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제주도 카페 입지의 특성과 변화: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영향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afes in Jeju Island and the Changes: Offline and Online Influences

  • 함유희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 박소현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 이금숙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Ham, Yuhee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Park, Sohyun (Humanities Institut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Lee, Keumsook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22.03.10
  • 심사 : 2022.03.25
  • 발행 : 2022.03.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지역 카페를 중심으로 점포 입지분포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에 작용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주도에 카페가 처음 입지한 시점부터 현재까지 시기별 개점과 폐점의 공간적 분포 양상을 파악한다. 특히 신규 입점이 많이 증가한 COVID-19 발발 이후의 개업 및 폐업한 카페의 입지에서 발견되는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한다. 또한, 현재 영업 중인 카페와 COVID-19 확산 기간에 개업하거나 폐업한 카페의 분포에 영향을 끼친 지역 속성과 온라인의 영향력을 파악한다. 실증분석 결과, 제주도는 정보검색을 통해 주요 목적지가 정해지는 특성을 갖는 관광지이자 도서 지역으로 내륙도시 지역의 카페 입지와 다른 분포 형태를 나타냈다. 특히 제주도 카페에 관한 키워드 검색량을 추출하여 빈도 분석한 결과 COVID-19 이후 제주도의 새로운 지역과 장소에 대한 정보검색 등 온라인 접근성은 더욱 다양해지고 확대되었다. 또한, 도로 규모별 카페 점포와의 거리를 산정한 결과 전통적으로 중요한 속성으로 작용해온 물리적 입지요인과 도로 접근성은 상대적으로 연관성이 낮았다. 본 연구는 제주도 지역 카페 입지의 분포 형태와 특성을 온·오프라인의 영향력을 반영하여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afes in Jeju Island and the changes. For the purpose, we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openings and closings by period from the first opening of cafes in Jeju Island to the present. In particular, we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locations of cafes that have been opened and close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n which new store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dition, we identify the regional attributes and the influence of online that have affected the distribution of currently open cafes and cafes that have opened or closed during the COVID-19 outbreak.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Jeju Island is a tourist destination and island reg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etermining major destinations through information search, showing a different distribution form from the location of cafes in inland cities.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by extracting keyword search volume for cafes in Jeju Island, online accessibility such as information search for new areas and places in Jeju Island has become more diversified and expanded after COVID-19. In addition,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distance to cafes by road 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location and road accessibility,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an important factor, was relatively low.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afe locations in Jeju Island by reflecting the influence of online and offlin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준.김기중.이승일, 2019, "서울시 홍대상권 내 업종변화 필지의 공간적 특성 분석: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관점에서," 국토계획 54(2), pp.5-16.
  2. 김아름, 2011, "커피전문점의 입지요인에 대한 연구-기존 12개의 커피전문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유통과학회 동계학술대회논문집, pp.419-433.
  3. 김은미.이준웅.장현미, 2011, "블로그 동기와 이용자 규모에 대한 인식이 블로그 운영과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상호작용적 매체 이용자로서의 블로거 연구," 한국방송학보 25(6), pp.162-203.
  4. 김주일, 2018, "SNS 등 모바일 인터넷 매체의 활성화가 이용자의 장소선택과 요식업체 입지분포에 미치는 영향: 경주.포항 요식업체의 최근 입지 패턴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9(4), pp.125-138.
  5. 김진우.이장우, 2017, "커피전문점의 선택요인 중 입지, 점포 및 상품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17(1), pp.19-94.
  6. 김현.이금숙.이영현.송예나, 2021, "COVID-19 시기의 음식점 개폐점 연구: 서울시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56(1), pp.35-51. https://doi.org/10.22776/KGS.2021.56.1.35
  7. 김호성.이금숙, 2021, "정보미디어의 발전에 따른 가상여행과 COVID-19 이후 여행산업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56(1), pp.1-14. https://doi.org/10.22776/KGS.2021.56.1.1
  8. 디지털데일리, 2021, 코로나19에도 카페 창업은 늘었다? SKT, 전국 상권 분석, 2021.12.23.
