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iciency Measurement Method for the Development Process of Online Content

온라인콘텐츠 개발프로세스의 효율성 측정방법 연구

  • 윤봉식 (남부대학교 IT공학과) ;
  • 유소월 (조선대학교 SW중심대학사업단)
  • Received : 2021.11.15
  • Accepted : 2022.02.14
  • Published : 2022.02.28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online commercializing technology and the growth of online market, it has become extremely important for companies that aim to commercialize their products and services to control time and resources. Even when a single company has control over the entire proces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efficiency amo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lot of cooperation throughout the course of development, requiring many parti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issue of declining efficiency becomes much clearer. The timing of when to launch a product or service has become just as important as completing and testing them for companies. Companies have developed new tools to prevent situations that may lead to inefficiency in the development process, including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resource used or issues with security maintenan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proper measurement tool that assesses what kind of additional benefits the entire process of the company is bringing, or whether or not the processes need to be improved in certain areas.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 to measure efficiency, to provide an empirical efficiency measurement method for the development process of online content.

온라인 사업화 기술의 발달과 온라인 시장의 확대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사업화하는 기업에게는 시간과 재원을 통제하는 것이 매우 주요한 과업이 되었다. 단일 기업이 전 프로세스를 통제하는 경우에도 개발공정 간의 효율성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소통주체가 많아지는 협력과정을 통한 개발의 경우에는 협업 공정 간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보다 크게 나타나게 된다. 기업들에게 개발품의 완성과 검수 못지않게 출시 시점이 중요해졌고, 개발 기간의 정체에 따른 투입 재원의 증가와 보안 유지 문제 등 개발 효율성이 저해될 수 있는 여건들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툴을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기업들이 적용 중인 전사적 공정이 어떠한 효익을 부가적 성과로 내고 있는지 또는 개선이 필요한지에 대해 측정 도구가 적정치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성 측정방법의 제안과 기업들의 프로세스 개선 결과에 대한 효율성 측정실험을 통해 콘텐츠개발 프로세스의 실증적 효율성 측정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 2019R1A2C1010838).

References

  1. "Our Shared Digital Future Building an Inclusive, Trustworthy and Sustainable Digital Society", World Economic Forum o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pp. 33-44, Dec. 2018.
  2. Velarde Joey, Kramhoft Claus and Sorensen John Dalsgaard, "Global sensitivity analysis of offshore wind turbine foundation fatigue loads", Renewable Energy, vol. 140, pp. 177-189. Sep. 2019. https://doi.org/10.1016/j.renene.2019.03.055
  3. 윤봉식, "형태적 관점의 콘텐츠 UI구조 분석 방법 설계," 스마트미디어저널, 제8권, 제4호, 58-63쪽, 2019년 12월 https://doi.org/10.30693/SMJ.2019.8.4.58
  4. Seiford Lawrence M and Thrall Robert M., "Recent developments in DEA," Journal of Econometrics, Elsevier, vol. 46, no. 1, pp. 7-38, Oct.-Nov. 1990. https://doi.org/10.1016/0304-4076(90)90045-U
  5. Robert M. Nosofsky, "Attention, Similarity, and the Identification-Categorization Relationship," Journal of Expcrimmatal Psychology: General, vol. 115, no. 1, pp. 41-42, 1996.
  6. D.E. Kornbrot, "Theoretical and Empirical Comparison of Luce's choice model and logistic Thurstone model of categorical judgment", Perception and Psychophysics, vol. 24, no. 3, pp. 193-208, 1978. https://doi.org/10.3758/BF03206089
  7. 조재훈, "정보이론과 신경망의 가중치를 이용한 속성 선택,"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8권, 제1호, 197-198쪽. 2008년 4월
  8. Skalak, D. B., "Prototype and Feature Selection by Sampling and Random Mutation Hill Climbing Algorithms," Machine Learning - Proc. International Workshop then CONF, vol. 11, pp. 293-301, Jul. 1994.
  9. Ahn, B.S., "Developing Group Ordered Weighted Averaging Operator Weights for Group Decision Support," Group Decision and Negotiatio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vol. 23, no. 5, pp. 1129-1131, 2014.
  10. 정지안. "다기준의사결정의 가중치도출방법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과 절차의 개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19쪽, 2000년
  11. Staffan Persson, Hairong Wei, Jennifer Milne, Grier P. Page and Christopher R. Somerville, "Identification of Genes Required for Cellulose Synthesis by Regression Analysis of Public Microarray Data Sets," Proc.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02, no. 24, pp. 8633-8638, 2005.
  12. 류영아, 김건위.,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한 보육시설 평가", 지방행정연구, 제20권, 제2호, 225-254쪽, 2006년 6월
  13. 윤봉식, 유소월, "AR기반 교육용 콘텐츠분석을 위한 통계분석서비스 모형 설계," 스마트미디어저널, 제9권, 제4호, 66-72쪽, 2020년 12월
  14. 류승호, "컨버전스 제품 개발을 위한 기능의 결합조건에 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l2권, 제4호, pp. 48-49,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