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과 왕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Royal Garden and Royal Capital in North-East Asia

  • Jeon, Yong-H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22.11.21
  • 심사 : 2022.12.10
  • 발행 : 2022.12.31

초록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은 왕도와 왕궁에서의 위치 관계에 따라 왕궁 내부의 북쪽, 왕궁 외부의 북쪽, 왕궁 내부나 외부의 남쪽에 위치하는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전조후침(前朝後寢)의 중국 고대 궁실제도를 따른 전형적인 궁원이다. 두 번째는 왕궁과 독립적으로 위치하거나, 금원(禁苑)으로 확장되는 궁원이다. 세 번째는 왕궁의 남쪽에 위치하면서 유락(遊樂)이나 향연(饗宴)으로 특화한 궁원이다.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의 유형은 정궁(正宮)과 별궁(別宮) 혹은 이궁(離宮), 금원(禁苑)과의 관계에 따라 구분되고 각각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 번째는 익산 왕궁리 유적의 궁원을 비롯하여 한 장안성, 북위 낙양성과 남조 건강성, 당 대명궁 등에 이르기까지 정궁의 궁원으로 자리잡아왔다. 여기에서는 왕궁 안으로는 궁원이 내원(內苑)으로, 왕궁 밖으로 금원이 외원(外苑)으로 분리되어 있다. 반면에 두 번째는 궁원(宮苑)과 금원(禁苑)이 일체화되어 있다. 세 번째는 왕궁의 일부분을 구성하거나 왕도에서 정궁과 독립된 공간으로 별궁이나 이궁의 궁원으로 특화되어 왔다. 중국은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의 전형(典型)을 만들었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한국의 백제와 신라, 일본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나름대로 독창성을 발휘하여 독특한 궁원을 발전시켜 나갔다. 백제왕도 익산의 궁원은 위진남북조시대의 궁원을, 사비도성의 궁원은 진·한대와 수·당대의 궁원을, 신라왕경의 궁원은 사비도성과 당의 궁원을, 일본 아스카~나라시대의 궁원은 백제와 신라의 궁원을 영향을 각각 받았다. 그렇지만 이들 궁원은 각각 나름대로 자신만의 독특한 궁원의 특징도 지니고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은 지역에 따라 계통이 달랐음을 알 수 있다. 평양 안학궁은 궁원으로 보아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영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안학궁 하부의 유구 중복 관계나 유물로 보아 그 초축 시기는 5~6세기로 올려보기 어렵고 대체로 7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평양 안학궁의 궁원은 평양 장안성의 정궁에 대응하는 별궁 혹은 이궁의 궁원으로서 한국 통일신라시대 동궁과 월지나 일본 나라시대 평성궁 동원정원(東院庭園)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점으로 보아, 평성궁 동원정원(東院庭園)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궁원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의 고대 왕도라는 큰 틀에서 궁원의 위치 관계로 그 특징과 변천을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로 적지 않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런 한계들을 조금씩 해결하여 나간다면,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에 대한 이해의 폭이 훨씬 넓어지리라 기대해 본다.

The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garden is divided into three types, located in the north inside the palace, in the north outside the palace, and in the south inside or outside the palace, depending on the 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oyal capital and the royal palace. The first is a typical royal garden that follows the ancient Chinese court system of the Chao-hu-chim(前朝後寢). The second is a royal garden located independently of the royal palace, which extends to Geumwon(禁苑). The third is located in the south of royal palace and is the royal garden specialized in Yurak(遊樂) or Hyangyeon(饗宴). The types of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garde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 palace(正宮) and secondary palace(別宮), detached palace(離宮), and Geumwon(禁苑), and each has unique characteristics. The first has been established as the garden of the main palace, including the royal garden at Wanggung-ri site in Iksan(益山 王宮里 遺蹟), Han Chang'an capital(漢 長安城), BeiWei Luoyang capital(北魏 洛陽城), Jiankang capital in Southern Dynasties(南朝 建康城), and Daminggong(大明宮) in Tang Dynasty. Here, the royal garden is divided into Naewon(內苑) inside the royal palace and Geumwon(禁苑), outside the royal palac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is the royal garden that the royal palace and Geumwon(禁苑) are united. The third is the royal garden that forms part of the royal palace or is independent of the royal palace, and has been specialized as a secondary palace(別宮) and detached palace(離宮). China created the model of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gardens, and based on this, Baekje, Silla, and Japan of Korea influenced each other and developed a unique palace by showing their originality. The royal garden at Wanggung-ri site in Iksan(益山 王宮里 遺蹟) was influenced by royal gardens of Wei-Jin and Northern & Southern Dynasties(魏晉南北朝). And royal gardens of the Sabi Capital(泗沘都城) were influenced by royal gardens of Jin(秦), Han(漢), Sui(隋), and Tang(唐), and royal gardens of Silla(新羅) were influenced by the royal gardens of Baekje(百濟) and Silla. However, each of these royal gardens also has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From this aspect, it can be seen that the ancient North-East Asian court had different lineages depending on the region. Anhakgung Palace in Pyongyang(平壤 安鶴宮) is more likely to be viewed as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n the Goryeo Dynas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raise it to the 5th and 6th centuries due to the overlapping relationship and relics of the lower part of Anhakgung Palace(安鶴宮), and it is generally presumed to be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The royal garden at Anhakgung Palace is a secondary palace(別宮) or detached palace(離宮) that corresponds to the palace of Jang-an capital(長安城) in Pyongyang and is believed to have influenced Dongwon garden(東院庭園) of Heijokyu(平城宮) and Donggung(東宮) and Wolji(月池) in Gyeongju. From this point of view, Dongwon garden(東院庭園) of Heijokyu(平城宮) seems to be related to the palace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This study has many limitations as it focuses on its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s due to the location of the palace in the large framework of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capital. If these limitations are resolved little by little, it is expected that the understanding of ancient North-East Asian royal gardens will be much wider.

