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chnology for recycling plastic waste from households into roof tiles

생활계 폐합성수지의 건축용 기와 재자원화 기술

  • 강혜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영지원본부 ) ;
  • 강석표 (우석대학교 건축학과) ;
  • 신성철 ((주)이에스알 산업) ;
  • 신은미 ((주)이에스알 산업)
  • Published : 2022.12.30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신성철, "생활계복합 폐플라스틱 물질재활용 제품의 품질향상 방안 연구",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 
  2. 윤부선, "복합폐플라스틱의 열화특성에 대한 수명예측 연구", 2021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가을 학술발표 논문집, 폐유리와 폐플라스틱의 건설순환자원화 기술, pp.233~234, 2021. 
  3. 강석표, 강혜주, 김상진, 신성철, & 이민희. (2021). r-LDPE 혼입율에 따른 생활계 복합 폐플라스틱 물질재활용 제품 특성.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9(4), 425-432.  https://doi.org/10.14190/JRCR.2021.9.4.425
  4. 강석표, 강혜주, 신성철, 김영식, & 이후석. (2020). 생활계 폐플라스틱 물질 재활용 제품의 품질안정화를 위한 기초 요인 검토.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8(4), 436-443.  https://doi.org/10.14190/JRCR.2020.8.4.436
  5. 강혜주, 신성철, & 강석표. (2020). 생활계 폐합성수지 물질 재활용 제품의 생산시기별 품질 특성.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2), 167-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