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and Sementic Network of Korean Ginseng Poems

한국 인삼시의 전개와 의미망

  • Ha, Eung Bag (Korea Regional Humanities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 하응백 (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 Received : 2021.11.30
  • Accepted : 2022.01.12
  • Published : 2022.03.01

Abstract

Even before recorded history, the Korean people took ginseng. Later, poetry passed down from China developed into a literary style in which intellectuals from the Silla, Goryeo, and Joseon Dynasties expressed their thoughts concisel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Korean poems related to ginseng and to look for their semantic network. To this end, "Korea Classical DB ", produced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was searched to find ginseng poems. As the result of a search in November 2021, two poem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wo poems from the Goryeo Dynasty, and 23 poems from the Joseon Dynasty were searched. An examination of these poems found that the first ginseng poem was "Goryeoinsamchan," which was sung by people in Goguryeo around the 6th century. Ginseng poetry during the Goryeo Dynasty is represented by Anchuk's poem. Anchuk sang about the harmful effects of ginseng tributes from a realistic point of view. Ginseng poetry in the Joseon Dynasty is represented by Seo Geo-jeong in the early period and Jeong Yakyong in the late period. Seo Geo-jeong's ginseng poem is a romantic poem that praises the myste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of ginseng. A poem called "Ginseng" by Yongjae Seonghyeon is also a romantic poem that praises the mysterious medicinal benefits of ginseng. As a scholar of Realist Confucianism, Dasan Jeong Yak-yong wrote very practical ginseng poems. Dasan left five ginseng poems, the largest number written by one poet. Dasan tried ginseng farming himself and emerged from the experience as a poet. The story of the failure and success of his ginseng farming was described in his poems. At that time, ginseng farming was wide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due to the depletion of natural ginseng and the development of ginseng farming techniques after the reign of King Jeongjo. Since the early 19th century, ginseng farming had been prevalent on a large scale in the Gaeseong region, and small-scale farming had also been carried out in other regions. What is unusual is Kim Jin-soo's poem. At that time, in Tong Ren Tang, Beijing (the capital of the Qing Dynasty), ginseng from Joseon sold well under the "Songak Sansam" brand. Kim Jin-Soo wrote about this brand of ginseng in his poem. In 1900, Maecheon Hwanghyeon also created a ginseng poem,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us, the semantic network of Korean ginseng poems is identified as follows: 1) Ginseng poetry in the spirit of the people - Emerging gentry in the Goryeo Dynasty (Anchuk). 2) Romantic ginseng poetry - Government Schoo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eo Geo-jeong, Seonghyeon, etc.). 3) Practical ginseng poetry - Realist School in the late Joseon Dynasty (Jeong Yak-yong, Kim Jin-soo, Hwang Hyun, etc.). This semantic network was extracted while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ginseng poems.

한민족은 역사 기록 이전부터 인삼을 복용했다. 한편 중국으로부터 전해진 한시(漢詩)는 신라, 고려, 조선 지식인들의 생각을 간결하게 표현하는 문학 양식으로 발전, 전개되었다. 본 논문은 '인삼을 소재로 하거나 주제로 한 한국인의 한시는 어떤 것이 있고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 하는 의문에 답하기 위해 인삼(人蔘), 산삼(山蔘), 홍삼(紅蔘), 백삼(白蔘) 등을 키워드로 한국고전번역원의 '한국고전종합DB'를 검색해 인삼에 관한 시를 찾아내어 그 의미망을 살펴보았다. 인삼관련 한시를 편의상 '인삼시(人蔘詩)'로 명명(命名)했다. 2021년 11월 현재, 검색을 통해 찾아진 '인삼시'는 삼국시대 2편, 고려시대 2편, 조선시대 23편이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인삼시의 시초는 6세기경 고구려에서 백성이 노래로 불렀던 「고려인삼찬(高麗人蔘讚)」이란 시다. 고려시대 인삼시는 안축(安軸)의 시로 대표된다. 안축은 인삼 조공의 부작용을 사실적인 관점에서 노래했다. 조선시대의 인삼시는 전기 서거정과 후기 정약용으로 대표된다. 서거정의 인삼시는 인삼의 신비적인 약리작용을 찬양하는 낭만적 인삼시다. 용재 성현의 「인삼(人蔘)」이라는 시도 인삼의 신비한 약효를 찬양하는 낭만적 인삼시다. 다산 정약용의 인삼시는 실학자답게 대단히 실용적이다. 다산은 가장 많은 다섯 편의 인삼시를 남겼다. 다산은 직접 인삼 농사를 시도했고 그 과정을 시로 남겼다. 그 시에서는 인삼 농사 실패와 성공의 스토리를 지켜볼 수 있다. 다산의 인삼 농사는 정조 이후 자연삼의 고갈과 재배삼의 보편화에 따른 전국적 현상이기도 했다. 19세기 초반부터는 개성을 중심으로 하여 대규모로 인삼 농사가 성행했고, 여타 지역에서도 소규모로 이루어졌다. 특이한 것은 김진수의 시다. 청나라의 수도 북경 동인당에서 조선의 인삼이 '松嶽山蔘(송악산삼)'이란 상표로 절찬리에 판매되고 있는 것을 시로 표현했다. 매천 황현도 1900년 한시로 된 인삼시를 남겼다. 한국 한시의 전통에서 인삼시의 전개를 의미망으로 파악하여 도식화하면 이렇게 된다. 1) 위민(爲民) 정신의 인삼시 - 고려의 신흥사대부(안축) 2) 낭만적 인삼시 - 조선 초기의 관학파(서거정, 성현 등) 3) 실용적 인삼시 - 조선 후기의 실학파(정약용, 김진수, 황현 등) 한국 인삼시의 전개를 살피면서 그 의미망을 추출해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동문선(東文選)」
  2. 「삼국사기(三國史記)」(김부식)
  3.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정약용)
  4. 「열하일기(熱河日記)」(박지원)
  5. 「해동역사(海東歷史)」(한치윤)
  6. 한국고전종합DB(한국고전번역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