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gitimacy of the wartime maritime blockade of the Korean Peninsula : Focusing on the response to ships in neutral countries

전시 한반도 근해 해상봉쇄의 합법성: 중립국 선박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2.08.29
  • Accepted : 2022.11.21
  • Published : 2022.12.01

Abstract

The maritime blockade has long been used as a means of war in that it serves as a bridge for economic warfare by paralyzing enemy maritime transport, although it is not a decisive battle, and in the Korean War, U.N. forces have achiev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war with limited maritime blockade through the Clark Line. However, with China emerging as a maritime powers based on its strong naval power,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on how to set up a blockade to block maritime activities and how to respond neutral ships or carrying wartime contraband products if war breaks out again on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since maritime blockade should be used as a sensitive and flexible naval force projection in that it has interests with neutral countries, it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in that it can be used only through careful and reasonable judgment considering the principle of ensuring the legality of maritime blockade Therefore, in this study, Reexamin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app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Law of Blockade, and through this, Derive the basic principle of ensuring the legitimacy of maritime blockade. In addition, by reviewing the application of these basic principles in the waters off the Korean Peninsula at wartime, we presented answers to research questions by reviewing what needs to be done to neutral ships and ships carrying wartime contraband products, and considered the implications for us

전쟁에 있어서 해상봉쇄는 결정적인 전투행위를 담당하지는 않아도 적의 해상수송을 마비시키는 역할을 통해 경제전을 위한 가교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오랜시간 동안 전쟁의 수단으로 활용되어왔고, 한국전쟁에서도 유엔군은 클라크 라인을 통한 제한적 해상봉쇄로 전쟁에서 상당한 효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해상봉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해양강대국으로 부상한 현 상황을 고려할 때 한반도에서 다시금 전쟁이 발발한다면 어떻게 봉쇄선을 설정하여 해상활동을 차단할 것인지, 특히 중립국 선박이나 전시금제품을 수송하는 선박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부족하다. 또한 봉쇄는 중립국과의 이해관계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예민하고 융통성 있는 해군력 투사 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하므로 봉쇄의 합법성을 보장하기 위한 원칙을 고려하여 신중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통해 활용될 때에만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실행에 앞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상봉쇄법 적용의 변천 과정을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해상봉쇄의 합법성을 보장하는 기본원칙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전시 한반도 근해에서 이러한 기본원칙의 적용방안과 함께 중립국 선박과 전시금제품 운반선박에 대해서는 어떤 대응이 필요한지를 검토함으로서 연구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 우리에게 주는 함의를 고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민효, 『해상무력분쟁법』,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0).
  2. 이민효, 『해양에서의 군사활동과 국제해양법』, (서울 : 연경문화사, 2007).
  3. 이한기, 『국제법 강의』, (서울 : 박영사, 2006).
  4. Michael Bothe, "The Law of Neutrality", in Dieter Fleck (ed.), The Handbook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 N, Ronzitti, The Law of Naval Warfare, (London : Martinus Niijhoff Publishers), 1988.
  6. 김동욱, "현대 잠수함전을 규율하는 전쟁법에 관한 연구", 『인도법 논총』, 2005.
  7. 김득주, "걸프전쟁의 국제법적 조명", 『국방연구』제35권 2호, 1992.
  8. 김보영, "유엔군의 해상봉쇄.도서점령과 NLL", 『한국근현대사연구』제62집, 2012.
  9. 김영규, "해상봉쇄의 변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
  10. 박성호, 이윤철, "국제해협의 통과통항제도와 호르무즈 해협의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해사법 연구』Vol 24 No 1, 2013.
  11. 안준형, "국제법상 중립법의 실효성과 한반도에서의 적용" 『국제법학회논총』 제61권 3호, 2016.
  12. 이민효, "해상봉쇄법의 변천과 한반도에서의 적용에 관한 연구", 『국제법학회논총』, 제46권 제1호, 2001.
  13. 이민효,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주요 해전에서 전쟁수역의 설정과 운용에 관한 연구", 『군사』제72호, 2009.
  14. 이헌상, 『해양분쟁과 해군력의 역할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15. Adam Biggs and Dan Xu, "Theoris of naval blockade and their applic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Naval War College Review, Vol. 74, 2021.
  16. D. Vagts, "The Traditional Legal Concept of Neutrality in a Changing Environment", American University International Law Review, 1998.
  17. James F, Mcnilty, "Blockade : Evolution and Expectation", US Naval War College International Law Studies, 1980, pp. 172-174.
  18. Magne Frostad, Naval Blockade, Arctic Review on Law and Politics Vol. 9, 2018, N Ronzitti(ed), The Law of Naval Warfare:A Collection of Agreements and Documents wothe Commentaries, Martinus Nijhoff Puvlishers, 1988
  19. R. W. Tucker, The Law of War and Neutrality at Sea, U.S. Naval War college, 1955
  20. US Department of Defense, "Law of War Manual 13.10.", 2015.
  21. 대통령 긴급명령 제12호, 포획심판령(1952.10.4.).
  22. 연합뉴스, "전쟁 자동개입 '北中조약' 사실상 사문화"(종합) 2011.9.2.
  23. 한겨레 신문, "중 외교부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전진 원해", 2022.5.20.
  24. Convention (XIII) concerning the Rights and Duties of Neutral Powers in Naval War, Jan. 26, 1910.
  25. Geoffrey Palmer,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s Panel of Inquiry on the 31 May 2010 Flotilla Incident, July 2011.
  26.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Nuremberg. Judgment of 1 October 1946, para 508 : war crime.
  27. Legality of the Threat or Use of Nuclear Weapons, Advisory Opinion, ICJ Reports 1996.
  28. San Remo Maual on International Law Applicable to Amred Conflcit at Sea, 1994, Schmitt, Tallinn Manual 2.0.
  29. US Navy, The Commanders Handbook of the Law of Naval Operation, 7.4.2.
  30. YU BIN, China's Neutrality in a Grave New World, Russia in global affairs, 202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