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al Needs on Designing Interactions for Online Mathematics Lessons

온라인 수학 수업에서 상호작용 설계에 대한 초등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 Received : 2021.12.13
  • Accepted : 2022.01.20
  • Published : 2022.01.31

Abstract

Online classes have become one of the gener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elementary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essentially required to design and implement online math class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environment and the specificity of the subject.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online mathematics lessons can start with examining what difficulties teachers actually have in enacting the online lessons, and this study focused on their educational needs by examining the degree to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and implement in terms of designing online interactions. The result showed that teacher education on Learner-Content Interaction (LC)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 (LL) was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signing online mathematics lesson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detailed items of interactions were confirmed.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educational needs for the types of online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career life cyc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online interactions in online mathematics lessons and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

팬데믹으로 인해 초등교육 현장에서 온라인 수업은 보편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자리매김하였고, 온라인 환경의 특성 및 교과 특수성을 반영해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이 초등교사들에게 필수 역량이 되었다. 온라인 수학 수업의 질적 개선은 교사들이 온라인 수업에서 실제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으로부터 출발할 수 있고, 본 연구는 상호작용 측면에서 초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실행하는 정도를 조사하여 그들의 교육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에서 온라인 수학 수업의 설계를 위해 학습자-학습내용 상호작용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에 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의 세부 항목별 교육요구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초등교사의 생애단계에 따라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교육요구도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들의 온라인 수학 수업에서 상호작용에 관한 설계 전략과 그들의 교육요구도를 반영한 교사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애, 남성욱(2020). 코로나19로 인한 쌍방향 원격수업에 관한 연구: 세종시 초등학교 교사들과 FGI 질적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89-116.
  2. 강민석, 박인우(2010).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감 요인 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26(2), 187-215.
  3. 경미선, 진용성, 김갑성(2021). COVID-19에 대응하는 초등교사들의 원격수업 경험과 의미. 교원교육, 37(1), 221-243.
  4. 계보경, 김혜숙, 이용상, 손정은, 김상운, 백송이(2020). COVID-19에 따른 초.중등학교 원격교육 경험 및 인식 분석: 기초 통계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 GM 2020-11.
  5. 고서연(2021). 코로나19 팬데믹 교육격차에 따른 각국의 기초학력 지원 정책과 서울교육에의 시사점. 서울교육. Retrieved from http://webzine-serii.re.kr/%EC%BD%94%EB%A1%9C%EB%82%9819-%ED%8C%AC%EB%8D%B0%EB%AF%B9-%EA%B5%90%EC%9C%A1%EA%B2%A9%EC%B0%A8%EC%97%90-%EB%94%B0%EB%A5%B8-%EA%B0%81%EA%B5%AD%EC%9D%98-%EA%B8%B0%EC%B4%88%ED%95%99%EB%A0%A5-%EC%A7%80/
  6.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Retrieved from http://ncic.re.kr/mobile.dwn.ogf.inventoryList.do
  7. 교육부(2020). 교육부 보도자료(2020. 03. 27.).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 기준안 마련. Retrieved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4&opType=N&boardSeq=80131
  8. 교육부(2021. 6).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및 학습 지원 강화를 위한 대응 전략 발표. Retrieved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84597&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9. 교육부(2021. 10). 2022년 교원 연수 중점 추진방향. Retrieved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27&lev=0&statusYN=W&s=moe&m=0305&opType=N&boardSeq=89277
  10. 권성연(2020). 코로나19에 따른 초중등 교사들의 온라인 수업 경험과 인식에 대한 탐색. 교육공학연구, 36(3), 745-774.
  11. 권유진, 홍미영, 정연준, 우연경, 박준홍, 이재진, 김미지(2021). 초.중학교 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인식 및 전략 활용 실태 [2021 KICE 이슈페이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ORM 2021-40-10.
  12. 권점례, 김명화, 이상하, 유금복, 최정숙, 강현숙, 신승기(2020). COVID-19 대응 온라인 개학에 따른 초,중, 고등학교 원격 수업의 실태 및 개선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20-2.
