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Opening Process of New Entrusted Public Daycare Centers: Focusing on Sejong City

신도시 신규위탁 국공립어린이집의 개원과정 탐색: 세종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1.12.13
  • Accepted : 2022.04.08
  • Published : 2022.04.29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nstitutional improvements and support measures for the opening process of new entrusted public daycare centers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the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with nine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in Sejong City. The recordings of the interviews were databased, and then the data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the content.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interested in the national/public daycare service consignment program and were eager to be selected for the program. They also had high expectations for operating daycare centers. Second, while preparing for the opening of the daycare center, the participants encountered problems after being selected for the program in terms of finance, facilities, equipment, and personnel management. Third, after opening the center,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the "survival period" as they had to overcome many issues while operating the center on their ow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ed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improvements and support measures required for the consignment program so that daycare center directors can successfully and sustainably open and operate daycare centers.

Keywords

References

  1. 강대묵 (2015.12.11). 세종시-교육청-행복청 "보육대란 해법 찾는다". 대전일보.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196666에서 2020년 12월 27일 인출
  2. 강효곤 (2020). 개발지구 내 학교신설 이후 학급증축 발생 원인에 관한 연구-세종시 지역의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권미경 (2015. 10).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체 선정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4562에서 2020년 12월 30일 인출
  4. 권미경, 김길숙, 함철규 (2014).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체 선정관리 기준 개선방안(연구보고 2014-02). 서울: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993에서 2020년 12월 27일 인출
  5. 권순재 (2018.03.05). 세종시 평균연령 36.7세... 가장 젊은 도시로.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local/Sejong/article/201803052142005에서 2020년 12월 27일 인출
  6. 권영상 (2011). 우리나라 신도시 계획에서 생활권 공간구조의 변화: 창원시, 분당신도시, 세종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6(2), 193-210.
  7. 김광래, 전진호 (2018). 어린이집 위탁운영에 따른 정부업무 민간위탁 공정성 확보 방안 고찰.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4), 281-302. https://doi.org/10.22590/ecee.2018.22.4.281
  8. 김광래, 전진호 (2020). 사회서비스원법에 나타난 어린이집위탁 쟁점 고찰.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4(4), 215-233. https://doi.org/10.22590/ecee.2020.24.4.215
  9. 김문규 (2019). 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의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병수, 김보영 (2014). 국공립 어린이집의 성공적인 민간 위탁을 위한 영향요인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1-20.
  11. 김수연, 나종혜 (2008). 보육 시설장의 스트레스와 어려움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7(1), 45-56.
  12. 김영천 (2016). 질적연구방법론 I : Bricoleur. 제3판. 서울:아카데미프레스.
  13. 김윤경 (2013). 국공립어린이집 운영과정에서 원장들이 느끼는 고충과 보람.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중훈 (2013). 신도시 개발이 인접지역 개발에 미치는 영향분석-세종시와 대전시 유성구를 중심으로. 한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평례, 박수경 (2021). Q 방법론을 활용한 어린이집 원장의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4), 129-154.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4.129
  16. 남소희 (2015). 수도권 1기 신도시의 인구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도미향, 김응자, 김상옥, 유지연, 이경주 (2021). 경기도 사회서비스원 위탁 국공립어린이집 표준운영 매뉴얼 개발 연구. 부모교육연구, 18(1), 43-63.
  18. 박윤자 (2013). 위탁 어린이집 원장의 운영과정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박윤자, 이대균 (2013). 위탁 어린이집 임용원장의 어려움과 대처하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151-177.
  20. 박윤자, 이대균 (2014). 어린이집 원장의 위탁운영과정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8(1), 297-322.
  21. 보건복지부 (2013. 12). 제 2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 https://policy.nl.go.kr/search/searchDetail.do?rec_key=SH2_PLC20160153782에서 2020년 12월 30일 인출