  9. 매일경제, 코로나19에 국내 여행객 늘자 3분기 창업 늘어난 업종이..., 2020.12.01.
  10. 신유진.문소연, 2011,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의 입지특성이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부동산학연구 17(2), pp.111-123.
  11. 박기용.김재환.김보은.황재훈, 2017, "입지패턴에 따른 커피전문점의 특성 분석 도시공간 해석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15(1), pp.135-146.
  12. 박소현.어정민.이금숙, 2020, "커피전문점 생존 및 폐업분포의 군집 유형별 생멸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4), pp.408-424. https://doi.org/10.23841/EGSK.2020.223.4.408
  13. 박소현.이금숙, 2021, "점포의 무인화와 소매점 입지: 서울시 무인 편의점과 무인 할인판매점을 대상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4(4), pp.411-424. https://doi.org/10.23841/EGSK.2021.24.4.411
  14. 송예나.장한울.이금숙, 2020, "광주광역시 음식점 개폐업과 교통접근성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4), pp.425-437. https://doi.org/10.23841/EGSK.2020.223.4.425
  15. 신혜영.박소현.강성호.이금숙, 2021, "정형.비정형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COVID-19와 지역 경제의 관계 -서울시 성동구를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6(4), pp.421-435. https://doi.org/10.22776/KGS.2021.56.4.421
  16. 엄태휘.고선영.정남호, 2021, "COVID-19 전후 제주도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한 주민 및 관광객의 이동밀도 및 목적지 군집분석 비교,"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1(2), pp.35-51.
  17. 이금숙.박소현, 2019, "업종별 창업 및 폐업의 지리적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2), pp.178-195. https://doi.org/10.23841/egsk.2019.22.2.178
  18. 이금숙.박소현.신혜영, 2020, "온라인 정보검색과 음식점 입지에 나타나는 변화: 서울시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1), pp.56-70. https://doi.org/10.23841/egsk.2020.23.1.56
  19. 이금숙.박소현.함유희, 2021, "COVID-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동안 나타나는 서울시 지하철 통행 변화와 역 배후지역의 지리적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4(2), pp.127-142. https://doi.org/10.23841/EGSK.2021.24.2.127
  20. 이일섭.김경규.이애리, 2018, "SNS 사용자에 의해 형성된 트렌드 중심지 도출을 위한 빅 데이터 분석방법론 연구: 인스타그램 데이터 활용 공간분석을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20(2), pp.63-85. https://doi.org/10.14329/isr.2018.20.2.063
  21. 이종섭.문석재, 2021,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포스트 COVID 시대의 여행 스트레스 연관 키워드 분석에 관한 연구,"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9(4), pp.87-94. https://doi.org/10.22716/SCKT.2021.9.4.046
  22. 이채완.오정민.이상호, 2020, "사람들은 왜 관광경험을 SNS 에 전시하는가?," 관광연구저널 34(3), pp.21-32.
  23. 정승영.최인섭, 2018, "서울시 프랜차이즈 커피점 입지의 영향요인-스타벅스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한국국토정보공사(지적과 국토정보) 48(1), pp.245-253.
  24. 조상규.성은영, 2012, "장소중심의 공간계획을 위한 인터넷 사진 정보 활용 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URI-기본-2012-12.
  25. 진찬종.박현신.강준모, 2012, "홍대앞 커피전문점의 입지성향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3(5), pp.71-82.
  26. 최은지.김철중, 2020, "문화공간 카페의 특성이 고객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화산업연구 20(4), pp.163-174.
  27. 추민식.권수아.권영상 2017, "SNS 데이터를 활용한 저층주거지 상업화 특성 및 건축물 변화 분석," 2017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 pp.381-382.
  28. 통계청, 2022, 2021년 12월 및 연간 온라인 쇼핑 동향.
  29. 한국관광공사, 2021, 코로나시대 국내여행, '세대별'로 어떤 차이가? -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 데이터 랩' 통신데이터 활용 분석 -.
