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Residents' Propensity to Stay in Their Current Residence: Focused on Aging Effect

지역소멸 위기감이 계속거주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유나영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 이기훈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 마강래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Received : 2022.11.01
  • Accepted : 2022.12.06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Previous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s' migration have shown that residents who feel dissatisfied with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re more likely to move to another area than those who feel satisfi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decline of the place and its impact on the intention to stay.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Hankyoreh 21 survey of the residents who have been residing in the declining regions.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residents have a much higher propensity to stay as they become older. The fact that residents' staying intention tends to increase with age seems to be closely related to physical and economic constraints of older residents.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from the result that the elderly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disadvantageous environments than the young residents in the declining regions.

계속거주의향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지역소멸 위기를 더 많이 느끼는 주민일수록 지역을 떠나겠다는 의향을 밝힐 확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이동성 제약을 고려해 본다면, 지역쇠퇴와 이주의향의 관계성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소멸 위기감이 계속거주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이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한겨레21>의 「인구감소 지역 주민들의 생활 실태와 인식 조사」자료를 사용해 분석한 결과, 계속거주의향에 대한 지역소멸 위기감의 영향력은 나이가 많을수록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대응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연령에 따른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중앙대학교 CAU GRS 지원에 의하여 작성되었음.

References

  1. 강영웅.이승종.이혜림, 2020, "지방공공서비스가 욕구충족 집단별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54(3), 107-140.
  2. 김영주.유병선, 2012, "주거환경만족도와 커뮤니티 의식이 도시 거주자의 이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8(6), 219-226.
  3. 김형준, 2021, "거주지역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1인 가구의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택도시연구」, 11(1), 23-40.
  4. 김호.남영숙, 2017, "도시와 농촌 학생들의 지역 환경 인식이 정주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대전과 전남(나주, 영광, 영암) 지역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환경교육」, 30(4), 410-428. https://doi.org/10.17965/KJEE.2017.30.4.410
  5. 문경주.장수지, 2020, "다층모형을 이용한 부산지역 중장년층의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항도부산」, 39, 413-448.
  6. 박해긍, 2018, "지역주민의 주거환경만족도가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 -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9(2), 163-174.
  7. 여유진, 2008, "한국에서의 교육을 통한 사회이동 경향에 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28(2), 53-80. https://doi.org/10.15709/HSWR.2008.28.2.53
  8. 이미애.이승종, 2016, "지역주민의 정주의식과 커뮤니티웰빙과의 관계 - Kee 6자본 모형의 적용", 「한국정책학회보」, 25(2), 1-28.
  9. 이상호, 2022, "일자리 양극화와 지방소멸 위기, 대안적 일자리 전략이 필요하다", 「지역산업과 고용」, 8-21.
  10. 이지은.이경은, 2020, "주거환경만족도와 지역주민의 정주의도 - 연령집단 간 비교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4(2), 57-86.
  11. 최일진.남황우, 2015, "정주의식 향상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전북 고창군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8(3), 1-30.
  12. 최정신.황정임.최윤지.한송희, 2018, "농촌지역 청년층의 이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지역생활 만족도와 공동체의식을 중심으로", 「지역산업연구」, 41(4), 195-211.
  13. 통계청, 2020,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과 향후 인구전망"
  14. Carling, J., 2002. Migration in the age of involuntary immobility: theoretical reflections and Cape Verdean experiences,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28 (1), 5-42. https://doi.org/10.1080/13691830120103912
  15. Cook, C. C., Martin, P., Yearns, M., & Damhorst, M. L., 2007, "Attachment to "place" and coping with losses in changed communities: A paradox for aging adults",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35(3), 201-214. https://doi.org/10.1177/1077727x06296794
  16. Gilleard, C., Hyde, M., & Higgs, P., 2007, The impact of age, place, aging in place, and attachment to place on the well-being of the over 50s in England, Research on Aging, 29(6), 590-605. https://doi.org/10.1177/0164027507305730
  17. Lawton, M. P., 1986, "Older people on the move. In: Environment and Aging", Center for the Study of Aging, New York, 135-150.
  18. Morrison, P. A., 1967, Duration of residence and prospective migration: the evaluation of a stochastic model, Demography, 4(2), 553-561. https://doi.org/10.2307/2060298
  19. Preston, V., 1984, A path model of residential stress and inertia among older people, Urban Geography, 5(2), 146-164. https://doi.org/10.2747/0272-3638.5.2.146
  20. Turner, J. H., 1985, The Concept of 'Action' in Sociological Analysis, in Seebass, G., Tuomela, R. (eds) "Social Action", 6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