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마트 장기요양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만족도 개선방안 도출: 심층 인터뷰와 토픽 모델링 활용

User Satisfaction Enhancement of 'Smart Long-Term Care' Mobile Application: In-depth Interview and Topic Modeling

  • 홍서의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기술경영협동과정) ;
  • 안재영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비즈니스 빅 데이터 분석) ;
  • 권영심 (명지전문대학 사회복지과)
  • 투고 : 2021.12.07
  • 심사 : 2022.02.22
  • 발행 : 2022.02.28

초록

Two dominant phenomena in modern world; population ageing and digitalization, have led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o heavily rely on B2C(Business-to-Consumer) mobile applications. Yet, fatal concerns and complaints have often been raised by the mobile application users, notably from social welfare sector. With the continual expansion of digital landscape as well as the growth of life expectancy, usage of mobile applications has become prevalent across the stakeholders involved in social welfare sector. 'Smart Long-Term Care (SLTC)', inter alia, is a primary example of such mobile applications, designed to support Long-Term Residential Care (LTRC) service. The main goal of SLTC is to serve more convenient and practical LTRC service for both caregivers and care receivers. To examine user satisfaction of SLTC mobile appli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existing challenges and means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Hence, we conducted this study using two methods: in-depth interview and topic modeling. Interestingly, two research outcomes commonly indicated that 5 factors (stability, accessibility, usefulness, responsiveness, and ease of use) were found significant in affecting user satisfaction of SLTC.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aforementioned factors can be seen as potential causes of the genuinely low user satisfaction. Eventually, this work will be a stepping-stone to elevate the overall quality level of LTRC service along with the user satisfaction degree of SLTC mobile appli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성호, 김혜란, "노인장기요양서비스 현황과 보험회사의 역할 제고 방향", 보험연구원, 2019.12.
  2. 국민건강보험공단, "2021년도 노인장기요양보험 민원상담 사례집-PART 12 재가급여 전자관리시스템", 노인장기요양보험, 2021.
  3. 국민건강보험공단, "스마트 장기요양 수급자(보호자) 앱(App) 사용 안내문(기관용)", 노인장기요양보험, 2021.
  4. 국민건강보험공단, "스마트 장기요양 수급자(보호자) 앱(App) 사용 안내문(보호자용)", 노인장기요양보험, 2021.
  5.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 등급 판정 현황", 2021, Available at https://www.nhis.or.kr/announce/wbhaec11503m01.do (Accessed September 30. 2021).
  6. 김동선, 김엄지, 신민지, "장애인 활동지원사업 애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분석 및 대체 앱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21권, 제10호, 2020, 1745-1757.
  7. 김선영, 오경수, "모바일 서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2015, 535-546.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535
  8. 김옥경, 윤재영, "모바일 쇼핑의 챗봇 (음성 기반/메신저 기반)과 앱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에 관한 융합적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제37권, 제2호, 2019, 47-59.
  9. 대한치매학회, "치매 지원 서비스 - 장기요양서비스 란?" 2019, Available at https://www.dementia.or.kr/general/bbs/index.php?code=service&category=&gubun=&page=1&number=1102&mode=view&keyfield=&key= (Accessed July 19. 2019).
  10. 박경애 (2013), "2013년도 민간투자 정책 연구 보고서 - 복지시설의 임대형(BTL) 민자사업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13.
  11. 박은자, 서제희, 정연, 윤시몬, 이나경, "요양병원, 요양시설의 질 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 환자 안전관리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12.
  12. 박재완, 최복규, 이상원, 이현주, "청년층의 우울증 개선을 위한 감정 인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제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2020, 594-606. https://doi.org/10.5392/JKCA.2020.20.02.594
  13. 삼정KPMG 경제연구원, "고령사회 진입과 시니어 비즈니스의 기회", 삼정회계법인, 제49호, 2017.
  14. 송형근, 고병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분석: 사용자 반응과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21권, 제1호, 2018, 91-115. https://doi.org/10.14329/isr.2019.21.1.091
  15. 신동희, 김용문, "국내 재난관련 공공 앱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2014, 644-656.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644
  16. 안명선, 박주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8호, 2019, 525-534. https://doi.org/10.5392/JKCA.2019.19.08.525
  17. 윤영채, "노인장기요양, 재가급여전자관리시스템 '비콘' 사용 확대 실시", MEDI:GATE NEWS, 2019, Available at http://medigatenews.com/news/3735332910 (Accessed March. 18. 2019).
  18. 윤혜정, 안재영, 박상철, "토픽 모델링과 수정된 IPA를 활용한 O2O 주문.배달 앱에 대한 사용자 인식 연구", 지식경영연구, 제22권 제3호, 2021, 253-271. https://doi.org/10.15813/KMR.2021.22.3.014
  19. 이군희, 연구방법론의 이해, 북넷, 서울, 2014.
  20. 이소현, 김진솔, 윤상혁, 김희웅,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모바일 피트니스 애플리케이션 주요요인 분석", 한국 IT 서비스학회지, 제19권 제3호, 2020, 117-137.
  21. 이용정, "모바일 개인건강기록 (Personal Health Records: PHR)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이 소비자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정보관리학회지, 제33권, 제4호, 2016, 7-26. https://doi.org/10.3743/KOSIM.2016.33.4.007
  22. 이윤경,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형태 결정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3호, 2009, 917-933.
  23. 이정연, 송하진, "동네 기반 품앗이 지원 모바일 사회서비스 프로토타입 개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2019, 683-695.
  24. 이진아,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가 수급자 가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근로와 여가활동 경험의 변화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70호, 2015, 81-112.
  25. 이태민, 라선아, 송상연,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품질구조 및 측정항목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제24권, 제1호, 2009, 145-179.
  26. 장경섭, 진미정, 성미애, 이재림, "한국사회 제도적 가족주의의 진단과 함의 소득보장 교육 돌봄영역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제27권 제3호, 2015, 1-38.
  27. 정성화, 김명희, 박만곤, "iBeacon을 활용하는 장기요양 재가 서비스 업무를 위한 자동청구 정보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제19권, 제3호, 2016, 612-619. https://doi.org/10.9717/KMMS.2016.19.3.612
  28. 정혜경,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사용성 평가 - 배달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제45권, 2015, 5-14.
  29. 조성우, "공단, 장기요양 실시간 알림 서비스 제공", 헬스포커스, 2017, Available at http://www.health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458 (Accessed March. 21. 2017).
  30. 주경, 이소현, 김재윤, 이중정, "텍스트마이닝 기반 실시간 온라인 강의 서비스의 긍정/부정 이슈 분석", 글로벌경영학회지, 제17권, 제5호, 2020, 20-45.
  31. 한은정, 이정면, 이정석,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이용자의 이용지원 상담에 대한 욕구 실태 및 관리방안", 건강보장정책, 제12권, 제2호, 2013, 161-180.
  32. 함선유, 홍백의,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의 관계: 재가 노인 돌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9권, 제4호, 2017, 203-225. https://doi.org/10.20970/KASW.2017.69.4.008
  33. Guion, L.A., D.C. Diehl, and D. McDonald, Conducting an in-depth interview, EDIS, Florida, 2011.
  34. Kane, R.A., R.L. Kane, R.C. Ladd, The heart of long-term car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8.
  35. McHugh, M.L., "Interrater reliability: the kappa statistic", Biochemia medica, Vol.22, No.3, 2012, 276-282. https://doi.org/10.11613/BM.2012.031
  36. Rust, R.T., and R.L. Oliver, Service Quality: New Directions in Theory and Practice, Sage Publications, California,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