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ployee's Business Outlook Disclosed Through Social Media And Employment Growth : The Case of Jobplanet

소셜미디어를 통한 직원의 기업전망 평가와 고용증가와의 상관성 : 잡플래닛 기업전망을 대상으로

  • 김병수 (아주대학교, 경영대학 비즈니스애널리틱스학과) ;
  • 강주영 (아주대학교, 경영대학 e-비즈니스학과)
  • Received : 2022.10.20
  • Accepted : 2022.12.07
  • Published : 2022.11.30

Abstract

The recent expansion of the use of social media ha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xpress users' opinions in real time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ety, economy, politics, and culture, and brought many platforms that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bout companies. Among them, Glassdoor.com which started 2008 in US provides users with evaluations of the current and the former employees of their companies and also provides a outlooks for the company's growth Such a platform has the utility of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to whom want to find a job or change jobs. In addition to this, variable studies have shown that the company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se platforms is useful for investors as well. In this study, it was tested whether the corporate growth prospects of employees provided by Jobplanet, a platform with a typical function similar to Glassdoor.com in Korea, have predictive power to predict actual corporate growth. The forecast provided by Jobplanet and the company's financial indicator data received from FnGuide were collected and composed of panel data and analyzed using fixed effect mode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mpanies with positive prospects had higher employment growth than companies with negative prospects. When the outlook was neutral, the employment growth rate was higher than that of companies with a negative outlook.

최근 소셜미디어의 사용 확대는 사회, 경제, 정치,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이용자들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기업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들이 많이 늘어났다. 그중에서 2008년 미국에서 시작된 글래스도어(Glassdoor.com)는 기업의 전현직 직원이 자신이 근무한 기업의 처우를 평가하고 기업의 성장성에 관한 전망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은 취업 또는 이직하려는 구직자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효용성이 있다. 이 외에도 여러 연구에서 이러한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기업의 정보가 투자자에게도 유용하다는 점이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글래스도어와 대표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하는 플랫폼인 잡플래닛(Jobplanet)에서 제공되는 직원들의 기업성장 전망이 실재 기업성장을 예측하는 예측력이 있는지 파악하였다. 잡플래닛에서 제공되는 전망과 에프앤가이드에서 받은 기업의 재무지표 데이터를 취합하여 패널데이터로 구성한 뒤 고정효과 모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전망을 받은 회사가 부정적인 전망을 받은 회사보다 고용증가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망이 중립인 경우에도 전망이 부정적인 회사보다 고용증가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박현숙, 김주한, "한국제조업에서의 지브라 법칙과 Jovanovic 가설에 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제27권, 제5호, 121-134쪽, 2013년 12월 
  2. B. Jovanovic, "Selection and the evolution of industry," Econometrica: Journal of the Econometric Society, Vol. 50, No. 3, pp. 649-670, May, 1982.  https://doi.org/10.2307/1912606
  3. R. Gibrat, "Les Inegalites Economiques," Sirey, Paris, 1931. 
  4. G. Agiomirgianakis, F. Voulgaris, and T. Padadogonas, "Financial factors affecting profitability and employment growth: The case of Greek manufactu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inancial Services Management, Vol. 1, No. 2, pp. 232-242, Jan. 2006.  https://doi.org/10.1504/IJFSM.2006.009628
  5. E. Santarelli, L. Klomp, and R. Thurik, "Gibrat's law: An over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Stydies in Entrepreneurship, Growth, and Innovation, pp. 41-73, 2006. 
  6. 김영준, "우리나라 기업 특성별 성장성 및 고용역량 분석," 경제연구, 제40권, 제2호, 211-236쪽, 2018년 5월 
  7. 이남순, "우리나라 제조업 분야의 기업 성장과 시장구조," 산업조직연구, 제17권, 제3호, 101-120쪽, 2009년 9월 
  8. 김영준, 손종칠, "우리나라 기업 특성별 성장성 및 고용창출 효과 분석," 한국경제의 분석, 제21권, 제2호, 183-241쪽, 2015년 8월 
  9. D.S. Evans,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growth, size, and age: Estimates for 100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pp. 567-581, Jun. 1987.  https://doi.org/10.2307/2098588
  10. P. Dunne and A. Hughes, "Age, size, growth and survival: UK companies in the 1980s,"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pp. 115-140, Jun. 1994. 
  11. D.B. Audretsch, E. Santarelli, and A. Thurik, "Gibrat's Law: Are the services different?," Review of Industrial Organization, Vol. 24, No. 3, pp. 301-324, May, 2004.  https://doi.org/10.1023/B:REIO.0000038273.50622.ec
  12. 성효용, "기업성장률과 규모 및 나이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산업조직연구, 제8권, 제2호, 71-85쪽, 2000년 9월 
  13. 김원규, 김진웅, "기업의 규모별 성장요인의 분석과 시사점," 제도와 경제, 제8권, 제2호, 175-190쪽, 2014년 8월 
  14. 박동규, 조인성, 박찬일, 홍성효, "4차 산업혁명과 고용규모 간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경영과 사례연구 제43권, 제1호, 63-85쪽, 2021년 2월 
  15. M. Pinnuck and A.M. Lillis, "Profits versus losses: Does reporting an accounting loss act as a heuristic trigger to exercise the abandonment option and divest employees?," The Accounting Review, Vol. 82, No. 4, pp. 1031-1053, Jul. 2007. 
  16. R. Farhadi and V. Nanda, "What do employees know?: Quality perception and 'over-satisfaction' in firms going public," Journal of Corporate Finance, Vol. 66, 101779. Feb. 2021. 
  17. T. Chemmanur, H. Rajaiya, and J. Sheng, "How does soft information affect external firm financing? Evidence from online employee ratings," SSRN Electronic Journal, pp. 1-58, Jan. 2019. 
  18. J. Hales, J.R. Moon, and L.A. Swenson, "A new era of voluntary disclosure? Empirical evidence on how employee postings on social media relate to future corporate disclosures,"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Vol. 68, pp. 88-108, Jul. 2018.  https://doi.org/10.1016/j.aos.2018.04.004
  19. K. Huang, M. Li, and S. Markov, "What do employees know? Evidence from a social media platform," The Accounting Review, vol. 95, no. 2, pp. 199-226, May, 2020.  https://doi.org/10.2308/accr-52519
  20. 김희은, 이한준, "온라인 직원 리뷰와 기업가치," 경영경제연구, 제43권, 제2호, 27-52쪽, 2021년 5월  https://doi.org/10.22828/MERI.2021.43.2.002
  21. 이중원, 박철, 김오성, "유형적 보상과 일과 삶의 균형이 직무 만족을 매개하여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 이론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49권, 제6호, 1475-1498쪽, 2020년 12월 
  22. J.W. Tukey, "Exploratory Data Analysis,"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77. 
  23. 홍순욱, "종업원 급여와 근속연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제37권, 제4호, 75-97쪽, 2019년 12월 
  24. 홍삼열, 오재철, "SNS 활용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를 중심으로,"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권, 제4호, 72-78쪽, 2012년 12월 
  25. 노미진, 이충권, "빅데이터 분석능력과 가치가 비즈니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0권, 제1호, 108-115쪽, 2021년 03월 
  26. V.Q. Nguyen, H.J. Yang, Y.C Kim, S.H. Kim, and K. Kim, "Social Media based Real-time Event Detection by using Deep Learning Methods," Smart Media Journal, Vol. 6, No. 3, pp. 41-48, Sep.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