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ol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MEs

중소기업의 기술 혁신을 위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

  • Son, Woo-Hyun (Research Institute, Dong Kang M-Tech Co.,Ltd.) ;
  • Lee, Gyu-Chang (Marine Engineering Center, Gyeongnam Technopark, Dept. of Industri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Mok, Hak-Soo (Dept. of Industri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손우현 (동강엠텍(주) 기업부설연구소) ;
  • 이규창 (경남테크노파크,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 목학수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Received : 2021.12.21
  • Accepted : 2022.01.17
  • Published : 2022.02.28

Abstract

A systematic support system that develops technology support policies for SMEs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nd solves technical problems faced by SMEs will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of SM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types and level of technology required for SMEs, and to find ways to utilize the technologies possessed by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leading technology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new production technology and to establish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SMEs and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to solve various pending problems.

Keywords

1. 서론

4차 산업혁명과 같은 급변하는 산업 환경의 변화, 우수한 품질을 가진 제품만이 살아남는 세계 상품 시장의 치열한 무한 경쟁, 그리고 앞으로는 고객 맞춤형 제품만이 대접받는 시간이 왔다. 전체 기업 수의 99% 이상이며, 종업원 수로는 88%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은 우리나라의 중심 성장 동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이들 중 제조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지속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구성은 Fig. 1과 같이 우리나라 중소 기업, 특히 제조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의 기술지원을 위한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을 찾고자 했다. 이에 대한 좋은 접근방법을 찾기 위해 중소기업의 실용기술을 지원하고 함께 연구하고 있는 독일의 프라운호퍼 연구기관의 특징을 분석했다.

SOOOB6_2022_v25n1_27_f0001.png 이미지

Fig. 1 Approach to technology support for SMEs and success in research tasks

현재 우리나라에는 25개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있으며, 각 연구기관들의 설립 목적에 따라 수행해야할 고유의 연구 분야가 각각 다르다. 지금까지 모든 연구기관들은 설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특징은 매우 다양하다.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들 중 많은 연구기관들이 중소기업의 애로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새로운 산업 환경 및 과학기술의 발전에 대응하기 위해서 세계적인 연구소들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도 중요하다. 우리나라 중소ㆍ중견기업을 위한 생산기술의 개발 및 기술 지원을 위해 설립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기 위하여, 그리고 세계적인 연구기관이 되기 위 해, 응용연구분야의 선두주자인 독일의 프라운호퍼 연구협회(Fraunhofer- Gesellschaft)를 중점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이 무엇이며, 연구기관을 통해 개발되는 연구 결과가 중소기업에서 실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선진공업국에서의 연구기관을 분석함으로써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총괄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1999년 3월 과학기술분야에 대하여 3개 연구회(기초ㆍ공공ㆍ산업기술 연구회)가 설립되어, 2014년 6월 기초기술연구회와 산업기술연구회가통합되어 ‘국가과학기술연구회(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 Technology, 이하 NST)’ 가 설립되었다[1].

NST의 기능은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의 발전방향에 관한 정책기획 연구, 출연(연) 기능 조정 및 정 비, 연구실적 및 경영 내용 평가, 연구성과 제고및 성과확산지원 등 국과과학기술분야 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NST의 기본운영 방향은 자율성과 책임성을 가지고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하여, 출연(연)간 융합연구 활성화 및 중소ㆍ중견기업 R&D 전진기지화를 이루며, 연구기관들의 공통의 애로사항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2019년 기준 총 예산은 4조 8,231억원이다[2].

NST는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중소기업의 기술 지원을 할 수 있는 연구기관들을 정하여, 체계적으로 현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즉, 한정된 정부 예산을 효율적으로 중소기업의 지원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에서 나온 현장 문제에 대해 연구기관들의 중복 연구 수행을 지양하고, 중소기업이 안고 있는 문제들에 대하여 중요도를 정하며, 연구기관에서 이미 개발된 연구결과들 중 적용이 가능한 것을 찾아서 중소기업에 체계적으로 접목 시킬 수 있는 방향 설정을 해야 한다. 연구 과제를 수행한 연구기관 및 연구 결과에 대한 정확한 평가 체계를 정비하여, 연구과제들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중소기업의 분류