  30. 한국관광공사, 2021, 트렌드로 떠오른 '워케이션'성장 전망 속, 경쟁력 갖춘 지역 발굴 및 사업기획 포착 - 관광트렌드 발굴 사업까지, 빅데이터로 트렌드 읽기 -.
  31. 한국관광공사, 2021, "빅데이터 기반 신규 관광트렌드 및 사업 발굴 워케이션 후보지 발굴과 경쟁력 분석을 중심으로," 데이터앤투어리즘 6.
  3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1, "코로나19의 관광산업 영향과 대응방안," 정책연구 2020-22.
  33. 국토교통부, 2021, 용도별 건물정보, (최종열람일: 2022년 02월 23일)
  34. 국토교통부, 2021, 평균공지시가, (최종열람일: 2022년 03월 08일)
  35. 국토교통부, 2022, 도로/용도구역, (최종열람일: 2022년 03월 08일)
  36. 국세통계, 2021, 8월 사업자현황, 100대 생활업종 (최종 열람일: 2021년 11월 26일).
  37. 네이버 플레이스, 2021, (최종열람일: 2021년 11월 26일)
  38. 소상공인진흥공단, 2021, 상가(상권)정보. (최종열람일: 2022년 01월 13일)
  39. 제주특별자치도청, 2021, 주민등록인구통계, 지목별 지적공부 등록현황, 토지거래현황, (최종열람일: 2022년 03월 23일).
  40. 한국관광공사, 주차별 (2021.11.15.-11.21) 지역방문자수 및 관광 지출 분석 (최종열람일: 2021년 11월 26일).
  41. 한국관광공사 데이터랩, 2020-2021, (최종열람일: 2020년 03월 13일)
  42. 행정안전부, 2021,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 휴게음식점, (최종열람일: 2021년 12월 31일)
  43. Chapple, K., 2009, Mapping Susceptibility to Gentrification: The Early Warning Toolkit, The Center for Community Innovation,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44. Clarke, G., Thompson, C. & Birkin, M., 2015, The emerging geography of e-commerce in British retailing, Regional Studies, Regional Science 2(1), pp.371-391. https://doi.org/10.1080/21681376.2015.1054420
  45. Corradini C., 2021, The geography of innovation as reflected by social media.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53(2), pp.227-229. DOI: 10.1177/0308518X20961107.
  46. Crewe, L., 2000, Geographies of retailing and consumption,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4(2), pp.275-290. https://doi.org/10.1191/030913200670386318
  47. Gossling, S., Scott, D., Hall, C.M., 2020, Pandemics, tourism and global change: A rapid assessment of COVID-19,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29(1), pp.1-20. https://doi.org/10.1080/09669582.2020.1758708
  48. Grinshpun, H., 2014, Deconstructing a global commodity: coffee, culture, and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Culture 14, pp.343-364. https://doi.org/10.1177/1469540513488405
  49. Gursoy, D. and Chi, C.G., 2020, Effects of COVID-19 pandemic on hospitality industry: review of the current situations and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and Management 29, pp.527-529. https://doi.org/10.1080/19368623.2020.1788231
  50. Losch, A., 1954, The Economics of Location,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first German edition, 1940).
  51. Park, S. and Lee, K., 2021, Examining the Impact of E-Commerce Growth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ashion and Beauty Stores in Seoul, Sustainability 13(9), 5185. https://doi.org/10.3390/su13095185
  52. Picot-Coupey, K., Hure, E., Cliquet, G., and Petr, C., 2009, Grocery shopping and the Internet: Exploring French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hypermarket' and 'cybermarket' formats,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and Consumer Research 19, pp.437-455. https://doi.org/10.1080/09593960903331477
  53. Stern, N. Z., 1999, The Impact of the internet on retailing, International Trends in Retailing 16(2), pp.71-87.
  54. Tranos, E. and Nijkamp, P., 2013, The death of distance revisited: Cyber-place, physical and relational proximitie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53, pp.855-873. https://doi.org/10.1111/jors.1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