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hadows and Evil in Inferno of Divine Comedy

신곡의 지옥편에 나타난 그림자와 악

  • 김덕규 (융심리학 연구소 심리치료센터)
  • Received : 2022.09.05
  • Accepted : 2022.12.12
  • Published : 2022.12.25

Abstract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problem of shadows and evil appearing in contemporary events in the midst of a period of upheaval through Inferno of Divine Comedy. First, the concept of shadow and evil were briefly summarized in analytical psychology and discusse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concepts with the empirical aspect of relativity and ethics in the field of psychotherapy. The 14th century, the age of Dante, was the embryonic period of the Renaissance beyond the end of the Middle Ages. It was when Dante, who was writing Divine Comedy, had to take off his persona forcibly and live in exile. In a nutshell, it was a transition period for both the individual and the collective. The dark forest is a nigredo, darkness and chaos we face in this transition, but it can be a place of transformation and rebirth. The three beasts (leopard, lion, and she-wolf) encountered in the forest can be considered as the instinctual images that Dante ignored and alienated, which the medieval Christian world had suppressed and eliminated. Especially at the collective level, as destructive instincts, ferocious beasts roam throughout society when a crisis breaks dominant laws of values. The three beasts of Inferno appear as phenomena of shadows and evil. The aspect of leopard was explored Cerberus and Chiaco(pig) as a symbol of greed, and the lion, Farinata as the form of violent passion. The aspect of the she-wolf was examined as Geryon, a deceitful monster with a beast nature hidden behind goodness, the giants in the frozen lake of Cocytus, and Branca D'Oria, who betrayed and murdered the country and family. Inferno reveals the "state" of being trapped when one yields to the evil hidden within oneself and falls into prey.

본 연구는 격변의 시기 한복판에서 일어나는 동시대 사건의 그림자와 악의 문제를 《신곡》의 지옥편을 통하여 조명한 것이다. 먼저 그림자와 악을 분석심리학적으로 간략히 정리하고, 이 그림자의 개념은 정신치료 현장에서 상대성과 윤리성이라는 경험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함을 살펴보았다. 단테의 시대인 14세기는 중세의 끝을 넘어 르네상스의 배아기였고, 신곡을 집필하던 단테는 강압적으로 페르조나가 벗겨지고, 망명생활을 하던 때였다. 한 마디로 개인과 집단의 전환기였다. 어두운 숲은 이 전환기에서 만나는 니그레도, 어둠과 혼돈이지만 변환과 재생의 터라 할 수 있다. 그 숲에서 만난 세 짐승들(표범, 사자, 암늑대)은 단테가 무시하고 소외시킨 본능상이자 중세 기독교 세계가 억압하고 제거해왔던 본능상으로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집단적인 차원에서 파괴적인 본능상으로서 사나운 짐승들은 위기가 지배적인 법칙을 무너뜨릴 때 사회 전반에 배회한다. 지옥의 세 짐승들은 그림자와 악의 현상으로 나타난다. 표범의 측면은 탐욕의 상징으로 케르베루스와 치아코(돼지)를, 사자는 폭력적인 열정의 형태로 파리나타를 탐색하였다. 암늑대의 측면은 선함 뒤에 감추어진 야수성을 지닌 사기적인 괴물, 게리온과 얼어붙은 코키토스의 호수에 있는 거인들과 국가와 가족을 배신하여 살해한 브란카 도리아를 살펴보았다. 지옥은 자신의 내면에 숨어있는 악에게 굴복하고 먹잇감으로 전락할 때 갇혀버리는 '상태'임을 드러낸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부영 (2000): «우리 마음 속의 어두운 반려자, 그림자», 한길사, 서울.
  2. 이원율 (2021): «하룻밤 미술관», 다산북스, 서울.
  3. Alighieri Dante, 박상진(역) (2017): «신곡, 지옥편-단테 알리기에리이 코메디아», 민음사, 서울.
  4. Alighieri Dante, 박상진(역) (2017): «신곡, 천국편-단테 알리기에리이 코메디아», 민음사, 서울.
  5.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번역위원회(역) (2002): «융 기본저작집 2», 원현과 무의식, 솔, 서울.
  6.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번역위원회(역) (2004a): «융 기본저작집 3», 인격과 전이, 솔, 서울.
  7.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번역위원회(역) (2004b): «융 기본저작집 9», 인간과 문화, 솔, 서울.
  8. Jaffe A (1989): Memories, Dreams, Reflections, Vintage Books, New York.
  9. Jung CG (1969):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syche, CW 8,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0. Jung CG (1980): The Archetyp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CW 9i,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1. Jung CG (1978): Aion, CW 9ii,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2. Jung CG (1970): Civilization in Transition, CW 10,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3. Jung CG (1969): Psychology and Religion, CW 11,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4. Jung CG (1993): Psychology and Alchemy, CW 12,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5. Jung CG (1983): Alchemical Studies, CW 13, Princeti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6. Jung CG (1989): Mysterium Coniunctionis, CW 14,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7. Jung CG (1971): The Spirit in Man, Art, and Literature, CW 15,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8. Jung CG (1984): Dream Analys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9. Mazzarella A, 김덕규(역) (2021): «단테와 융 1, 신곡의 분석심리학적 이해: 지옥편», 융심리학연구소, 서울.
  20. Sanford JA, 심상영(역) (2003): «융학파 정신분석가가 본 악», 심층목회연구원출판부, 강릉.
  21. Von Franz ML, 이부영, 이광자(역) (2021): «민담 속의 그림자와 악», 한국융연구원,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