3.1 중소기업의 특징

중소기업기본법 제18조의 2(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과 투자)에는 두 가지가 명시되어 있다. 즉, ‘정부는 중소기업을 육성하는데 필요한 재원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확보하여야 한다.’ ‘정부는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과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 및 지원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단기, 중기, 장기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중소기업기본법시행령 제3조에는 상시 근로자수가 300명 미만이거나 자본금이 80억원 이하인 기 업, 업종별로 400억~1,500억원 연간 매출액을 가 지며, 자산총액이 5,000억원 이하 혹은 직전 3개년도 평균 매출 1,500억원 이하인 기업으로 정하고 있다. 이들 중 제조업에 대해서는 상시 노동자수가 300명 미만 또는 자본금 80억원 이하인 기업으로 정하고 있다[3].

우리나라 전체 기업 수 355.1만개의 99.9%인354.7만개가 중소기업이다. 전체 중소기업의 고용인원은 전체 기업 고용인구의 88.4%에 해당되며, 생산 매출액의 크기는 48.7%이다. 이들 중 제조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의 수는 40.1만개(2016년 기준) 이다.

우리나라 제조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의 특성을 살펴보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중소기업이51.3%로 집중되어 있으며, 종업원 수도 48.3%를 차지하고 있다. 중소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소들도 64.6%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국토의 균형 발전 및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으로 중소기업들이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서도 기술개발 및 원활한 제조업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3.2 중소기업에 기술지원이 어려운 이유

우리나라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지원을 할 경우기업체의 생산 외적인 문제와 생산 내적인 문제를 Fig. 2와 같이 나눌 수 있다.

SOOOB6_2022_v25n1_27_f0002.png 이미지

Fig. 2 Difficulties of technical supports for SME

생산 외적인 문제점으로는 우선 기술이전이 필요한 중소기업 수가 너무 많으며, 연구기관에서 지원할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 중소기업이 많다. 또한, 중소기업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지원을 위하여 연구기관 내 전문 연구원의 수가 부족한 편이다. 어느 중소기업에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 파악하기가 어렵다.

생산 내적인 문제로는 중소기업의 생산 제품 및 생산 공정에 따라 어려운 점이 매우 다르며, 중소기업의 매출 규모에 따라서 문제점이 다르다. 또한, 중소기업 내 애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 인력이 부족하며, 연구기관이 제공하는 기술에 대해 중소기업이 받아들일 수 있는 기술흡수력이 낮은 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연구기관에서는 중소기업에 현장 밀착하여, 중소기업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해야 하며, 개발된 기술이 현장 적용될 때까지 기술 지원이 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많은 중소기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 중소기업의 그룹을 형성하여, 컨소시움 형태로 기술지원을 통한 다양한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4. 기업 지원을 위한 정부출연연구기관 역할

출연(연)들의 역할 조정이 필요하다. NST 산하 25개 연구기관이 있는데, 이들의 연구 분야 특성을 잘 분석하여, 중소기업에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고, 체계적으로 홍보할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현장 문제의 성격에 따라 관련 연구기관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에서 발생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출연(연) 소속 연구기관들은 새로운 산업 혹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중소기업이갖도록 하기 위해서 기업체와 연구기관들이 공동으로 협력하여 연구과제를 도출해야 한다. 필요할 경우에는 공동 중장기 대형 과제를 기획하고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다.

4.1 장비의 재활용

중소기업과 함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출연(연)이 보유하고 있는 장비를 재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은 고가 장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기관이 보유한 장비를 재활용함으로써 국가 예산의 효용성을 높이는 것이다.

연구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장비들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보유하고 있는 연구 장비들의 활용체계를 강화해야 하며, 우선적으로 연구 장비들에 대한 보유 현황을 파악하고, 보유 장비들의 품질을 유지해야 한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 장비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중소기업에서 장비 사용의 요청이 있을 때, 연구기관에서는 장비의 사용 방법이나 시제품을 만들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장비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장비 사용 중발생할 수 있는 장비의 고장 및 연구자들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4.2 연구과제 도출 체계 강화

중소기업이 안고 있는 현안 문제를 해결하고, 기술 개발을 위해, 중소기업에서 필요한 연구과제들을 도출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것은 새로운 산업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기관의 연구원들과 중소기업 인력 간 정기적인 소통의 장을 마련하여 연구과제를 도출할 수 있게 해야 한다.

