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vergence Directing Characteristics of a Fashion Show - Focused on the Louis Vuitton Women's Collection -

패션쇼의 융복합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 루이비통 여성복 컬렉션을 중심으로 -

  • 최하진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 정재윤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22.09.01
  • Accepted : 2022.11.21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Convergence, a universal phenomenon in modern society, takes place in various ways throughout society, and the concept of convergence can also be observed in fashion shows. The concept of convergence is actively emerging in terms of fashion show direc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of fashion show directing by analyzing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fashion show directing through a Louis Vuitton fashion show, and to provide data on convergence in fashion shows. The object of the study is the women's Paris Pret-a-porter and women's cruise collection presented at the Louis Vuitton fashion show. The research method integrated the criteria for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show produc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a literature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production in Louis Vuitton fashion shows were identifeid through literature and visual data. In this study, the convergence of the Louis Vuitton fashion show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genre integration, sensory synesthesia, perspective diversification, and media scalability. First, the integration of genres enhanced the brand image and effectively conveyed the concept of the show. Second, the synesthesia of the senses expanded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increased the audience's immersion. It has also become a new way to experience fashion shows in person. Third, the diversity of perspectives changed and diversified the way audiences experienced fashion shows. Fourth, the scalability of the media means various ways in which the audience can experience fashion show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vey information and experiences about fashion shows to the audience.

Keywords

References

  1. 권유정. (2011). 인터미디어의 속성을 통해 바라본 플럭서스에 대한 고찰. 국민대학교 예술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식, 신철호. (2018). 마술과 영상을 활용한 융복합 공연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1), 81-92. 
  3. 이기열. (2010). 패션쇼의 이해. 서울: 북카페. 
  4. 김소형. (2011). 조형원리에 따른 패션쇼 무대디자인의 공간구성 표현특성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장현, 김영삼. (2013). Chanel의 패션쇼에 나타난 공간 연출의 표현유형과 미적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37(6), 809-826.  https://doi.org/10.5850/JKSCT.2013.37.6.809
  6. 김주빈. (2015). 신개념 융복합작품의 제작과정 연구:Foyer productions 공연작품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석사학위논문. 
  7. 랜덜 패커. (2004). 멀티미디어: 바그너에서 가상현실까지. 서울: 나비프레스. 
  8. 명영화. (1999). 패션쇼에 관한 연구: 무대 세트 디자인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9. 박소형. (2019).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 차원의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패션 내러티브 연구. 성균관대학교 의류학과, 박사학위논문. 
  10. 박주원. (2014). 경기북부지역의 공연예술 활성화 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1), 6492-6501.  https://doi.org/10.5762/KAIS.2014.15.11.6492
  11. 백샘이. (2003). 플럭서스 예술을 응용한 21세기 패션디자인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성유정. (2010). 패션쇼를 위한 패션 스토리텔링 기법 설계 및 활용 특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안경희. (2018). 트랜스 미디어적 경향을 가진 장소 특정적 공연의 융복합 예술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연기예술학회, 13, 41-54. 
  14. 안주경. (2017). 융복합 공연예술의 경험적 가치와 소통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11), 364-370.  https://doi.org/10.5392/JKCA.2017.17.11.364
  15. 유휘현. (2021). 퓨전극을 중심으로 한 국내 융.복합적 공연예술의 대중화 방안.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윤성림. (2001). 패션쇼에 있어서의 무대장치 사례 분석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경미. (2015). 융복합 공연예술 작품분석을 통한 한국춤 문화브랜드화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상희. (2014). 총체예술로서의 분장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가정학과, 석사학위논문. 
  19. 이슬아. (2017). 현대 패션쇼에 표현된 인터미디어 특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임정아. (2014). 확장적 관객경험을 위한 디지털 공연기술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21. 위미경. (2013). 패션산업에 나타난 컨버전스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장안화. (2002). 현대 패션쇼의 대중문화적 특성: 1990년대 중반 이후 기성복 컬렉션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조우인. (2013). 현대 디지털 패션쇼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디지털 문화적 특성.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의상학과, 석사학위논문. 
  24. 조정민. (2020). 융.복합 공연예술 사례연구-파다프(PADAF)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공연예술학과, 박사학위논문. 
  25. 송주오. (2019.02.15). IT 입은 명품...밀레니얼 세대공략 사활. 이데일리. 자료검색일 2021.09.21, 자료출처 https://www.edaily.co.kr 
  26. 홍선미. (2020). 융.복합 예술프로그램 개발 및 의미 분석. 한국예술교육학회, 18(2), 257-274. 
  27. 홍혜림, 김영인. (2014). 디지털 영상을 활용한 패션쇼의 커뮤니케이션 특성. 한국복식학회지, 64(6), 1-15. 
  28. 황지영. (2020.10.05.). 코로나19에도 성과 낸 '피지털'의 비밀.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21.09.21, 자료출처 https://www.donga.com 
  29. David Roberts. (2011). The Total Work of Art in European Modernism. New York: ITHCA, 
  30. William Fetterman. (1996). John Cage's Theater Pieces: Notations and Performances. New York: Routledge 
  31. 공연예술. (n.d.). 두산백과. 자료검색일 2021.09.20, 자료출처 https://terms.naver.com 
  32. 융복합. (n.d.). 네이버 어학사전. 자료검색일 2021.08.22, 자료출처 https://dict.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