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terpretation of the Folktale 'the Servant Who Ruined the Master's House'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Centering on the Trickster Archetype

민담 '주인집을 망하게 한 하인'의 분석심리학적 이해: 트릭스터 원형을 중심으로

  • 노명선 (노명선정신건강의학과의원)
  • Received : 2022.10.19
  • Accepted : 2022.12.11
  • Published : 2022.12.25

Abstract

Through this thesis,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the Korean folktale 'the servant who ruined the master's house' was examined. The opposition between the master and the servant is a universal matter of the human psychology. It can be seen as a conflict between the hardened existing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the new consciousness to compensate for and renew it. From different angles, it has become the opposition between man's spiritual and instinctive aspects,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or between the ego and the shadow. In the folktale, the master tries several times to get rid of the youngest servant, but the servant uses tricks and wits to steal food, a horse, the youngest sister, and all money from the master, and finally, take his life. It ends with the marriage of the youngest sister and the servant. Enantiodromia, in which the master dies, and the servant becomes the new master, can be seen that the old collective consciousness is destroyed, and the new consciousness that has risen from the collective unconscious takes the dominant position. In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situ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xisting attitude of the ego is dissolved and transformed into a new attitude. In the middle of the story, the servant marries the youngest sister by exploiting naive people to rewrite the back letter written by the master to kill him. This aspect can be understood negatively in the moral concept of collective consciousness, but it can also be seen as a process of integrating mental elements that have been ignored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Joseon Dynasty, symbolized by a woman, a honey seller, and a hungry Buddhist monk. The new consciousness, represented by the servan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trickster that is not bound by the existing frame, so it can encompass the psychological elements that have been ignored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Such element may represent compensation or an alternative to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aster puts the servant in a leather bag and hangs it on a tree to kill the servant. However, the servant deceives a blind man; he opened his eyes while hanged. Instead of the servant, the blind man dies, and the servant is freed. As the problem of the conflict between master and servant is finally entrusted to the whole spirit (Self) symbolized by a tree, the blind man gets removed. It can be understood as an intention of the Self to distinguish and purify the elements of recklessness, stupidity, and greed included in the trickster. Through these processes, the servant, which symbolizes a new change in collective consciousness or a new attitude of ego, solves the existing problems and takes the place of the master. While listening to the cunning servant's performance, the audience feels a sense of joy and liberation. At the same time, in the part where the blind man and the master's family die instead and the servant becomes the master, they experience feelings of fear and concern about the danger and uncontrollability of the servant. The tricksters appearing in foreign analogies are also thoroughly selfish and make innocent beings deceive or die in order to satisfy their desires and escape from danger. Efforts to punish or reform these tricksters are futile and they run away. Therefore, this folktale can also be seen as having a purpose and meaning to let us know that this archetypal shadow is very dangerous and that consciousness cannot control or assimilate it, but only awe and contemplate it. Trickster is an irrational manifestation of revivifying natural energy that rises from the unconscious as a compensation for hardened existing structure and order. The phenomenon may be destructive and immoral from the standpoint of the existing collective mind, but it should be seen as a function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a more fundamental psychic function that cannot be morally defined. The servant, a figure of the trickster archetype, is a being that brings transformation and has the duality and contradiction of destructiveness and creativity. The endings of this folktale's analogies are diverse, reflecting the diversified response of the audience's mind due to the ambivalence of the trickster, and also suggesting various responses toward the problem of the trickster from the unconscious. It also shows that the trickster is a problem of inconclusive and controversial contradictions that cannot be controlled with a conscious rational attitude, and that we can only seriously contemplate the trickster archetype within us.

