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pplication Status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t High Schools in Seoul - Focusing on the Timing of Establishment and the Presence of Special Classes -

서울 소재 고등학교의 장애인편의시설 적용 현황분석 연구 - 설립시기 및 특수학급 유무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22.02.20
  • Accepted : 2022.03.14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To understand the level of disability-free environment in existing high schools, this study evaluated the level of applic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t 177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high schools. Detailed standards related to school facilities such as the Act on the guarantee of convenience promo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nior citizens,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s, and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examined,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subject were reviewed. The overall application level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field survey of high schools, and the application level was analyzed by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Acts an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ecial classes.

기존 고등학교 공간 내의 무장애환경이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조성되어 있는지에 관해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177개소를 대상으로 장애인편의시설 적용 수준을 평가하여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의 물리적 환경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 학교의 세부적인 시설관련 기준인 장애인 등 편의법과 장애인차별금지법의 기준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3장에서는 장애인 등 편의법 규정을 토대로 고등학교 환경의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장애인 편의시설의 전반적인 적용수준과 장애인등 편의법 시행 전후 시기별 및 특수학급의 유무별로 적용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근(2007). 장애학생을 고려한 통합학교 계획 방향. 한국교육시설학회, 14(3), 83-91.
  2. 김민정(1998). 대학내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수연, 최하영(2019). 일반교육 주도의 학교재구조화 운동과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관계 탐색. 교육문화연구, 25(1), 27-48. https://doi.org/10.24159/JOEC.2019.25.1.27
  4. 박재국, 김경희, 김소희(2006). 통합교육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5(4), 191-213.
  5. 변성헌(2006). 통합교육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보건복지부(2018). 장애인편의시설 전수조사.
  7. 서유진, 나경은(2011).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의 장애학생 접근성 확보를 위한 편의시설 기준 적합도 조사 분석. 교육문제연구, 39, 75-107.
  8. 오중영(2002). 대학내 장애인의 교육권확보와 편의시설 개선방안.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오찬옥, 박진경(2012). 교육공간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의 평가 사례연구(1)-G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5), 12-22.
  10. 오찬옥(2015). 공간디자인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평가도구 및 지침개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08, 23-33.
  11. 이선영, 이민우(2016). 초등학교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연구-설계지침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 23(2), 19-29.
  12. 이연숙(2008). 유니버설 디자인. 연세대학교 출판부.
  13. 교육부(2021).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21년 정기국회 보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