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콜센터 상담원의 기술 스트레스 현상 분석: 디지털그림자노동과 조직시민행동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echnology Stress of Call Center Employees: Focusing on Digital Shadow Work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이병훈 (대구대학교 경영학부) ;
  • 고준 (전남대학교 경영학부)
  • Byeong Hoon Lee (Daegu University,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 Joon Koh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투고 : 2022.10.22
  • 심사 : 2022.10.31
  • 발행 : 2022.12.31

초록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하고 있는 AI와 빅데이터, 메타버스, 사물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기술들의 발전과 함께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의 발전은 기업과 소비자에게도 큰 발전과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지속적 발전하고 있는 RPA의 현장 중에서도 조직 내의 인간과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으로 연결된 분야인 콜센터의 상담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복합적인 첨단 시스템과 전문운영집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콜센터 서비스영역은 이제 인공지능이 상담을 진행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이런 변화와 함께 RPA 조직 내에서 조직원들의 기술적 스트레스와 그 해결방안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보이지 않는 수고'로 표현되는 디지털그림자노동(Digital Shadow Work; DSW)과 '직무 외 조직에 도움이 되는 행위'인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을 연구의 핵심으로 고려하여, RPA의 진화에 따른 기술 스트레스와 그 해결방안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심리적 기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DSW의 개념을 조직 내부와 조직 구성원에 대한 적용으로 확장한다는 점에서 연구적 공헌점이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AI and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metaverse, and the Internet of Things, 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 has brought great development and change to companies. Among these realistic industrial areas by RPA, the call center service area, which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complex high-tech systems and professional operation groups, has now reached the stage where AI is conducting counseling. The evolution of this digital transform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direction of change in the digital-related industry sector. Along with these changes,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technical stres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ithin the RPA organization and their solutions. In this study, the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mechanisms were presented as Digital Shadow Work (DSW), expressed as 'unpaid work',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which is 'an act that helps organizations other than their duties'. This study theoretically contributes to the extension of the DSW concept to the organizational member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3A2A0208980).