키워드

참고문헌

  1. 기경량(2017). 한국 고대사에서 왕도(王都)의 개념. 역사와 현실. 104: 159-188.
  2. 노재현(2014). 익산 왕궁리 정원의 괴석과 유수 시설에 대한 일고찰. 古代 東亞細亞 都城과 益山 王宮城(上).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pp.182-207.
  3. 전용호(2016).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후원의 위상과 의미에 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4): 1-13.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4.001
  4. 전용호(2021). 백제 궁원(宮苑)의 특징과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 한국역사고고학논문집. 도서출판 비천당. pp.141-213.
  5. 최문정(2014). 익산 왕궁리유적 후원(後苑)의 조성 시설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1-9.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3.001
  6. 姜泰昊(1997). 中國 古典園林의 發展過程-皇家園林을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5(2): 85-99.
  7. 김용기.최종희(2004). 한국의 궁궐조경. 韓國傳統造景學會誌. 22(4): 115-121.
  8. 박경자.양병이(2000). 韓.中.日 古代 苑池의 比較硏究-立地, 機能을 중심으로-. 韓國庭苑學會誌. 18(3): 1-11.
  9. 신상섭(2017). 1장, 원림의 역사. 산림문화전집. 8: 1-63.
  10. 이상필.강철현.이재근(2006). 한국 전통 원지 조영에 관한 연구-발굴조사된 원지를 중심으로. 韓國傳統造景學會誌. 24(3): 51-66.
  11. 오승연(2004). 한국 고대 궁원지의 전개양상과 사상적 배경에 관한 연구. 문화재지. 37: 65-89.
  12. 栗野 隆(2007). 정원 스타일의 모방과 창조-苑池의 공간 디자인과 고대 한.일-. 韓日文化財論集 I. 국립문화재연구소. 134-161.
  13. 龔國强(2009). 6~7세기 중국 황궁 원림 약론. 익산 왕궁리유적-발굴 20년 성과와 의의-.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131-147.
  14. 김영모(2012). 백제 사비기 도성과 정원, 고대정원비교연구.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pp.8-36.
  15. 周維权(2008). 中國古典園林史(第三版). 靑華大學出版社.
  16. 국립문화재연구소(2005). 중국 고대도성 조사보고서.
  1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12). 고대정원 비교연구.
  1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14). 古代 東亞細亞 都城과 益山 王宮城(上.下).
  1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10). 王宮里 發掘中間報告 VII.
  20.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15). 王宮里 發掘中間報告 X.
  21. 飛鳥資料館(2005). 東アジアの古代苑池.
  22. 李珠魯(1997). 중국원림과 중국문화-원림의 개념과 종류를 중심으로-. 中國文學. 33: 15-30.
  23. 李珠魯(2001). 中國園林의 歷史的 變遷에 관하여. 中國文學. 38: 211-228.
  24. 李珠魯(2002). 中國園林의 歷史的 變遷에 관하여(II) - 隋.唐代의 園林. 中國文學. 38: 17-30.
  25. 劉振東(2011). 中國 古代 都城의 園林. 百濟硏究. 53: 1-20.
  26. 국립문화재연구소(2020). 개성 고려궁성 남북공동 발굴조사보고서III.
  27. 김규순(2017). 조선 궁궐 입지 선정의 기준과 지형에 대한 연구. MUNHWAJAE. 52(3): 130-145.
  28. 박윤정(2007). 한일 고대 원지의 변화를 통해 본 구황동 원지의 성격 연구. 韓日文化財論集 I. 국립문화재연구소. 88-133.
  29. 奈良縣立橿原考古學硏究所(2013). 史蹟.名勝 飛鳥京蹟苑池 第8次調査(飛鳥京蹟第174次調査) 현장설명회자료.
  30. 小野 健吉(2011). 古代 日本의 宮苑. 百濟硏究. 53: 89-108.
  31.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09). 扶餘 官北里百濟遺蹟 發掘報告 III-2001~2007年 調査區域 百濟遺蹟篇-.
  3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2019). 慶州 東宮과 月池 III 發掘調査報告書.
  3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07). 宮南池III 南便一帶 發掘調査報告書.
  34. 고구려연구재단(2006). 고구려안학궁 조사 보고서 2006.
  35. 朴淳發(2012). 高句麗의 都城과 墓域. 한국고대사탐구. 12: 4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