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aze and Gender Dynamics of Portrait of a Lady on Fire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의 시선과 젠더의 동학

  • Kwon, Eunsun (Dept. of Theater & Film, Joongbu University)
  • 권은선 (중부대학교 연극영화학전공)
  • Received : 2022.04.30
  • Accepted : 2022.05.09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Céline Sciamma is a leading female director of her time. She is constantly making works on the subject of women. It can be said that it has pioneered a 'female narrative'. In particular, it shows a unique perspective in dealing with the complexities surrounding the formation of a girl's sexual identity and the influence of peer culture on individuals. In Portrait of a Lady on Fire, 'The Handmaiden', 'The Painter', and 'The Maid' show the solidarity of women without hierarchies in a liberated space where the patriarch is absent, showing a feminist interpretation of classics and a self-reflecting consciousness of women's historical records. Based on the setting of drawing, this film explores the genderization of gaze, gaze and objectification, issues of seeing and power, etc. construc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visual arts. The portrait work of Heloise and Marianne in the film deconstructs the formula of 'a male painter as a viewer and a female model who gazes at herself through the male gaze' and turns the gaze into an interactive process of giving and receiving. The process of exchanging gazes is sealed with a nude painting in which Marianne's face is superimposed on Heloise's body. This overturns the nude painting as the dominant form of engraving the male audience's position in the image through the stylization of the viewing method in the history of Western painting with the erotic gaze of a lesbian in an instant.

셀린 시아마는 동시대를 대표하는 여성감독이다. 그녀는 꾸준히 여성에 관한 주제로 작품을 만들고 있으며, '여성서사'를 개척해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성장기 소녀의 성적 정체성 형성을 둘러싼 복잡성과 또래 문화가 개인들에게 미치는 영향들을 다루는 데 있어 독보적인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에서 감독은 가부장이 부재하는 해방된 공간에서 '아가씨', '화가', '하녀' 간의 여성 연대를 보여주면서, 여성주의적 고전 해석과 여성 역사 기록에 대한 자기반영적인 의식을 보여준다. 이 영화는 '그림 그리기'라는 설정을 토대로 시각예술 전반의 역사를 통해 구축된 시선의 젠더화, 응시와 대상화, 본다는 것과 권력의 문제 등을 탐사한다. 영화 속에서 엘로이즈와 마리안느의 초상화 작업은 '보는 자로서의 남성 화가와 남성의 시선을 경유하여 자신을 응시하는 여성 모델'이라는 공식을 해체하고 응시를 주고받음의 상호작용 과정으로 전화시킨다. 응시를 주고받는 과정은 엘로이즈의 몸에 마리안느의 얼굴이 겹쳐지는 누드화로 인장된다. 이는 서구의 회화 역사에서 보기 방식의 양식화를 통해 남성 관객 위치를 이미지 안에 새겨 넣는 지배적 형식으로서의 누드화를 레즈비언의 에로틱한 시선으로 일순간에 전복시킨다.

Keywords

References

  1. S. Y. Lim, "The Girls We Loved," Cine 21,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902
  2. B. Tobias, Ronald, S.M. Kim (trans), 20 Master Plots and How to Build Them, Pulbit, 2015.
  3. Mulvey, Laura,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a," Penley (ed.), Feminism and Film Theory, New York: Routledge, pp. 47-57, 1988.
  4. Tyson, Roys, Critical theory today. 2/E, Alpi, pp.36-38, 2012.
  5. Burger, Jhon, M. Choi(trans) Ways of Seeing, Youhwadang Publishers, pp. 53-55, 2017.
  6. Burger, Jhon, M. Choi(trans) Ways of Seeing, Youhwadang Publishers, p. 65,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