Fig. 3에서와 같이 중대형 연구과제 도출을 위해서는 연구인력 간 소통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와 함께 선행연구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중소기업과 출연(연)과의 중장기 연구과제 도출을 위한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SOOOB6_2022_v25n1_27_f0003.png 이미지

Fig. 3 Importance of prior research for research projects

5. 새로운 산업 환경에 대한 대응

5.1 4차 산업혁명

4차 산업이란 정보통신 기술(ICT)의 융합으로이루어낸 산업혁명으로 정의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위해서는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무인 운송 수단 (무인 항공기, 무인 자동 차), 3D 프린팅, 나노 기술, 가상 증강 현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생명공학에 대한 기술들이 필 요하다[4].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물리적인 세계와 디지털 세계와의 접목을 이룰 수 있으며, 생산시스템을 구성하는 개체들 간의 연결이 되어 있으며, 시스템 조정이 탈중앙화 및 분권이 된 상태를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등을 이용한 지능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현실 세계의 모든 내용을 가상세계로 연결이 가능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2017년 대통령 직속으로 ‘4차산업혁명위원회’을 신설하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원천기술을 활용한 융합기술의 개발에 필요한 지원을 체계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산업단지 내제조공정에 ICT를 접목한 스마트공장을 집중 보급할 계획을 수립하였다[5].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 4차산업혁명에 대응할 중소․중견기업의 제조혁신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제조업 재도약을 위한 뿌리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술을 개발해야 하며, 생산현장의 지능화와 친환경 제조 혁신을위한 청정생산시스템을 위한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촉진을 위한 생산기술을 지원하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Fig. 4는 4차 산업혁명의 특징과 이에 대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대응방안을 나타내었다.

SOOOB6_2022_v25n1_27_f0004.png 이미지

Fig. 4 Countermeasrue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for 4th industrial innovation

5.2 Smart Factory

‘Smart Factory’란 ICT 기술을 기반으로 제조 공정의 전과정을 자동화 및 지능화하여, 최소의 비용과 시간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미래형 공장을 뜻한다. 이를 위해서는 생산시설들의 네트워크화를 이루어 ‘지능형 생산시스템’을 형성해야 한다. Smart Factory를 구축하고자 하는 목표는 제조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하며, 환경 친화적인 제조 환경을 구축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생산되는 제품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제품 생산의 원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6].

Smart Factory의 기본 개념은 제품의 초기 개발 단계인 기획․및 설계 단계에서 부터 생산 및 유통까지 전 과정을 IoT, AI 및 빅데이터 등으로 통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품 생산의 전 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하고 최소 비용과 최소의 시간으로 고객의 요구 사항에 맞는 맞춤형 제품 생산을 하는 것이다.

기획 및 설계 단계에서는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제작시간을 단축하고 맞춤형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생산 단계에서는 설비, 자재, 공작기계들 간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다품종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통 및 판매 단계에서는 모기업과 협력업체간에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재고비용 및 물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공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는 스마트공장 단위 요소기술(IoT, AI, 빅데이터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야 하며, ICT를 활용한 스마트공장 시범 사업을 계획하여 산업용 스마트 로봇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생산성 향상을 위한 ICT를 활용한생산관리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 및 제조 장비의지능 향상을 위한 기술들을 개발해야 한다.

중소․중견기업에서는 스마트공장을 위한 중소․ 중견기업 간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제조업 현장에서 생성되는 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합리적인 유연한 제조자동화를 위한 접근 방법들을 모색해야 한다.

중소기업에서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기에 어려운점은 초기 스마트공장에 대한 투자자금이 부담되며, 기존 설비와의 연계성에 대한 어려움이 있으며,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연구 인력이 부족하다. 그리고 스마트공장에 시설 투자에 대한 효과에 대해 의구심이 있으며, 국내 스마트공장의 구축과 성공 사례에 대한 정보 및 스마트공장 관련 기기 및 SW, 플랫폼, 솔루션들이 부족한 상태다.

