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 공간 워크스루형 XR(eXtended Reality) 융합 교육 훈련 시스템의 주요 기술과 특성

  • 최정환 ((주)스코넥엔터테인먼트)
  • Published : 2022.01.30

Abstract

최근 가상현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산업계 및 공공기관(국방부, 소방청, 경찰청, 환경부 등)에서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교육, 훈련 시스템 개발에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가상현실 기술이 적용된 교육, 훈련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유형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특히 기본적인 가상현실 기술에 더하여 현실과 같은 UX(유저 경험)을 구현하면서 제한된 현실 공간을 기반으로 실 세계에서 구현하기 힘든 규모가 큰 재난대응 및 팀 훈련을 가상공간에서 구현 가능한 기술이 추가된 '대 공간 워크스루형 XR 융합 교육 훈련 시스템'의 유형이 제시되고 있다. '대 공간 워크스루형 XR 교육 훈련 시스템'은 필요한 교육 훈련 내용에 맞춘 시나리오에 따라 현실의 훈련 공간의 크기, 사용 디바이스 및 하드웨어의 종류, 요구되는 시스템의 기능이 달라지는 등 다양하게 특성이 요구된다. 본 기고에서는 이러한 '대 공간 워크스루형 XR 교육 훈련 시스템'의 주요 기술과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n, D., & Park, H., (2013).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Technical Training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School of Electrical, Electronics & Communication Engineering, KOREATECH, Cheonan 330-240, Korea.
  2. Bum, W., Kim, J., & Kim, N., (2019). VR,AR을 활용한 실감형 교육콘텐츠 정책동향 및 사례분석 NIPA 이슈레포트. 2019-15호, NIPA.
  3. Choi, J., & Han J., (2021a).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2021 한국 공간디자인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4), 260-263.
  4. Choi, J., & Yuk, J., (2020). 전투력 강화를 위한 VR(가상현실) 기술 기반의 대 공간 하이브리드 형 체감 통합 모의훈련 시뮬레이터. SKONEC Entertainment Co.,LTD.
  5. Choi, J., & Yuk, J., (2021b). 확장현실 기반 복합테러대응 교육훈련 테스트베드 구축(XR). SKONEC Entertainment Co.,LTD.
  6. Jeon, C., (2016). 일상에서 VR을 즐기기 위해 넘어야 할 기술 장벽은?. 문화와 기술의 만남.
  7. Kim, J., Bak, D., Lee, P., Jo, J., Yun, S., & Pak, S., (2020). Development of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for Realistic Virtual Reality Field Training Exercise Contents : A Case Study. Korea Computer Graphics Socity, 26(11), 111~121. https://doi.org/10.15701/kcgs.2020.26.3.111
  8. Lars, O., Flex, R., Robin, J., Wai, Y., & Thorsten, Q., (2021). The Slippery Path to Total Presence: How Omnidirectional Virtual Reality Treadmills Influence the Gaming Experience.
  9. Mun, J., & Kang, H., (2020). 가상, 증강현실(XR)을 활용한 교육훈련분야 용도 분석. NIPA 이슈레포트 2020 19호, NIPA.
  10. Shin, C., Pak, B., & Jeong, G., (2012). 가상현실훈련 기술 및 응용 발전 동향. 한국정보통신학회지 16권 1호, 전자부품연구원 실감정보플랫폼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