  13. 권정민(2021). 코로나 시대 초등원격수업이 부실한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32(1), 399-424.
  14. 권하영, 이수영(2021). 온라인 수업에서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3), 979-1006.
  15. 김경인(2021). COVID-19 상황 속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초등교육연구, 34(2), 163-186.
  16. 김리나(2020).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도형 교육 연구 동향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4(1), 151-168.
  17. 김대연(2021). 칸아카데미를 활용한 수학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수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및 칸아카데미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예림, 장혜원(2020). 가상현실공간게임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공간감각과 수학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6학년 쌓기나무 단원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22(1), 51-68.
  19. 김재우(2003). 수학과 연산영역의 상호작용 강화를 위한 질의응답 처리시스템 개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혜진(2020). 코로나19에 따른 초등 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 613-639.
  21. 김홍겸(2021).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수학과 원격수업의 만족도 및 수학학습과의 연관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35(3), 341-358.
  22. 김희규, 주영효(2017). 초등학교 교사의 생애단계별 직무역량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3(1), 287-318.
  23. 도재우(2020).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6(2), 153-173.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53
  24. 박상훈, 김은협, 김태우, 유미경, 양선환(2020). 원격교육 수업 실행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 RM 2020-11.
  25. 박영옥, 신지은, 이부일, 황현식, 이석훈(2012). SPSS를 활용한 통계자료분석. 서울: 경문사.
  26. 박완성, 박종환, 임영미(2021). 코로나19로 실시한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2), 707-728.
  27. 박주현, 동효관, 이인태, 장근주, 조보경, 홍원준, 김선영(2021). 학교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과별 교수학습 설계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21-40-19.
  28. 박철희, 민경용, 김왕준(2017). 생애단계별 교사연수 모형 개발: 강원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9), 101-121.
  29. 방효비, 박수정(2021). 교직 생애 단계에 따른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필요도-참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9), 757-772.
  30. 백선수(2005). 초등수학교실에서의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의 활용한 위한 연구. 초등수학교육, 9(1), 59-64.
  31. 송민호(2016). 디지털교과서 및 소프트웨어교육의 도입에 따른 수학교육 관점에서의 공학적 도구 설계 및 활용에 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333-352.
  32. 송해덕, 장선영, 김연경(2013). 대학교수의 경력별 직무역량 요구분석과 지원방안. 아시아교육연구, 14(4), 149-179. https://doi.org/10.15753/AJE.2013.14.4.007
  33. 안병규(2009). 초, 중등 이러닝에서의 상호작용 평가 준거 개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오영범(2021). 초등학교 원격수업 사례분석을 통한 원격수업의 가능성과 한계. 초등교육연구, 34(1), 109-139.
  35. 위정현, 원은석(2012). G 러닝 수학 수업이 미국 초등학교 5 학년 학생의 수학 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2(1), 79-90. https://doi.org/10.7583/JKGS.2012.12.1.079
  36. 이두휴, 오승용, 송승훈, 김준호, 장시준(2021). 디지털 전환 대응 포용적 미래교육 거버넌스 구축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 KR 2021-1.
  37. 이동근, 안상진(2021). 비대면 원격수업 형태 중 실시간 쌍방향 수업 자료 개발 사례 연구: 고등학교 기하 과목 공간도형 단원의 평면의 결정 요건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35(2), 173-191.
  38. 이민경(2021). 이러닝 환경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자의 인지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 48(1), 89-112. https://doi.org/10.22804/JKE.2021.48.1.004
  39. 이병민, 최정은(2020). 서울시 초, 중, 고등학교 코로나 19 대응 원격교육 현황 조사. 서울특별시교육청.
  40. 이선영(2021). 개념적 이해 기반 수학 수업을 위한 원격수업 사례 분석: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8), 469-489.
  41. 이정표(2021). 초등교사 직무연수의 프로그램 설계 방향. 교원교육, 37(3), 1-24.
  42. 이주성, 전석주(2019). 초등학생이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LMS 활용방안.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2), 159-167.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2.159
  43. 이주호, 정제영, 정영식(2021). AI교육혁명-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시원북스.