본 논문을 통해 한국 민담 '주인집을 망하게 한 하인'의 심리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민담 속 주인과 하인의 대립은 보편적인 인간 정신의 문제로, 경화된 기존의 집단적 의식과 이를 보상하고 갱신하려는 새로운 의식의 대립으로 볼 수 있다. 다른 각도에서 설명해보자면 인간의 정신적인 측면과 본능적인 측면 사이의 혹은 의식과 무의식 사이의 대립이며, 자아와 그림자 사이의 대립이라고도 할 수 있다. 민담 속 주인은 애먹이는 막내 하인을 없애버리려 여러 차례 시도하지만, 하인은 꾀와 속임수를 써서 주인으로부터 음식과 말(馬), 막내 누이, 전 재산, 마침내 목숨까지 빼앗아 버리고, 이야기는 막내 하인과 막내 누이의 혼인 생활로 끝을 맺는다. 주인이 죽고 하인이 새로운 주인이 되는 대극반전(enantiodromia)은 낡은 집단적 의식이 파괴되고 집단적 무의식으로부터 올라온 새로운 의식이 지배적 위치에 서게 되는 것으로, 개인의 심리적 상황에서는 기존의 자아의 태도가 해소되고 새로운 태도로 변환되는 것으로 이해해볼 수 있다. 이야기의 중간 과정에서 하인은 그를 죽이려고 주인이 써준 등편지를 순박한 사람들을 이용해 새롭게 바꿔 써서 막내 누이와 혼인한다. 이 모습은 집단적 의식의 도덕관념에서는 부정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아낙네, 꿀장수, 배고픈 중으로 상징되는 조선 시대 집단적 의식에서 무시되어오던 정신요소를 통합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하인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의식성은 기존의 틀에 구속받지 않는 트릭스터적 특성을 갖기에 집단적 의식에서 무시되어온 정신적 내용을 통합하여 조선 후기 집단적 의식에 대한 보상과 대안으로서 제시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주인은 다시 하인을 죽이려고 하인을 가죽 부대에 넣어 나무에 매다는데, 가죽 부대 속에 들어가 매달렸더니 눈을 떴다는 하인의 속임수에 넘어간 소경이 대신 매달려 죽고 하인은 달아나게 된다. 주인과 하인의 대극 문제가 마침내 나무로 상징되는 전체 정신(Self)에 맡겨지자 소경이 제거되는 것은 트릭스터에 포함되어있는 맹목성, 어리석음, 탐욕적 요소를 구분하고 정화하려는 자기(Self)의 의도로 이해해볼 수 있다. 이런 과정들을 거쳐 집단적 의식의 새로운 변화 혹은 새로운 자아의 태도를 상징하는 하인은 기존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주인의 자리에 서게 된다. 그러나 꾀 많은 하인의 활약상을 들으며 청중들은 유쾌함과 해방감을 느끼는 한편, 소경이 대신 죽고 주인집 식구가 몰살되고 하인이 주인이 되는 부분에서는 하인의 위험성과 통제 불가능에 대한 우려와 두려움의 감정을 경험하기도 한다. 해외 유화들에 등장하는 트릭스터들 역시 철저히 이기적이고 오직 욕구를 채우고 위험에서 빠져나가기 위해 무고한 존재들을 속이거나 죽게 만드는데, 이들 트릭스터를 처단하거나 교화하려는 노력은 허사로 돌아가고 그들은 달아나버린다. 그러므로 본 민담 역시 이런 원형적 그림자가 매우 위험하다는 것, 그리고 의식이 통제하거나 의식에 동화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해주고, 그것을 외경하고 관조하도록 하는 목적 의미도 있다고 볼 수 있다. 트릭스터는 기존의 구조와 질서가 경화되었을 때 보상작용으로서 무의식으로부터 올라오는 재생시키는(revivifying) 자연 에너지의 비합리적 발현 양상이다. 그 현상은 기존의 집단적 정신의 입장에서는 파괴적이고 비도덕적일 수 있으나, 도덕적으로 규정할 수 없는 보다 근원적 정신인 집단적 무의식의 기능이라고 보아야 한다. 트릭스터 원형상으로 볼 수 있는 하인은 변환을 가져오는 존재로 파괴성과 창조성이라는 양면성과 모순성을 지니고 있다. 본 민담의 유화들의 결말은 여러 갈래인데 이는 트릭스터의 양면성으로 인해 청중의 마음 반응이 그만큼 다양하다는 것을 반영하며, 트릭스터 문제에 대한 무의식의 다양한 반응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트릭스터란 그만큼 결론이 안 나고 논란을 일으키는 모순덩어리 존재로 의식적 합리적 태도로 통제할 수 없다는 것, 우리 안의 트릭스터 원형에 대해 진지하게 관조할 수 있을 뿐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호 (2003): "호랑이 설화에서 트릭스터 호랑이의 발달", ≪국어국문학≫, 135, 국어국문학회, 서울.
  2. 김대숙 (1994): "설화에 나타난 계층의식 연구", ≪한국설화문학연구≫, 집문당, 서울.
  3. 김헌선 (1990): "건달형 인물 이야기의 존재양상과 의미", ≪경기어문학≫, 8, 경기대학교국어국문학회, 수원.
  4. 나수호 (2002): "토끼전과 북미원주민 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원.
  5. 나수호 (2011): "한국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 연구-방학중, 정만서, 김선달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원.
  6. 두산백과 두피디아: "크리슈나",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7. 신동흔 (2004): ≪살아있는 우리 신화≫, 한겨레출판, 서울.
  8. 신연우 (2003): "'상전 속인 하인' 설화의 사회성과 신화성", ≪한국민속학≫, 37, 한국민속학회, 서울.
  9. 유원수 (2014): ≪세계민담전집≫, 3권 몽골편, 황금가지, 서울.
  10. 이부영 (1999): 분석심리학의 탐구 3부작 ① ≪그림자-우리 안의 어두운 반려자≫, 한길사, 서울.
