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인공지능 안무 시대의 주체적 몸을 위한 제언

Suggestions for the Independent Body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oreography

  • 투고 : 2021.12.23
  • 심사 : 2022.01.12
  • 발행 : 2022.01.28

초록

본 연구는 기계에 의한 안무가 시작된 오늘날 인공지능이 무용예술에 가져올 변화를 예측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인간예술가로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질문을 찾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연구는 기계창작예술 시대에서 무용이 처할 수 있는 위기 중 하나로 인공지능이 인간 안무가의 도구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안무의 주체가 됨으로써 인간 무용수를 조종하고 제한하는 힘을 갖게 되는 것임을 안무의 정치 담론을 토대로 제시한다. 이는 인공지능이 안무의 영역을 장악하고, 인간 안무가는 무능한 관조자에 머물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무용수의 춤추는 몸은 인공지능에 의해 통제되고 조종되는 기계적인 몸으로 전락하게 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한다. 이러한 우려가 현실이 되지 않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세 가지의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안무가 및 무용수는 인공지능 예술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키워야하며 둘째, 안무가는 창작 작업에 있어 인간 안무가와 무용수, 그리고 인공지능의 역할을 정확히 구분하는 능력을 획득해야 하고 셋째, 무용과 기술의 상호매체적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됨으로써 인공지능 무용에 관한 다양한 층위의 담론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인간 무용가는 인공지능 기술의 혁신이 불러올 새로운 무용 생태계에서 수동적인 관조자가 아닌 예술의 주체로 존재하며 인공지능과 창의적이고 생산적으로 공존하는 시대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edicts and raises the changes that AI will bring to dance art when machine-based choreography began, and finds questions we can ask as human artists. Research suggests that one of the crises of dance in the era of machine creative arts i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does not stay in the tool of human choreography but becomes the subject of choreography. It is based on the political discourse of choreography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has the power to control and restrict human dancers. This comes from a sense of crisis that the AI takes over the area of choreography and the human choreographer remains an incompetent coordinator, and as a result, the dancer's dancing body can be reduced to a mechanical body controlled by AI. In order for these concerns not to become a reality, this study proposes three measures. First, choreographer and dancer should develop digital literacy to live in the age of AI art. Secondly, choreographer should acquire the ability to accurately distinguish the roles of human choreographer, dancer, and AI in creative work. Thirdly, various levels of discourse on AI dance should be formed by actively conducting mutual media research of dance and technology. Through these efforts, the human dancer will exist as a subject of art, not a passive agent in the new dance ecosystem brought by the innov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will be able to face an era coexiste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ivily and produ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Franko Mark, 「Dance and the Political in Dance Discourses: Keywords in Dance Research」, Routledge, 2007.
  2. Agamben Giorgio, What is an Apparatus? and Other Essays, Standford University, 2009.
  3. 김소울, 「인공지능(AI)의 창작물과 미술가의 창작물에서 나타나는 심미적 요소에 관한 식별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18. 19(4), 41-53쪽
  4. 김수이,「인공지능 시대, 인간의 글쓰기는 계속 가능한가-글(텍스트) 변화에 대한 비판적 예측」, 「리터러시연구」, 2019. 10(3). 283-315쪽
  5. 김정은,「무용예술, 어떻게 포스트휴먼을 선회할 것인가?」,「한국무용연구」, 2021. 39권 2호, 71-93쪽 https://doi.org/10.15726/JKD.2021.39.2.003
  6. 신경아, 「무용창작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동향」, 「우리춤과 과학기술」, 2020, 51집, 9-29쪽
  7. 이상욱, 「인공지능과 실존적 위험」, 「인간연구」, 2020. 40권 1호, 107-136쪽
  8. 이재박, 안성아. 「자동창작시대의 예술작품-인공지능은 예술 창작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 인공지능인문학연구, 2020, 5권, 27-54쪽
  9. 이형권, 「인공지능 문학의 예술적 정체성 문제」, 「현대문학이론연구」, 2021. 제85집. 173-198쪽.
  10. 한석진, 「안무 주체로서 인공지능에 대한 미학적 고찰」,「대한무용학회논문집」 2021, 79권 3호, 357-371쪽
  11. 홍선미, 박승순, 「인공지능과 예술 융합사례 고찰을 통한 안무가의 '몸' 접근법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021. 30권 5호. 775-791쪽
  12. 황종환, 「인공지능 시대에서 키에르케고어의 윤리적 책임」,2020, 5권, 95-117쪽
  13. Lepecki,Andre. 「Choreography as Apparaus of Capture」. 「TDR: The Drama Review」, 2007 Volume 51, Number 2, 2007, pp.119-123 https://doi.org/10.1162/dram.2007.51.2.119
  14. 구글아트앤컬처 https://artsandculture.goog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