  44. 이지은(2020). 코로나 19 상황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풀어내기.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3), 183-201. https://doi.org/10.25051/JNER.2020.8.3.008
  45. 이지연, 성은모, 이지은, 임규연, 한승연(2020). 코로나 19 시대 온라인 수업의 도전과 과제. 교육공학연구, 36(3), 671-692.
  46. 임규연, 김혜준, 최지수, 김윤진(2020). 학습자 대시보드의 사용성 평가: 상호작용 정보의 시각화에 대한 학습자 인식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2), 395-424.
  47. 임성만, 양일호, 김성운(2020). 교직 경력에 따른 COVID-19 상황에서의 초등학교 현장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 371-400.
  48. 임수현, 정은선(2021). 코로나19 기점으로 나타난 초등학교 4, 6학년 수학 학업성취도 변화 분석. 한국초등교육, 32(3), 249-266. https://doi.org/10.20972/KJEE.32.3.202109.249
  49. 임지영(2020). 컴퓨터기반 협력학습(CSCL)에서 공유된 조절에 대한 모니터링 지원이 협력학습 과정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0. 임지영, 진명화, 임규연(2020). SW교육에서 초등교원의 TPACK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4), 879-907.
  51. 임철일(1999). 상호작용적 웹 기반 수업 설계를 위한 종합적 모형의 탐색. 교육공학연구, 15(1), 3-24.
  52. 임철일, 박복미, 송승훈(2006). 원격대학 이러닝에 있어서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통합적 접근. 평생학습사회, 2(2), 1-22.
  53. 전중원(2021).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활용 교육방법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34(1), 245-263.
  54. 정영식, 서정희(2020). 비대면 시대의 원격 수업 방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 RM 2020-1.
  55. 정혜윤, 서호성(2021). 중학교 3학년 일반 학급 대상 온라인 수학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 수업 참여의 특징 분석. 학교수학, 23(3), 433-456.
  56. 조대연(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 165-187.
  57. 최병훈, 윤현철(2017). 초등학교 6학년 수학수업에서의 수업인터넷 기반 협력학습 수업방법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1(2), 248-266. https://doi.org/10.21796/jse.2017.41.2.248
  58. 최은진, 최명숙(2016). 이러닝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공학연구, 32(1), 139-164.
  59. 한채린(2021).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에서 교사의 주목하기 비교: 수학적 사고에의 접근 방식과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60(3), 421-438. https://doi.org/10.15812/TER.60.3.202109.421
  60. 허가을, 이동성(2021). 초등학생들의 비대면 학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교육문화연구, 27(4), 495-520. https://doi.org/10.24159/JOEC.2021.27.4.495
  61. 허혜자, 최정임(2009).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나타난 오개념에 대한 연구: 분수의 나눈셈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1(4), 643-664.
  62. 허희옥, 임규연, 이현우, 김현진(2014). 스마트교육을 위한 교원의 교육요구도 분석. 교원교육, 30(1), 93-112.
  63. Anderson, T. (2003). Modes of interaction in distance education: Recent developments and research questions. In M. G. Moore & W. G. Anderson (Eds.), Handbook of distance education (pp. 129-144). London: Routledge.
  64. Boo, Y. J., & Leong, K. E. (2016). Teaching and learning geometry in primary school using GeoGebra. In Proceedings of the 21st Asian conference technology in mathematics (Pattaya, Thailand), 289 (Vol. 230).
  65. Cao, Y., Zhang, S., Chan, M. C. E., & Kang, Y. (2021). Post-pandemic reflections: lessons from Chinese mathematics teachers about online mathematics instruction.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22(2), 157-168. https://doi.org/10.1007/s12564-021-09694-w
  66. Cargile, L. A. (2015). Blending instruction with khan academy. The Mathematics Teacher, 109(1), 34-39. https://doi.org/10.5951/mathteacher.109.1.0034
  67. Christopoulos, A., Kajasilta, H., Salakoski, T., & Laakso, M. J. (2020). Limits and virtue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49(1), 59-81. https://doi.org/10.1177/0047239520908838
  68. Crompton, H., Grant, M. R., & Shraim, K. Y. (2018). Technologies to enhance and exte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geometry: A configurative thematic synthesis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21(1), 59-69.
