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재희, 김진영 (2013).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76, 121-138.
- 구은미, 정혜영 (2016).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의 교사권리에 대한 개념도 분석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96, 1-27.
- 권기남, 김유미 (2021). 보육교직원 관점에서 본 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역할과 책임. 아동과 권리, 25(3), 305-334. doi:10.21459/kccr.2021.25.3.305
- 김광병, 김기화 (2015).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법적 지위 비교 분석. 교육문화연구, 21(5), 203-227. doi:10.24159/joec.2015.21.5.203
- 김길숙 (2016). 유치원.어린이집 교사 권익 관련 법제도 분석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10(1), 31-47.
- 김길숙, 문무경, 이민경 (2015). 유치원.어린이집 교사 권익 보호 실태 및 증진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
- 김연 (2012). 보육교사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 김영주, 박선홍 (2014). 보육교사가 갖는 개인적.전문적 어려움과 관심사. 유아교육학논집, 18(6), 237-262.
- 김은영, 조혜주 (2013).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 수행빈도, 중요도, 난이도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7(2), 215-244.
- 김정원, 민희숙 (2013). 유아교육기관장의 도덕적 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자율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237-257. doi:10.18023/kjece.2013.33.2.011
- 김주선 (2018). 특수교육 대상자의 치료지원 효과에 대한 관련 주체의 인식 차이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진숙, 서영숙 (2012).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 항목: 보육교사가 인식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133-162.
- 류기정 (2015). 아동의 권리증진과 영유아교사의 인권 토론문.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7-120.
- 박영미 (2017).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보육교사 헌신도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지혜 (2012). 교사-부모 의사소통에서 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2(2), 21-46.
- 양다경 (2011). 교권에 대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연합뉴스 (2018. 10). 학대 의심만으로 마녀사냥...예비 신부 보육교사의 비극. https://www.yna.co.kr/view/AKR20181016073151065?input=1179m에서 2018년 10월 16일 인출
- 염지숙, 이명순, 조형숙, 김현주 (2018). 유아교사론. 서울: 정민사.
- 육아정책연구소 (2010). 보육 선진화를 위한 보육인력의 전문성 제고방안(세미나자료 2010-04).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윤경준, 지경빈 (201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정책적 시사점: 서울형어린이집의 구조적 특성과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2), 171-197.
- 이미정, 강란혜 (2011). 보육교사의 처우 및 근무실태 개선을 위한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1(3), 27-44.
- 이민아, 임선아 (2018).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6), 53-67. doi:10.14698/jkcce.2018.14.06.053
- 이서영, 양성은 (2018). 보육교사의 권리에 대한 경험적 인식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8(4), 39-50. doi:10.21213/kjcec.2018.18.4.39
- 정수경 (2019).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교사권리 인식의 매개효과 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주리 (2017). 유아교사의 교권실행 실태와 유아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실행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찬석, 이은경, 김현주 (2004). 청소년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의 도움경험 분석: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21-35.
- 조숙영, 원혜경 (2015).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교사몰입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의 도덕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교육문화연구, 21(6), 191-219. doi:10.24159/joec.2015.21.6.191
- 최수미, 김주선, 김동일 (2018).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조기선별을 위한 학습자 속성 탐색 연구: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15(3), 345-365. doi:10.47635/KJLD.2018.15.3.345
- 최윤경, 박진아, 이솔미, 조현수 (2017). 누리과정 성과 제고를 위한 교사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한상미 (2019). 어린이집 교사의 교권 및 교권침해에 대한 인식과 실태. 부산 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황미연, 이지연 (2016).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상담요구 분석. 사회과학연구, 42(2), 191-211. doi:10.15820/khjss.2016.42.2.009
- 황보영란 (2011). 유치원 교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1(5), 87-112. doi:10.18023/kjece.2011.31.5.004
-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 Gol, A. R., & Cook, S. W. (2004). Explor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cop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2), 155-171. doi:10.1521/jscp.23.2.155.31021
-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Thousand Oaks, CA: Sage.
- Polkinghorne, D. E. (2005). Language and meaning: Data collection in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37-145. doi:10.1037/0022-0167.52.2.137
- Seidman, I. (1998).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NY: Teachers College Press.
- Trochim, W. M. K. (1985). Pattern matching, validity, and conceptualization in program evaluation. Evaluation Review, 9(5), 575-604. doi:10.1177/0193841X8500900503
- Trochim, W. M.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1), 1-16. doi:10.1016/0149-7189(89)900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