  11. 이부영 (2011): ≪한국민담의 심층분석-분석심리학적 접근≫, 집문당, 서울.
  12. 이부영 (2020): ≪괴테와 융-파우스트의 분석심리학적 이해≫, 한길사, 서울.
  13. 이승철 외 (2012): "석탈해신화",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편)≫,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http://folkency.nfm.go.kr/munhak/index.jsp.
  14. 이승철 외 (2012): "주몽신화",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편)≫,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http://folkency.nfm.go.kr/munhak/index.jsp.
  15. 임석재 (1936): ≪한국구전설화≫, 3권, 평민사, 서울.
  16. 정용선 (2002): "상전속이는 하인 설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7. 조동일 (1985): ≪한국설화와 민중의식≫, 정음사, 서울.
  18.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위원회 (1992): ≪한국문화상징사전≫, 1권, 동아출판사, 서울.
  19.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위원회 (1995): ≪한국문화상징사전≫, 2권, 동아출판사, 서울.
  20.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한국구비문학대계≫, https://gubi.aks.ac.kr.
  21. 關 敬吾著, 小澤俊夫補訂 (2013): 日本昔話の型, 三角商事株, Fukuoka.
  22. Chevalier J, Gheerbrant A (1997): The Penguin Dictionary of Symbols, Penguin Books, London.
  23. Cooper JC, 이윤기(역) (2007):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상징사전≫, 까치글방, 서울.
  24. Eliade M, 이동하(역) (1997): ≪성과 속-종교의 본질≫, 학민사, 서울.
  25. Eliade M, 최종성, 김재현(역) (2005): ≪세계종교사상사≫, 2권, 이학사, 서울.
  26. Faurot JL (1977): "Hsu Wen-ch'ang: an Archetypal Clever Rascal in Chinese Popular Culture", Asian Folklore Studies, 36(2), pp65-74. https://doi.org/10.2307/1177817
  27. Grimal P (1991): Dictionary of Classical Mythology, Penguin Books, London.
  28. Jung CG (1969): CW 9,ii, A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29. Jung CG (1984): Dream Analysis 1: Notes of the Seminar Given in 1928-30, Routledge, Abingdon-on-Thames.
  30. Jung CG, 이부영(역) (2013): ≪인간과 상징≫, 집문당, 서울.
  31.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1): C.G. 융 기본저작집 제1권, ≪정신요법의 기본문제≫, 솔출판사, 서울.
  32. Jung CG (2002): C.G. 융 기본저작집 제5권, ≪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의 상징≫, 솔출판사, 서울.
  33. Jung CG (2004): C.G. 융 기본저작집 제9권, ≪인간과 문화≫, 솔출판사, 서울.
  34. Propp V, 최애리(역) (1990): ≪민담의 역사적 기원≫, 문학과 지성사, 서울.
  35. Radin P (1972): The Trickster, Schocken Books, New York.
  36. Rankle K et al. (2010): Enzyklopadie des Marchens. vol 13. De Gruyter, Berlin.
  37. Thompson S (1955-1958): S. Thompson. Motif-index of folk-literature : a classification of narrative elements in folktales, ballads, myths, fables, medieval romances, exempla, fabliaux, jest-books, and local legends,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38. Von Franz ML (1980): Individuation in Fairy Tales, Shambhala, Boston.
  39. Von Franz ML (1980): Psychological Meaning of Redemption Motifs in Fairy Tales, Inner City Books, Toronto.
  40. Von Franz ML (1995): Shadow and Evil in Fairy Tales, Shambhala, Boston.
  41. Von Franz ML, 이부영, 이광자(역) (2018):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 한국융연구원, 서울.
  42. Von Franz ML, 이부영, 이광자(역) (2021): ≪민담 속의 그림자와 악≫, 한국융연구원, 서울.
  43. Von Franz ML, 홍숙기(역) (2017): ≪영원한 소년과 창조성≫, 한국융연구원,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