6. 제조관련 세계적인 연구소:프라운호퍼 연구협회(Fraunhofer-Gesellschaft)

급변하는 산업 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생산 기술의 변화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제조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는 세계적인 연구소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들 연구소의 연구 목표, 연구 방향 및 연구 분야를 알아봄으로써 미래의 제조업에 필요한 생산기술 방향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응용기술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는 독일의프라운호퍼 연구협회(Fraunhofer-Gesellschaft)를분석해볼 필요가 있다[7].

6.1 프라운호퍼의 특징

프라운호퍼 연구 협회의 특징은 독일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며, 독일 및 유럽 내 응용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자체 R&D 부서가 없는 중소기업을 위해 혁신적인 기술 노하우를 제공하고, 기업의 규모와 관계없이 위탁연구를 수행하며, 산업계의 요구에 따라 특정 기술과 공정을 개발하고 최적화시키며, 제품 개발시 시제품의 제작 및 소량 생산 서비스 까지 수행하고 있다.

1949년에 설립되어 기초연구가 아닌 ‘응용연구’를 수행하였고, 독일 내 72개 연구소가 있으며 25,000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연간 23억 유로(약 3조원 예산)의 예산을 사용하고 기본 연구 자금은 독일 연방 정부와 주정부에서 지원하며, (30%, 연방:주정부=9:1) 정부 지원금은 선행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프라운호퍼 연구 협회의 기술 지원은 최신 장비를 통한 기술 평가, 직원 기술교육의 지원, 온라인을 통한 교육 서비스 및 기술 컨설팅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연구개발 서비스의 일환으로 공인인증기관으로 인정받은 프라운호퍼 연구소에서 개발된연구결과에 대한 검사와 인증을 받을 수 있다.

Fig. 5는 프라운호퍼 연구협회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중소기업에서 필요한 기술인 응용연구를목표로 운영되고 있는 프라운호퍼 연구소의 특징들을 잘 검토하여, 좋은 특징들을 국내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들 중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하는 연구기관에 접목한다면 중소기업의 기술 지원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SOOOB6_2022_v25n1_27_f0005.png 이미지

Fig. 5 Characteristics of Fraunhofer

6.2 프라운호퍼의 8개 연구그룹

프라운호퍼 연구 그룹은 유사 분야에서 활동하는 프라운호퍼 연구소들의 집합체를 이루고 있으며, 그룹 내의 협력을 통해 공동의 R&D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있다.

총 8개의 프라운호퍼 그룹이 존재하며, 각 연구소들은 반드시 최소 1개의 그룹에 속해야 한다. 프라운호퍼 그룹은 프라운호퍼 전체의 사업정책을 구상하고, 프라운호퍼 운영모델의 조직적, 재정적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8개의 연구그룹은 그룹1:방위 및 보안, 그룹2:정보 및 통신기술, 그룹3:생명과학, 그룹4: 광학 및 표면처리, 그룹5:소재 및 부품, 그룹6: 전자공학, 그룹7:생산기술, 그룹8:연구혁신으로구성되어 있다.

이 중 그룹 7 생산기술의 특성을 보면, 제품 개발, 제조 기술, 생산시스템, 생산시스템의 조직, 물류 분야로 되어 있다.

연구그룹7에는 생산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는12개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다음과 같다. 적층제조기술 연구소(IAPT), 주조 및 복합소재 및 공정기술 연구소(IGCV), 환경ㆍ안전 및 에너지기술 연구소(UMSICHT), 공장운영 및 자동화 연구소(IFF), 대형구조물 연구소(IGP), 공장기계 및 성형기술 연구소(IWU), 제조공학 및 자동화 연구소(IPA), 물류흐름 및 로지스틱스 연구소(IML), 메카트로닉스 시스템 설계 연구소(IEM), 생산시스템 및 설계기술연구(IPK), 생산기술 연구소(IPT), 프라운호퍼오스트리아 연구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라운호퍼 연구그룹은 실용화 할 수 있는 응용중심의 연구를 하며, 각 연구소에서 수행할 연구 분야가 특화되어 있다. 연구소들이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해 독일 전역에 골고루 흩어져있으며, 지역 산업 분야와 연계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독일 중부 도시인 아헨에 위치한 IPT연구소는 독일 루르지역(Ruhrgebiet)에 활발한 공작기계를 중심으로 하는 공업지역에 있으며, IPA 연구소는 자동차 회사인 Benz와 Porsche 자동차 회사의 본사가 있는 스튜트가르트에 있으며,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기술에 대한 연구를 주로 수행한다.