  22. 보건복지부 (2017. 12). 제 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https://policy.nl.go.kr/search/searchDetail.do?rec_key=SH2_PLC20180217144&kwd에서 2020년 12월 30일 인출
  23. 보건복지부 (2020. 01). 보육사업안내. https://www.kcpi.or.kr/kcpi/cyberpr/lawguide2/detail.do?colContentsSeq=57441에서 2020년 12월 30일 인출
  24. 서문희, 양미선, 김은설, 최은경, 유해미, 손창균, 이혜민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 조사보고서(수탁보고 2012). 서울: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1428에서 2020년 12월 30일 인출
  25. 서수경, 유정민 (2013).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 개선방안 연구(2013 정책연구-06). 서울: 서울시여성가족재단. https://opengov.seoul.go.kr/research/6413929에서 2021년 1월 3일 인출
  26. 세종특별자치시청 (2021). https://www.sejong.go.kr.
  27. 세종특별자치시의회 (2019. 01). 국공립어린이집 운영 및 시설관리 민간위탁(신규) 동의안 심사보고서. 세종특별자치시. https://council.sejong.go.kr/mnu/act/billView.do?billSn=2998&pageNo=98에서 2021년 1월 3일 인출
  28. 세종특별자치시의회 (2020. 03). 국공립어린이집 운영 및 시설관리 민간위탁(신규) 동의안 심사보고서. 세종특별자치시. https://council.sejong.go.kr/mnu/act/billView.do?billSn=3480&pageNo=70에서 2021년 1월 3일 인출
  29. 세종특별자치시의회 (2021. 03). 국공립어린이집 운영 및 시설관리 민간위탁(신규) 동의안 심사보고서. 세종특별자치시. https://council.sejong.go.kr/mnu/act/billView.do?billSn=5666&pageNo=37에서 2022년 2월 28일 인출
  30. 세종특별자치시의회 (2022. 03). 국공립어린이집 운영 및 시설관리 민간위탁(신규) 동의안 심사보고서. 세종특별자치시. https://council.sejong.go.kr/synap/skin/doc.html?fn=16480155576292.hwp&rs=/dochtml/bill/&title=에서 2022년 3월 10일 인출
  31. 세종특별자치시 (2014. 02). 2030 세종도시기본계획. 세종특별자치시. https://ebook.sejong.go.kr/Viewer/D0KRTRSA4D69에서 2022년 1월 3일 인출
  32. 안현미, 백은주 (2015).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1000 확충 내실화 방안(2015 정책연구-04). 서울: 여성가족재단. http://www.snpo.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2253&page=82에서 2020년 12월 30일 인출
  33. 양미선 (2012).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이슈페이퍼 2012-09).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4113에서 2020년 12월 30일 인출
  34. 오새니, 이상희 (2020). 어린이집 원장의 초임보육교사 채용에 대한 인식과 선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2), 25-45.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2.025
  35. 오채선 (2012). 어린이집 초임원장의 내러티브: 리더십 형성하기. 유아교육학논집, 16(6), 435-461.
  36. 옥경희 (2015). 유아교육기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세종시 어린이집 학부모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이길표 (2015.12.10). 세종시 보육대란 대안 제시...대규모 어린이집 2개소 개원.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2512701에서 2020년 12월 28일 인출
  38. 이미정 (2012). 공보육 확충정책과 공공형 어린이집 정책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2(4), 1-24.
  39. 이승연 (2019). 초임 어린이집 원장의 어려움과 극복.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이은주 (2017). 초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어려움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이은주, 박수경 (2018). 초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3(1), 451-477. https://doi.org/10.20437/KOAECE23-1-18
  42. 정성희 (2012). 참여정부와 MB정부의 보육정책 비교 - 새싹플랜과 아이사랑플랜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차미영, 손원경 (2010). 위탁운영 직장보육시설 시설장이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2), 17-37.
  44. 최도자 (2008). 보육시설장이 인식한 국공립보육시설 민간위탁운영의 실태 및 개선 방안.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2(4), 189-217.
  45. 최이수 (2020).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경험 탐색.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허은정, 채영란 (2020).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정책 및 위탁제도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인문사회21, 11(3), 797-812. http://dx.doi.org/10.22143/HSS21.11.3.57
  47. Whitebook, M., & Ryan, S. (2011). Degrees in Context: Asking the Right Questions about Preparing Skilled and Effective Teachers of Young Children. ERIC, ED534140. 1-16.
  48. Shdaimah, C., Palley, E., & Miller, A (2018). Voices of child care provider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 of policy cha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12, 4. https://doi.org/10.1186/s40723-018-0043-4
  49. Schmidt, T., Smidt, W., & Roux, S. (2018). What do pedagogues in daycare do? Empirical analyses of the occupational activities of pedagogues in children's daycare centres in Germany.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26(3), 446-460. https://doi:10.1080/1350293X.2018.1463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