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sychological Stability Color for The Fire Escape Mobile App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화재 피난 모바일 앱(App) 컬러연구

  • Lee, Sang ki (Konkuk University Global Campus, Graduate School of Design) ;
  • Park, Hae Rim (Konkuk University Global Campus, Graduate School of Design)
  • 이상기 (건국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디자인대학원) ;
  • 박해림 (건국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디자인대학원)
  • Received : 2022.06.06
  • Accepted : 2022.06.2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As part of the Fire Evacuation Service scenario using mobile application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appropriate colors to be used in the interface of the application and to define and apply colors that can positively and reliably affect human unstable psychology in the course of evacuating the room in case of fire. In the situation of fire, proper design and placement of the colored escape guidance interface is important, taking into account the psychology of the occupants. However,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have shown that colors used to induce evacuation are not suitable for effective evacuation in case of fi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a color that would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event of a evacu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sychological issues of those who are still in need of shelter, and to use it to help induce an efficient evacua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Using the image evaluation method, the form and color of images have been deriv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to a number of unspecified people, and the main and secondary colors of images were analyzed through KSCA color analysis. Finally, the final application color was constructed through mutual verification between the resul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lors obtained through the image evaluation analysis results and the KSCA col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green line can help stabilize the human mi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prior research. Therefore, the main color for guiding calm and calm applications in case of fire escape is proposed in the green line.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with image evaluation cannot accurately measure the effect of factors on color among complex factors. A subsequent study of this will help quantify images if it allows the subject matter of color and image to be defined to some extent through factor analysis.

본 연구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화재 피난 서비스 시나리오의 일부로써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 사용될 적절한 색상을 찾는 것이 최종 목적이며, 화재 발생 시 재실자들의 피난 과정에서 인간의 불안정한 심리에 긍정적이고 안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컬러를 정의하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것이 목표이다. 화재의 상황에서 재실자의 심리를 고려한 색채의 피난유도 인터페이스의 적절한 디자인과 배치는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피난유도에 활용되던 색채는 관습적으로 사용되던 부분이 많아 화재 발생 시, 효율적인 피난에 부적절하다는 것을 문헌과 기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재실자의 심리적 사항을 고려하여 화재 피난 시 심리적으로 안정을 주는 색채를 제시하여 재난 발생 시 효율적인 피난유도를 돕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미지 평가 법을 활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빈도 분석을 통해 이미지가 가진 형태와 색상이 사람들에게 어떤 감정을 주는지 도출한 뒤, 한국표준색채분석(KSCA)을 통해 이미지의 주요 색상과 보조 색상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미지 평가 분석 결과와 한국표준색채분석(KSCA) 분석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색상들과 선행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결과 간의 상호 검증을 통해 최종 어플리케이션 컬러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선행연구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초록색 계열이 인간의 심리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화재 피난 시에 침착하고 차분한 어플리케이션의 안내를 위한 메인 컬러를 녹색 계열로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화재 발생 시 재실자들의 피난 과정에서 심리적 안정적인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컬러에 대해 정의하였다. 화재 피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UX/UI 구성 시 재실자들의 침착하고 차분한 안내 유도를 위해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건국대학교 KU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결과임

References

  1. 박지영, 이희원, 최광현, 이진숙, 「조도와 색온도에 따른 심리 반응과 시인성」,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017
  2. 박현수, 이찬수, 「차량실내 활동별 조명의 조도와 색온도에 따른 탑승자의 심리생리적 반응」,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집, 2018
  3. 박혜경, 오지영, 「환경색채 톤 변화에 따른 남성과 여성의 심박변이 반응 특성」,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018
  4. 신동준, 김주연, 「뇌파 선행 실험연구 분석에 의한 색채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017
  5. Ahn, Yejin, Jehyeok Yeon, Kilsang Yoo. & Wonhyung Lee, 「Spontaneous Potential analysis of the Psychophysiology effects of Color」,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2006
  6. AKim, Kyungtae, 「Physiological Analysis of Emotional Lighting System using LED Flat Lighting on Human Bod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A master's thesis, 2006
  7. Lee, Aeyoung, 「Effects of color on the human physiological and emotional responese」, Changwon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1
  8. Lee, Eunsol, & Sukhyeon Jeong, 「The Emotional Response to Lighting Hue Focusing on Relaxation and Atten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012
  9. Lee, Jinsook, Heewon Lee, Hanna Kim. & Jinseon Ryu, 「A Basic Study on Physiological to Color Stinulation in Red, Blue, Green, and White according to Adolescents' Attention and Concentration」,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014
  10. Ryu, Jiseon, & Sukhyeon Jeong, 「A Study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Methods in line with Indoor Color Change」, Ch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