프라운호퍼 소속 연구소들의 연구소장은 대부분 공과대학 교수가 겸임하고 있으며, 대학 소속 연구소와 프라운호퍼 소속 연구소들 간의 협력이 잘되고 있다. 대학생들에게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를 주며, 연구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에게는 연구의 초기조사/자료조사/실험 등 연구 기회를 갖는다.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연구과제의 크기와 관계없이 기업에서 요구하는 연구 과제를 수행하며, 연구의 성공을 위해서 사전 조사를 철저히 수행한다.

7.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과 책임

앞에서 분석한 자료들을 기초로 중소기업의 기술 지원을 위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정리하면 Fig. 6과 같다.

SOOOB6_2022_v25n1_27_f0006.png 이미지

Fig. 6 Role and Responsibility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역할은 사회 및 국가에서 기대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국가와 지역 사회로부터 부여 받은 연구기관의고유 기능을 수행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우리나라 25개 출연연은 각자 수행해야 할 연구 분야가 있다. 기술 지원의 중복이 생겨나지 않도록 연구 분야의 경계를 잘 지워주어야 한다. 여러 지역의 특화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기술 지원에도 잘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출연연이가지고 있는 개발된 기술들이 중소기업의 기술 지원에 잘 활용될 수 있도록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영세한 중소기업의 기술 지원을 위해서는 경제적인 지원 체계도 함께 구축해야 한다. 출연연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 지원을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상담 서비스 체계를 가질 필요가 있다.

정부출연연구소들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책임감을 많이 느껴야 한다. 중소기업에 지원된 기술들이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계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기관에서처럼 수행된 과제의 시작에서부터 시제품을 만들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제품 품질 인증까지 받을 수 있는 체계를 가져야 한다. 새로운산업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정보를제공해주어야 한다. 중소기업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기술 지원 체계를 개발해야 한다. 연구 결과가사업화에 성공함으로써 연구기관의 책임을 완수했음으로 평가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8. 결론

본 논문에서는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할에 대한 내용이다. 새로운 산업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갖추어야 할 내용에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중소기업에 기술지원이 어려운 이유를 분석했으며, 연구기관에서 개발한 기술들에 대한 홍보를 체계적으로 해야 한다. 또한 중소기업의 기술 지원을 위해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연구기자제의 활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으며, 중소기업을 위한 맞춤형 연구 과제를 적극적으로 도출해야 한다.

중소기업 강국인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기관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 지원하는 방향을 알 수 있었다. 중소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분야를 체계적으로 분류해서, 중소기업에서 제시한 문제를 정확히 해결할 수 있는 연구소에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중소기업과 함께 연구에 참여한 연구기관들은 연구의 성공을 위해서 연구 초기부터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의 성공을 위해 우선적으로 예비타당성 조사 및 시장 예측을 위한 분석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덧붙여 연구기관은 중소기업의 요청이 있을 때 시제품도 함께 제작하는 체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우리나라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적용함으로써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지원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사사

이 과제는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NST(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ences & Technology), "https://www.nst.re.kr/nst/about/02_01.jsp"
  2. NST(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s & Technology) function & budget, "https://www.nst.re.kr/nst/work/01_04.jsp"
  3. The Minor Enterprises Act. "https://www.lawnb.com/Info/ContentView?sid=L000001477'..
  4. 4th Industrial Innovation,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4%EC%B0%A8_%EC%82%B0%EC%97%85%ED%98%81%EB%AA%85".
  5.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ttps://www.4th-ir.go.kr/"
  6. SAMJUNG KPM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08, 4th Industrial and manufacturing innovation, SAMJUNG INSIGHT, "https://assets.kpmg/content/dam/kpmg/kr/pdf/kr-insight55-manufacturing-innovation-201712.pdf"
  7. Fraunhofer, "https://www.fraunhofer.kr/ko/FraunhoferGesellschaft/FraunhoferGroup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