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ing a Web-Based Jeongganbo Notation Program

웹기반 정간보 사보 프로그램 설계

  • 심인섭 (타이난응용과학기술대학교 유행음악과)
  • Received : 2022.02.28
  • Accepted : 2022.04.12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Recently, the globalization of culture and the global trend of K-culture have become a good background for further developing and promot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However, although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an excellent notation method called Jeongganbo developed by King Sejong, it is gradually not being used as the universality of Western notation. However, since the 7th curriculum, the proportion of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Jeongganbo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And this is a good opportunity to re-generalize our unique traditional notation.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practic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notation method, more diverse tools will be needed to activate the practice of Jeongganbo. Therefore, this study studied the design of a web program that can make Jeongganbo on the web without installation or download.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publishing Jeongganbo, it designs and proposes a method of inputting using a computer keyboard like a piano keyboard and method of listening to input music information through MIDI function and save it as a file.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develop a web program that anyone can easily and simply approach, practice, and publish, and it is expected to be a useful tool for practicing Korean traditional music or publishing traditional music in the future.

최근 문화의 세계화와 K-컬처의 세계적인 유행은 한국의 전통문화를 더욱 발전시키고 알릴 수 있는 좋은 배경이 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전통음악에는 세종대왕이 개발한 정간보라는 우수한 기보법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양 기보법의 보편성으로 점차 사용되지 않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7차 교육과정 이후 초등 음악교육에서 정간보의 소개와 활용 비중이 늘어나고 있고, 이는 우리의 고유한 전통 기보법을 다시금 보편화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반면 기보법의 해석에 관한 연습 이외에 정간보 사보의 실습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도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설치나 다운로드가 없이 웹에서 정간보를 사보할 수 있는 웹 프로그램에 대한 설계를 연구하였다. 또한 정간보를 사보하는 과정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자판을 건반처럼 활용하여 입력하는 방안과 입력된 음악 정보를 MIDI 기능을 통해 청취하고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계하고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누구나 쉽고 간단히 접근하여 실습하고 사보할 수 있는 웹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국악의 기보 실습 혹은 전통음악 사보에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심인섭, "재즈 리하모니제이션과 현대 음악적 기법을 활용한 조각과 음악의 변환 작품제작,"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집, 제16권, 제2호, 2022.
  2. 홍경화, 9세기말부터 16세기초까지의 서양음악 기보법의 발달 고찰,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3. 박주연, "정간보 입력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435-440, 2001.
  4. 김호석, "황해도 탈춤음악의 전승과 선율구조," 한국음악사학보, 제43권, pp.79-126, 2009.
  5. 이유정, "신한류 콘텐츠로서 국악퓨전밴드의 가능성 모색,"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323-331, 2020.
  6. 한미례, "정간보(井間譜) 교육 프로그램," 지역과문화, 제5권, 제1호, pp.65-84, 2018.
  7. 전인평, 새로운 한국음악사, 현대음악출판사, 2000.
  8. 황준연, "음악교과서 국악 기보체계의 올바른 방향 모색," 국악교육연구, 제4권, 제2호, pp.279-300, 2010.
  9. 윤명원, "초등학교 국악 제재곡의 기보법 고찰," 음악교육공학, 제18권, pp.209-230, 2014.
  10. 유준희, "유물 편경의 음향 분석을 통한 아악 황종음고의 추정," 한국음향학회지, 제30권, 제8호, pp.421-427, 2011. https://doi.org/10.7776/ASK.2011.30.8.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