참고문헌

  1. 간호두, 이정훈, 김동호 (2010). 콜센터 상담원의 직무 만족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이동통신사의 사례를 통한 실증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5(2), 107-135.
  2. 김은정 (2017). 한국의 사회학 연구영역에서의 근거이론의 활용 방법과 전개, 그리고 향후 방향의 모색. 한국 사회학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51(3), 37-70.
  3. 김창중 (2011). 변혁적 리더십, 열정, 성취 구, 혁신행동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4. 김효근, 이현주, 문윤지 (2003). 한국경영 현상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의 재고: 질적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Korea Business Review, 6(2), 47-66.
  5. 박상철 (2019). 그림자노동 차원에서 본 IT 사용자의 비밀번호 변경 행동연구. 정보시스템연구, 28(2), 93-107.
  6. 박상철, 류성열 (2020). 맥도날디제이션 관점에서 본 SST 사용자의 그림자 노동.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0(1), 99-115.
  7. 박상철, 이웅규 (2017). 근거이론을 활용한 멀티채널 사용자의 크로스오버 쇼핑 행동 이해. Information Systems Review, 19(3), 179-199. https://doi.org/10.14329/isr.2017.19.3.179
  8. 박상철, 이웅규 (2019). 문헌 고찰을 위한 근거이론 방법의 활용: 디지털 환경에서의 그림자 노동 개념 도출. 지식경영연구, 20(2), 185-187.
  9. 박상철, 이웅규, 고준, 류성열 (2020). 디지털 기술환경에서의 그림자 노동 메커니즘 규명 연구. 경영학연구, 49(1), 31-50.
  10. 백성식, 김우제 (2021). RPA에서의 SLA 지표연구.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한국정보기술학회 6월), 126-130.
  11. 성병욱, 박상철, 고준 (2021). 무엇이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일정을 지연시키는가? 지식경영연구, 22(1), 1-19. https://doi.org/10.15813/KMR.2021.22.1.001
  12. 소영현 (2017). 그림자 노동의 (재)발견: 자본과 노동의 성적분할과 계급 위계-식민지기 '남의 집살이' 여성의 노동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 여성연구원, 56(2), 47-74.
  13. 이성경, 박상철, 서은희, 고준 (2020). 원격의료 서비스 실행과정에서의 이해관계자 이슈 분석: 근거이론 접근. 지식경영연구, 21(4), 1-19. https://doi.org/10.15813/KMR.2020.21.4.001
  14. 이수연 (2020). 주52시간제 도입에 따른 변화된 업무강도와 자기 주도 직무설계에 대한 연구: 조직 및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5. 이영진 (2013). 병원 행정 종사자의 조직 공정성 인식이 병원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 신뢰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16. 이웅규 (2015). 비사용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론. 정보시스템 연구, 24(3), 155-169.
  17. 이인석, 김재열 (2022). 대학행정직원 중간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대학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조직시민행동의 매개역할. 관리회계연구, 22(2), 79-105.
  18. 장현용, 박상철, 고준 (2020). 온라인 교육 수용 환경에서 시니어들의 디지털 행동 이해: 근거이론 적용. 지식경영연구, 21(2), 77-100. https://doi.org/10.15813/KMR.2020.21.2.005
  19. 조성현 (2020).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원시를 사례로.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20. 최귀순 (2005). Strauss와 Glaser의 근거이론 방법론 비교. 정신간호학회지, 14(1), 82-90.
  21. 현영섭 (2022). 비대면 평생학습에서 성인 학습자가 경험한 디지털 그림자노동의 요소와 유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18(1), 1-35.
  22. Bateman, T. S., & Organ, D. W. (1983). Job satisfaction and the good soldier: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employee citizenship.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4), 587-595. https://doi.org/10.2307/255908
  23. Borman, W. C., & Motowidlo, S. J. (1997).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ontextual performance. Human Performance, 10(2), 67-70.
  24. Farh, J. L., Cannella, A. A., & Lee, C. (2006). Approaches to scale development in Chinese management research. Management and Organization Review, 2(3), 301-318. https://doi.org/10.1111/j.1740-8784.2006.00055.x
  25. Illich, I. (1981). Shadow work. Salem, New Hampshire and London: Marion Boyars.
  26. Katz, D. (1964). The motivational basis of organizational behavior. Behavioral Science, 9(2), 131-146. https://doi.org/10.1002/bs.3830090206
  27. Lambert, C. (2015). Shadow work: The unpaid, unseen jobs that fill your day. Berkeley, CA. Counterpoint.
  28. MacKenzie, S. B., Podsakoff, P. M., & Fetter, R. (1991).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bjective productivity as determinants of managerial evaluations of salespersons' performan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1), 123-150.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37-T
  29. Marshall, C., & Rossman, G. B. (1989).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
  30. Moorman, R. H., & Blakely, G. L. (1995). Individualism-collectivism as an individual difference predictor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6, 127-142. https://doi.org/10.1002/job.4030160204
  31. Muchinsky, P. M. (2004). When the psychometrics of test development meets organizational realiti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organizational change, examples, and recommendations. Personnel Psychology, 57(1), 175-209.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4.tb02488.x
  32. Organ, D. W. (1988).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Books/D.C. Heath and Com, Lexington, MA.
  33. Organ, D. W. (1997).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s construct clean-up time. Human Performance, 10(2), 85-97. https://doi.org/10.1207/s15327043hup1002_2
  34. Podsakoff, P. M., MacKenzie, S. B., Paine, J. B., & Bachrach, D. G. (2000).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 critical review of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literatur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nagement, 26(3), 513-563.
  35. Schappe, S. P. (1998).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fairness perception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Journal of Psychology Interdisciplinary & Applied, 132(3), 277-290. https://doi.org/10.1080/00223989809599167
  36. Schnake, M. (1991). Organizational citizenship: A review, proposed model, and research agenda. Human Relations, 44(7), 735-759.
  37. Smith, C. A., Organ, D. W., & Near, J. P. (1983).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s nature and anteced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8(8), 655-663.
  38. Strauss, A. L.,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 and techniques. London: Sage.
  39. Strauss, A. L., & Corbin, J. M. (1998).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 overview. N. K. Denzin & Y. S. Lincoln (Eds.), Strategies of quality inquiry. London: Sage.
  40. Van Dyne, L. N., Graham, J. W., & Dienesch, R. M. (1994).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truct re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4), 765-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