  69. Edson, A. J., & Phillips, E. D. (2021). Connecting a teacher dashboard to a student digital collaborative environment: supporting teacher enactment of problem-based mathematics curriculum. ZDM-Mathematics Education, 53(6), 1285-1298. https://doi.org/10.1007/s11858-021-01310-w
  70. Furner, J. M., & Marinas, C. A. (2007). Geometry sketching software for elementary children: Easy as 1, 2, 3.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3(1), 83-91.
  71. Garrison, D. R., & Anderson, T. (2003). E-learning in the 21st century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권성연, 최형신, 김혜정 역 (2013). 21세기의 이러닝: 연구와 실행을 위한 프레임워크. 서울: 학지사.
  72. Gittinger, J. D. (2012). A Laboratory Guide for Elementary Geometry using GeoGebra. North American GeoGebra Journal, 1(1), 11-26.
  73. Herwin, H., Hastomo, A., Saptono, B., Ardiyansyah, A. R., & Wibowo, S. E. (2021).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organized onlin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orld Journal on Educational Technology: Current Issues, 13(3), 437-449. https://doi.org/10.18844/wjet.v13i3.5952
  74. Jackson, A. T., Brummel, B. J., Pollet, C. L., & Greer, D. D. (2013). An evaluation of interactive tabletop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1(2), 311-332. https://doi.org/10.1007/s11423-013-9287-4
  75. Kalogeropoulos, P., Roche, A., Russo, J., Vats, S., & Russo, T. (2021). Learning Mathematics from Home during COVID-19: Insights from Two Inquiry-Focussed Primary School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7(5), em1957. https://doi.org/10.29333/ejmste/10830
  76. Klemer, A., & Rapoport, S. (2020). Origami and GeoGebra Activities Contribute to Geometric Thinking in Second Graders. EURASIA J 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6(11), em1894. https://doi.org/10.29333/ejmste/8537
  77. Liao, Y. C., Ottenbreit-Leftwich, A., Zhu, M., Jantaraweragul, K., Christie, L., Krothe, K., & Sparks, K. (2021). How Can We Support Online Learning for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Award-Winning K-6 Teachers. TechTrends, 1-13.
  78. Lim, J. Y., Kim, S., Cho, M. K., & Lim, E. (2021). Perception of university instructors for designing online interactions: Findings from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2(2), 199-225. https://doi.org/10.23095/ETI.2021.22.2.199
  79. Mink, O. G., Shultz, J. M., & Mink, B. P.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80. Moore, M. G. (1989). Editorial: Three types of interaction.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3(2), 1-7. https://doi.org/10.1080/08923648909526659
  81. Moore, M. G. (1993). Three types of interaction. In K. Harry, J. Mangus & D. Keegan (Eds.), Distance education: New perspectives (pp. 19-24). New York: Routledge.
  82. Muir, T. (2014). Google, Mathletics and Khan Academy: students' self-initiated use of online mathematical resource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6(4), 833-852. https://doi.org/10.1007/s13394-014-0128-5
  83. Nandi, D., Hamilton, M., & Harland, J. (2012). Evaluating the quality of interaction in asynchronous discussion forums in fully online courses. Distance education, 33(1), 5-30. https://doi.org/10.1080/01587919.2012.667957
  84. Nieuwoudt, J. E. (2020). Investigating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lass attendance as predictors of academic success in online education,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6(3), 15-25. https://doi.org/10.14742/ajet.5137
  85. Tsuei, M. (2012). Using synchronous peer tutoring system to promote elementary students' learning in mathematics. Computers & Education, 58(4), 1171-1182. https://doi.org/10.1016/j.compedu.2011.11.025
  86. Zulnaidi, H., & Zamri, S. N. A. S. (2017). The effectiveness of the GeoGebra software: The intermediary role of procedural knowledge on students' conceptual knowledge and their achievement in mathematic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3(6), 2155-2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