 논문지, 13(4), 2579-2585.
  6. 김재철 (2021). 로보어드바이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36(6), 145-168.
  7. 김종기, 김진성, 모건 (2012). 모바일 뱅킹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저항에 관한 연구-온라인 보안을 중심으로. 산업혁신연구, 28(2), 59-99. https://doi.org/10.22793/INDINN.2012.28.2.003
  8. 김형준, 정철호 (2008).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상품특성과 사용자특성이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21, 215-246.
  9. 노미진, 박현희 (2011). 유행혁신성과 정보혁신성에 따른 스마트의류 수용.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1(11), 350-363.
  10. 노현주 (2021). 금융 마이데이터 도입 현황과 시사점. 보험연구원.
  11. 박주희 (2020). 마이데이터 서비스 활성화의 법적 과제. 아주법학, 14(1), 96-119. https://doi.org/10.21589/AJLAW.2020.14.1.96
  12. 배재권 (2021). 마이데이터(MyData) 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도적 요인에 관한 연구. 로고스경영연구, 19(1), 117-132. https://doi.org/10.22724/LMR.2021.19.1.117
  13. 백한종, 김지영, 유영민, 신용태 (2019). 지각된 위험이 마이데이터 서비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IT정책경영학회 논문지, 11(4), 1287-1291.
  14. 신건권 (2011). HTS 사용자의 지각된 보안성이 사용자신뢰, 채택의도 및 실제사용도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25(4), 183-204.
  15. 심연숙 (2020). 마이데이터(MyData) 활용의 국내외 현황 및 활성화 방안. 문화기술의 융합, 6(4), 553-558. https://doi.org/10.17703/JCCT.2020.6.4.553
  16. 양경란, 박수경, 이봉규 (2021).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생태계 모델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9(11), 167-180. https://doi.org/10.14400/JDC.2021.19.11.167
  17. 이석호, 장항배 (2022). 정보보호 관점의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7(2), 137-152. https://doi.org/10.7838/JSEBS.2022.27.2.137
  18. 이종섭, 최재섭, 최정일 (2022). 오픈뱅킹 기반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21(1), 1-19. https://doi.org/10.9716/KITS.2022.21.1.001
  19. 이주희 (2022). 금융 마이데이터의 전략적 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20(3), 181-189. https://doi.org/10.14400/JDC.2022.20.3.181
  20. 이진명 (2018).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네트워크 외부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29(4), 139-152.
  21.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19). 마이데이터 서비스 안내서.
  22. 한준형, 강성배, 문태수 (2013). 스마트폰의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사용의도 그리고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3(4), 53-84.
  23. 4차산업혁명위원회 (2021). 마이데이터 발전 종합정책.
  24. Agarwal, R., & Prasad, J. (1998).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Research, 9(2), 204-215.
  25. Fornell, C., & Larcker, D. F. (1981).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3), 382-388.
  26. Ho, S., & Ko, Y. (2008). Effects of self-service technology on customer value and customer readiness: The case of internet banking. Internet Research, 18(4), 427-446. https://doi.org/10.1108/10662240810897826
  27. Hwang, I. H., & Kim, S. H. (2019). Information security of organization and employees in social exchange perspective: Using structure-conduct-outcome framework.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8(4), 105-129. https://doi.org/10.5859/KAIS.2019.28.4.105
  28. Kalakota, R., & Whinston, A. B. (1997). Electronic commerce-A manager's guide. Massachusetts: Addison-Wesley Longman.
  29. Kim, H., Chan, H., & Gupta, S. (2007). Value-based adoption of mobile internet: An empirical investigation. Decision Support Systems, 43, 111-126. https://doi.org/10.1016/j.dss.2005.05.009
  30.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31. Rey-Ares, L., Fernandez-Lopez, S., Castro-Gonzalez, S., & Rodeiro-Pazos, D. (2021). Does self-control constitute a driver of millennials' financial behaviors and attitudes? Journal of Behavioral and Experimental Economics, 93, 101702.
  32. Rogers, E. (1995). Diffusion of innovations. The Free Press, NY.
  33. Schillewaert, N., Ahearne, M. J., Frambach, R. T., & Moenaert, R. K. (2005). The adop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sales force.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4(4), 323-336. https://doi.org/10.1016/j.indmarman.2004.09.013
  34.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https://doi.org/10.1016/0148-2963(91)90050-8
  35. Suh, B., & Han, I. (2003). The impact of customer trust and perception of security control on the acceptance of electronic commerce.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7(3), 135-161.
  36. Sweeney, J. C., & Soutar, G. N. (2001).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Journal of Retailing, 77, 203-220. https://doi.org/10.1016/S0022-4359(01)00041-0
  37. Wixom, B. H., & Watsom, H. J. (2001).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data warehousing success. MIS Quarterly, 25(1), 17-41. https://doi.org/10.2307/3250957
  38. Yang, H., Yu, J., Zo, H., & Choi, M. (2016). User acceptance of wearable devices: An extended perspective of perceived value. Telematics and Informatics, 33(2), 256-269. https://doi.org/10.1016/j.tele.2015.08.007
  39. Zeithaml, V. A. (198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52(3), 2-22. https://doi.org/10.1177/0022242988052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