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상경(2014). 게임화의 학습효과: 상대평가제로 운영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 사례연구.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17(3), 69-95. https://doi.org/10.15702/mall.2014.17.3.68
- 김상균(2018). 게이미피케이션 콘텐츠가 과학 수업에 미치는 영향. 현장과학교육, 12(1), 75-84. https://doi.org/10.15737/SSJ.12.1.201802.75
- 김창희(2018).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동료지도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6(1), 15-21. https://doi.org/10.22716/SCKT.2018.6.1.003
- 김혜진.봉미미.박성희(2009). 중학교 컴퓨터 수업에서 동료교수 짝짓기 방식이 컴퓨터 활용 자기효능감과 실습성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5(4), 187-212.
- 나용수.민혜리(2019). 소그룹 활동을 활용한 학습자중심 교육 사례: '원자핵공학의 미래'교과목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2(5), 29-36. https://doi.org/10.18108/jeer.2019.22.5.29
- 백현덕.박진원(2012). 공학교육에서의 팀성취분담 협동학습 모형(STAD)의 적용과 효과. 공학교육연구, 15(6), 34-42. https://doi.org/10.18108/JEER.2012.15.6.34
- 백현덕.박진원(2016). 공학교육에서 평가 횟수 증가와 학업 성취도 향상의 상관관계에 관한 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19(6), 57-62. https://doi.org/10.18108/JEER.2016.19.6.57
- 송충진(2017).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에 따른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93-120.
- 이상수(2003). 웹 기반 학습 환경과 면대면 학습 환경에서의 개별적 성찰전략과 협력적 성찰전략이 인지구조와 간주관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9(4), 55-73.
- 이성혜.김은희(2019). 플립러닝 기반 공학수업 개선 방안 연구-국내 C 대학 공학수업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2(2), 3-15. https://doi.org/10.18108/JEER.2019.22.2.3
- 이승희.김동식(2003).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협력적 성찰이 문제해결 수행 및 과정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9(1), 131-159.
- 장선영.김혜진(2019). 대학 영문학 토의. 토론학습에서 성찰 유형 집단별 학습 결과 분석과 학습 효과 및 제안사항에 대한 질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 601-628.
- 정숙희(2014). Jigsaw 협동학습에 의한 토의.토론수업이 토익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학습태도와 학습동기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2(4), 181-206.
- 정인숙(2021). 간호대학생의 동료교수활동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127-136.
- 정주영.이미화(2021). 게이미피케이션 (Gamification) 을 적용한 수업의 학습몰입 및 수업참여도 분석. 교육혁신연구, 31, 163-187. https://doi.org/10.21024/PNUEDI.31.3.202109.163
- 조영.김미라(2021). 미적분학 수업에 그룹게임을 적용한 협동학습사례. 공학교육연구, 24(4), 41-51. https://doi.org/10.18108/JEER.2021.24.4.41
- 최경미(2014). 미적분학 복습시험을 포함하는 공업수학 수업 모형 연구. 공학교육연구, 17(2), 3-10. https://doi.org/10.18108/JEER.2014.17.2.3
- 한안나(2018). 국내 게이미피케이션 연구동향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5), 566-57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5.566
- 허준영.한수민(2016). 공학전공기초실습에 플립러닝 적용사례. 실천공학교육논문지, 8(2), 83-89. https://doi.org/10.14702/JPEE.2016.083
- Barata, G. et al.(2013). Improv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with gamification. Retrieved July 15, 2022,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eb.ist.utl.pt/gabriel.barata/wp-content/papercite-data/pdf/barata2013c.pdf
- Deterding, S. et al.(2011). From game design elements to gamefulness: Defining gamification. In:Proceedings of the 15th international academic MindTrek conference: Envisioning Future Media Environments. 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