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and Verification of Addressabl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for Existing Apartments

기존아파트의 적용성을 고려한 주소형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설계 및 검증

  • 안현성 (LH 토지주택연구원 공공주택연구실)
  • Received : 2022.10.05
  • Accepted : 2022.12.14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Non-fire activated fire alarms caused by such actions as cigarette smoke, cooking, and high humidity are fire safety risk factors. In such instances, it is important to quickly locate and replace the actuated detector. However, it is difficult to locate those detectors because most do not have an address function. While new apartments can incorporate addressable fire alarm detectors, in existing apartments there are limitations in converting over to addressable detectors due to cost and power line issues. This study developed an efficient address function for fire alarms in existing apartments. The newly developed system consists of the existing receiver, and a proposed addressable repeater and detector. Utilizing an experimental setup,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ddress monitoring system was confirmed to be stable and compatible with the receiver and existing detectors.

화재감지기는 비화재보가 많이 발생함에 따라서 신속하게 감지기를 확인해야 하지만 일반감지기는 주소기능이 없어 신속한 대응에 한계가 있다. 주소 기능을 갖는 아날로그감지기 등을 적용하면 해결되지만 기존 공동주택의 경우 교체기간, 교체 비용, 선로의 사용 등의 문제로 인해 설비의 전면 교체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별도로 기존아파트에 적용성을 고려한 맞춤형 설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아파트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소형 감지기와 중계기를 설계하여 중계기에서 감지기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주소형 감지기는 정온식과 광전식 감지기를 설계하였으며, 주소형 중계기는 FND를 추가하여 감지기 위치 확인이 가능하게 하였다. 선로의 종류, 길이를 고려하여 성능검증을 하였으며, 단선에러 동작과 일반감지기와의 호환성 등을 추가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태.홍세권.유영신.정해성(2010), "아날로그 주소형 감지기와 자동화재탐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사례에 대한 고찰", 「한국화재소방학회」, 24(4): 1~11.
  2. 민병건(2018), "노후 공동주택의 효율적인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3. 서병근.남상규(2016), "아날로그 광전식 연기감지기 비화재보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30(5): 108~115.
  4.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2015~2021), 「화재통계연감」, 세종.
  5. 소방청(2019.01.24),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6. 소방청(2022.05.09),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7. 소방청(2022.08.3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8. 안현성(2021), 「주택의 화재감지 및 경보기술 고도화」, 대전: 토지주택연구원.
  9. 오규호(2015), 「노후아파트 화재안전실태조사」, 음성: 한국소비자원.
  10. 이종화.이춘하.김시국.공하성(201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비화재보 감소방안",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3(1): 41~49. https://doi.org/10.12812/KSMS.2011.13.1.041
  11. 이춘하(2012), 「사용자 중심 주소형 P형 자동화재탐지설비 개발」, 아산: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12. 이춘하(2014), 「위치확인 기반의 주소형 R형 자동화재탐지설비개발」, 아산: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13. 한국토지주택공사(2020.12.31.), "소방전기설비 LHCS 31 80 30".
  14. 황의홍.이성은.최돈묵(2020), "국내.외 비화재보의 통계 및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4(2): 30~40.
  15. Festag, S. and L. Rutimann (2017), "False Alarms of Fire Detection and Fire Alarm Systems in Selected European Countries", The 2017 Suppression, Detection, and Signaling Research and Applications Conference (SUPEDT2017) & th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ire Detection (AUBE'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