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Decoupling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Steel Industry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탈동조화 국제비교

  • Kim, Dong Koo (Major in Economics, Division of Maritime Management and Economics, National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 김동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영경제학부 경제전공)
  • Received : 2022.02.21
  • Accepted : 2022.03.14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The iron and steel industry is a manufacturing industry with the largest greenhouse gases emissions and has a great ripple effect on the national economy as a core material industry. This study internationally compared the decoupling patterns of greenhouse gases emissions in the iron and steel industry from 1990 to 2019, focusing on Korea, Japan, and Germany. In particular,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considered only fuel combustion emissions, this study considered all fuel combustion emissions, industrial process emissions, and indirect emissions from the use of electricity and hea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Korea is interpreted as expansive coupling, Japan as decoupling, and Germany as unclear. Therefore, the decoupling path that the Korean iron and steel industry should take should not be in Germany, but in the form of seeking a decoupling method similar to Japan or more effective than Japan.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on and steel industry as much as possible and presented the causes of the decoupling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for the Korean iron and steel industry through comparison with Japan and Germany. In particular, four factors were suggested as factors which has promoted decoupling in Japan: high value-added of Japanese iron and steel products, development of energy efficiency technology in the Japanese iron and steel industry, strategic M&A of the Japanese iron and steel industry, and maintaining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the closed distribution structure of Japanese iron and steel products. The Korean iron and steel industry should also use the case of Japan as a benchmark to further increase added value through quality uprade and product diversification of iron and steel products, while at the same time making efforts to fundamentally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철강산업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제조업이면서 핵심소재산업으로서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다. 본 연구는 한국, 일본, 독일을 중심으로 1990~2019년 기간에 걸쳐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탈동조화 양상을 국제비교하였다. 특히, 연료연소 배출량만을 고려한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연료연소 배출량, 산업공정 배출량, 전력 및 열 사용에 따른 간접 배출량을 모두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은 확장적 동조화, 일본은 탈동조화, 독일은 불분명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한국 철강업이 나아가야 할 탈동조화 경로는 독일이 아니라, 일본과 유사하거나 일본보다 더 효과적인 탈동조화 방안을 모색하는 형태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철강업의 특성을 최대한 고려하고 일본 및 독일과의 비교를 통해 탈동조화 분석결과의 원인과 한국 철강업에의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특히, 일본의 탈동조화 촉진 요인으로 일본 철강재의 고부가가치화, 일본 철강산업의 에너지효율기술 개발, 일본 철강산업의 전략적 M&A, 일본 철강재의 폐쇄적 유통구조에 따른 경쟁력 유지, 4가지를 제시하였다. 한국 철강업도 일본의 사례를 벤치마크로 삼아 철강재의 품질 고도화 및 품목 다변화를 통해 부가가치를 더 높이는 동시에, 신기술 개발을 통해 온실가스를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법령정보센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2022.2.14., https://www.law.go.kr/법령/기후위기대응을위한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18469,20210924)
  2. 김대수.이상엽,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과 경제성장 간 장단기 비동조화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8권 제4호, 2019, pp. 583~615.
  3. 독일 연방통계청, Database of the Federal Statistical Office of Germany - National accounts - Gross value added, Statistisches Bundesamt, 2022.2.17., https://www-genesis.destatis.de/genesis//online?operation=table&code=81000-0103&bypass=true&levelindex=0&levelid=1645309340593#abreadcrumb
  4. 박경서.서정헌.최정희.박지섭, 글로벌 공급과잉기 우리나라 철강산업의 발전방안,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광주전남본부, 2016.
  5. 박상우, 일본 철강산업의 구조개혁 성과와 시사점, 지역경제조사연구 포항 2015-5, 한국은행 포항본부, 2015.
  6. 손인성.김동구, 파리협정 이행규칙과 국내 감축정책 이행에의 시사점, 수시연구보고서 19-06,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
  7. 송성수, 철강산업의 기술혁신패턴과 전개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9.
  8. 에너지경제연구원, 2021 에너지통계연보, 2021.
  9. 연합뉴스, 신일철주금, 다시 일제때 회사 이름 '일본제철'로, 2019.3.31., (최종접속일: 2022.2.16.), https://www.yna.co.kr/view/AKR20190331027500073
  10. 이동이, "국내 철강산업의 현황과 과제", 산은조사월보, 제777호(2020.8.), pp. 53~85. KDB 산업은행 미래전략연구소, 2020.
  11. 이진우, 중국산 철강제품이 힘 못 쓰는 일본 철강시장의 특성과 시사점, 포스코경영연구원, 2015.
