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교 교육시설관리 지원시설 업무체계 재구조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structuring of Educational Facility Management Operating System

  • 김영봉 (경기도의회 특별전문위원실 ) ;
  • 이용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 투고 : 2022.12.20
  • 심사 : 2023.01.05
  • 발행 : 2022.12.31

초록

본 연구는 교육시설관리 지원시설의 학교 현장 지원 업무체계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수준, 업무영역 중요도, 재구조화 인식도와 개선 방향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교육시설관리 업무체계 전문성과 효율성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자료 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교시설 유지관리 운영 업무체계 전반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업무영역 분석도구를 도출하여 분석요소 전반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재구조화 방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분석결과로 업무영역의 만족도 차이, 업무영역 중요도 우선순위, 재구조화 방향 등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ality of the overall operating system, such a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field support work system of the Education Facilities Management Center, recognition level of restructuring of work area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school facility maintenance support in various types of future learning environments. To analyze the problem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90 education administrative officials in Gyeonggi-do. First, school site awareness and work performanc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Management Center were evaluated as "below average,"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ative work area that is practically helpful to schools. Second, in the area of organizational operation, it is desirable to avoid simple tasks with a low evaluation of "below average" and to switch to an operating system that improves efficiency. Third, the need for the facility environment area (professionalism, safety) was the highest, but the center's ability and work processing level were evaluated very low as "below average," so it is urgent to improve the center's capacity. Fourth, in the area of social and educational policy change, the center received a high score for the need for access from the perspective of a learning environment linked to future education. Therefore, a policy review on the restructuring and improvement of work areas suitable for this is necessar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섭(2020). 지방교육행정직공무원의 학교시설 유지관리업무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 맹준호 외(2014). 학교시설 유지관리 법제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환경연구원.
  3. 박성춘(2007). 학교 시설물의 효율적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신용운.노선경.이준우.박현정(2014). 학교 시설 관리 업무분석과 인력 운용 효율화 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5. 신학순(2020). 학교지원센터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양회령.신한우.김태희(2012). 학교 시설 유지 관리 업무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환경연구원학술지.
  7. 오정란(2021). 효율적인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미래형 학습공간 재구조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용환.최병묵(2016). 학교시설 유지관리 인력 운영 구조체제 요구 분석,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학술지, 제5권, 제3호.
  9. 이종국(2022). 교육시설물 안전강화사업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춘경.전용일.박태근(2007). 학교 시설물 유지 관리 효율화를 위한 지원 체계 구축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1. 이화룡.윤천근(2007). 초.중등학교 시설기준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12. 진재봉(2015). 학교시설 유지관리의 효율적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정승진.윤춘식.김진희.조규진(2017). 경기도교육시설관리센터 운영 정책 방향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14. 정주성(2012). 교육시설 정책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건축공간 변화 추이 분석,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 제19권.
  15. 조창희.이화룡(2008). 학교시설 유지관리의 민간 위탁에 관한 연구, 학교 교육시설학회지.
  16. 조현(2018). 학교시설관리 인식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17. 경기도교육청(2022). 경기형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설명자료.
  18. 경기도교육청(2015). 교육시설관리센터」모델 구축 계획(안).
  19. 경기도교육청(2016). 2016년 교육시설관리센터 시범사업에 따른 연간 업무 계획 수립(안).
  20. 경기도교육청(2017). 2017년 교육시설관리센터 업무 효율화 추진 세부 계획(안).
  21. 경기도교육청(2018). 2018년 교육시설관리센터 시범사업운영 기본 게획(안).
  22. 경기도교육청(2019). 교육시설관리센터 일반화 추진 계획(안).
  23. 교육부(2022). 2022년 업무 보고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 대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