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낮은 자기분화수준을 가진 학령기 아동 어머니의 양육불안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sing-Anxiety of Parenting of children in school age with Low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 투고 : 2022.03.28
  • 심사 : 2022.04.20
  • 발행 : 2022.04.30

초록

본 연구는 낮은 자기분화수준을 가진 어머니의 양육불안 경험에 관한 연구로서 대상으로는 학령기 자녀가 있는 어머니 중 자기분화척도 수준이 낮고 양육에 대한 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어머니들을 선정하여 심층인터뷰와 검사를 실시하였고 Giorgi의 현상학 방법으로 단계에 맞춰 경험적 현상을 분류하고 범주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일반적 구조기술로서 통합하였다. 현 시대적 과제로서 학령기 부모의 양육불안의 원인과 핵가족화로 인한 자녀의 수가 적어짐으로 인한 가족의 문제들과 양육불안에 대한 경험들을 범주로 묶어 일반화함으로써 자녀의 사회적응과 정서에 미치는 양육태도와 어머니가 가진 낮은 자기분화수준과 불안의 원인과 같은 문제점들을 인지하고 양육의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examinations by selecting mothers with low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and experiencing anxiety about parenting among mothers with low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and analyzed them around categories and analyzed them into general structural techniques. As a current period task, it is the cause of the rasing-anxiety of parenthood in school age and the number of children due to nuclear familyization, and by generalizing the family's problems and experiences of parenting insolvency into categories, it is the reason for recognizing problems such as the child's social response and emotional support and the cause of the mother's low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nd anxiety, and setting the correct direction for parenting.

키워드

참고문헌

  1. Becker, M. Child Behavior problems and Parental Attitudes. Child Development, 32(1), pp 151-163. https://doi.org/10.2307/1126182
  2. 강유미(202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불안과의 관계: 자기수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4.
  3. 박참이(2015), "모의심리적통제와아동의자아존중감이 사회불안에미치는영향", 전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p 22.
  4. 박성연, 이은경, 송주현(2008), "부모의 심리적 통제유형이 청소년의 의존심, 자아비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5), pp 65-78.
  5. 안명희(2010),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와 심리적 통제의 매개", 한국심리학회지, 29(4), pp 867-885.
  6. 고연경(2019), "원가족 경험과 핵가족 내 양육태도 및 가족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97-100.
  7. 남순현 외 공역(2005),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서울:학지사.
  8. 이상미(2019),"자기분화의 촉진을 위한 상담효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p 77.
  9. M. E. Kerr.M. Bowen 공저(2005), 「보웬의 가족치료이론」, pp 281-282.
  10. Conley, D. T.(2003). "Who governs our schools?: Chang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Teachers College Press.
  11. Spielberger, C. D.(1972). Anxiety: Current trend,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Academic Press.
  12. 네이버 지식백과, "학령기 아동", 특수교육학사전.
  13. 이유진, 박경(2006).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행동문제와의 관계", 심리치료, 5(2), pp 39-57.
  14. Peleg, O.(2002). Bowen theory:A study of differentiation of self, social anxiety, and physiological symptom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4(2), pp 355-369. https://doi.org/10.1023/A:1015355509866
  15. Peleg, O.(2005). "The 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and Social Anxiety: What Can Be Lerned From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3, pp167-183. https://doi.org/10.1080/01926180590921403
  16. 조성희, "Bowen의 자기분화 개념에 근거한 어머니의 양육경험탐구", 박사학위논문중앙대학교, 2011, pp 8-9.
  17. 정은영(2008). "과보호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Winnicott, D. W. (1984). The maturational processes and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성숙과정과 촉진적 환경. 이재훈 역, 2000. 서울 :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 John W. Creswell(2015), 「질적 자료 분석론 : 다섯가지 접근」, pp 91-92.
  20. 김영천(2016),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p 48.
  21. 정혜정 조은경(2007), 한국가족치료학회"한국형 자기분화척도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vol.15, No.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