  12. 일본 내각부, 2020年度国民経済計算 (2020년도 국민경제계산), 内閣府, 2022.2.18., https://www.esri.cao.go.jp/jp/sna/data/data_list/kakuhou/files/2020/2020_kaku_top.html
  13. 일본 자원에너지청, 集計結果又は推計結果 (総合エネルギー統計), 집계결과 또는 추계결과 (종합에너지통계), 経済産業省 資源エネルギー庁, 2022.2.17., https://www.enecho.meti.go.jp/statistics/total_energy/results.html
  14. 일본철강연맹, 鉄鋼業の地球温暖化対策への取組: 低炭素社会実行計画実績報告, 철강업의 지구온난화대책에 관한 대처: 저탄소사회실행계획 실적보고, 日本鉄鋼連盟, 2020.
  15. 임형우.조하현, "경제성장과 탄소배출량의 탈동조화 현상 분석: 63개국 동태패널분석 (1980~2014년)",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8권 제4호, 2019, pp. 497~526.
  16. 임형우.조하현, "교통부문 탄소배출 탈동조화 현상의 원인분석 및 에너지전환의 효과: OECD 25개국 패널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9권 제3호, 2020, pp. 389~418.
  17. 정성모, 「경북 철강산업 구조 고도화 전략 구축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경상북도.포항공과대학교, 2016.9.
  18. 조항, "일본 철강상사: 통합과 재편의 역사", 「POSRI 이슈리포트」, 포스코경영연구원, 2019.12.31.
  19. 포스코, 「포스코 기업시민보고서 2018」, 2019.
  20. 포스코경영연구소, 「주요국 철강산업의 발전과 시사점」, 2005.11.22.
  21.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 - 10, 국민계정(2015년 기준년), 2022.2.16., http://ecos.bok.or.kr/
  22. 한국은행, 「국민계정」, 통계정보 보고서, 2020.
  23. 한국철강협회, 「철강업종 온실가스 배출 감축 분석」, 한국철강협회 내부자료, 2018.12.6.
  24. 한일재단 일본지식정보센터, 「일본의 철강 제품별 시장 분석」, 일본지식리포트_일본시장, 2016.
  25. 허진석, "선진국 고로사의 고객밀착 고부가가치화 전략에 관한 연구", 「POSRI 경영연구」, 제4권 제41, 2004, pp. 77~98.
  26. 환경부,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이정표 마련", 보도자료(2021년 10월 27일자), 2021a.
  27. 환경부, "2021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1990-2019) 공표",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공표 온실가스통계(2021년 12월 30일자), 2021b.
  28. Cohen, G., J. T. Jalees, P. Loungani, and R. Marto, "The Long-run Decoupling of Emissions and Output: Evidence from the Largest Emitters," Energy Policy, Vol. 118, 2018, pp. 58~68. https://doi.org/10.1016/j.enpol.2018.03.028
  29. Eurostat, Energy balance sheets, 2022.2.18., https://ec.europa.eu/eurostat/web/energy/data/database
  30. IPCC,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6.
  31. IPCC, Revised 199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996.
  32. JASE-W, Japanese Smart Energy Products & Technologies 2022 - Coke Dry Quenching (CDQ), Japanese Business Alliance for Smart Energy Worldwide, 2022.2.18., https://www.jase-w.eccj.or.jp/technologies/pdf/iron_steel/S-10.pdf
  33. Nippon Steel, Nippon Steel's Environmental Initiatives, December 2019, Nippon Steel Corporation, 2019.
  34. OECD, Indicators to Measure Decoupling of Environmental Pressure from Economic Growth, SG/SD(2002)1/FINAL. May 2002.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2.
  35. OECD, STAN Industrial Analysis (2020 e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22.2.17., 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STANI4_2020
  36. RITE, 2015年時点のエネルギー原単位の推定 (鉄鋼部門-転炉鋼), 2015년 시점의 에너지원단위 추정(철강부문-전로강), Research Institute of Innovative Technology for the Earth (地球環境産業技術研究機構: 지구환경산업기술연구기구), 2018.
  37. Tapio, P., "Towards a Theory of Decoupling: Degrees of Decoupling in the EU and the Case of Road Traffic in Finland between 1970 and 2001," Transport Policy, Vol. 12, No. 2, 2005, pp. 137~151. https://doi.org/10.1016/j.tranpol.2005.01.001
  38. UN, EC, OECD, IMF, WB, System of National Accounts 2008, United Nations, European Commission,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International Monetary Fund, World Bank, 2009.
  39. UNEP, Decoupling Natural Resource Use and Environmental Impacts from Economic Growth, A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Decoupling to the International Resource Panel,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1.
  40. UNFCCC, Greenhouse Gas Inventory Data - Flexible Queries Annex I Parties,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2022.2.15., https://di.unfccc.int/flex_annex1
  41. Wang, H., "Decoupling Measure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nergy Consumption of China," Energy Procedia, Vol. 5, 2011, pp. 2363~2367. https://doi.org/10.1016/j.egypro.2011.03.406
  42. WSA, Steel Statistical Yearbook 2009, World Steel Association, 2009.
  43. WSA, Steel Statistical Yearbook 2019, World Steel Association,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