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효율성에 관한 연구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대구시 8개구·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s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Centered on 8 districts in Daegu

  • 투고 : 2022.03.28
  • 심사 : 2022.04.22
  • 발행 : 2022.04.30

초록

본 연구는 대구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제공하는 기관별 현황과 성과를 통해 효율성을 살펴보고 각 기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추진 목적에 부합되는 관리 실태를 점검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사업추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수요자에게 필요한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 및 품질개선, 환경개선을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기관의 효율성 분석을 통해 정확한 상황과 그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극적인 서비스 관리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각 기관의 정보를 바탕으로 효율성을 측정하고 이를 지방자치단체 간 비교 분석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역사회서비스의 제공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자료포락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각각의 기관을 효율성을 분석하고 지자체별로 비교하여 효율적 운영을 위한 목표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of purpose is to examine the efficiency through the current status and performance of each institution providing the Daegu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 and to find a direction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each institution. In order to promote efficient and effective project promotion by checking the management status that meets the purpose of the local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 to provide systematic services necessary to consumers, improve quality, and improve the environment, the accurate situation and situation through the efficiency analysis of the service provider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problems, develop programs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ctively manage services. Specifically, it seeks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sustainable local community service by measuring efficiency based on information from each institution and comparing and analyzing it among local governments. For this purpose, it is meaningful in analyzing the efficiency of each institution by using the DEA (data envelope analysis) method and presenting the goal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efficient operation by comparing them by local gover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조근식(2013), "한국 지방정부의 정책유형별 정책채택 요인과 지역확산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한국행정학회, 47(1), pp 36-42.
  2. 보건복지부(2020),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3. 보건복지부(2014), "지역자율형사회서비스투자사업안내".
  4. 유한옥(2006), "재정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장원리 활용방안: 바우처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5. 오윤정(2013), "사회서비스의 통합적 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제주의 지역개발형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6-17.
  6. 고길곤(2017), "효율성 분석이론 : 자료포락분석과 확률변경분석", 경기 : 문우사.
  7. Farrel, M. J.(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120(3), pp 253-281. https://doi.org/10.2307/2343100
  8. 전재수(2019),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내일 :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가?", 한국지방정부학회, pp 283-292.
  9. 손병일(2015),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서비스 질과 서비스 성과 관계 연구", 남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동희(2021), "대전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서비스 품질이 사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대구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2019), "대구지역사회투자서비스 공급실태조사연구".
  12. 전자바우처시스템(2019), "대구광역시제공기관현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