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Royal Seals during the Reign of King (Emperor) Gojong (r. 1863-1907)

고종 연간(1863~1907) 제작 어보(御寶) 연구

  • JE, Jihyeon (Dept. of Art history, Dongguk University)
  • 제지현 (동국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 Received : 2021.06.27
  • Accepted : 2021.07.30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e reign of King (later Emperor) Gojong of the Joseon dynasty (later the Korean Empire), which lasted from 1863 to 1907, was a period of turmoil caused by political and social instability at home and military incursions by foreign powers. It was also a period in which Joseon was proclaimed as the Korean Empire and, accordingly, the royal seals of the dynasty underwent a major change. Records show that some 135 seals were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Gojong. The present study of the makers and styles of the royal seals aims to reveal a wealth of information on the seals, which typically had handles in the shape of either a turtle or dragon. Among the seal makers of this era, Jeon Heung-gil was particularly highly regarded as a Golden Royal Seal Artisan (Geumbojang) because he was highly skilled at making both turtle and dragon handles. Kim Eun-seok, a master Jade Royal Seal Artisan (Okbojang), also excelled in the production of turtle and dragon handles for his jade seals. Another master Jade Royal Seal Artisan, Yi Jung-ryeo, is noteworthy because he developed a new style of jade royal seals, which eventually became the dominant style after 1890, when Kim Eun-seok was not active. Furthermore, after the 1890s, his style was also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the gold royal seals and developed as the dominant style. Regarding the dragon handles adopted after the proclamation of the Korean Empire, both the golden and the jade royal seals were made in the same style by the same artisans in the service of the Joseon dynasty. They adopted the style of Chinese imperial seals when they began making seals with dragon handles for the Korean Empire, although the basic shapes of both handle and dragon were copied from those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As a ceremonial object symbolizing the authority and legitimacy of the royal or imperial family, the style of the royal seals was influenced mainly by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at home and abroad. As Gojong's reign was a period in which more royal seals were made than in the reign of any other ruler, the seals originating from his reign constitute a richer source of information about the efforts of the dynasty to preserve the tradition while effectively dealing with the changes of the new era.

고종이 집권했던 1863년부터 1907년은 불안한 국내 정세와 열강의 침입으로 혼란한 시기였지만,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의 전환기로 왕(황)실의 어보(御寶) 제작에 있어 중요한 변화를 맞이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고종 연간 제작된 보인(寶印)은 대략 138과로 거북뉴(龜鈕)와 용뉴(龍鈕) 어보의 제작 장인, 조형을 분석하면 이시기 보인 전반을 이해할 수 있다. 고종 연간 활동했던 대표적인 금보장(金寶匠) 전흥길(全興吉)은 왕실에서 다양한 금속공예품을 제작하며 실력을 인정받아 활동했던 장인으로, 거북뉴 금보(金寶)와 용뉴 금보를 모두 제작할 수 있었던 뛰어난 장인이었다. 옥각수(玉刻手)·옥보장(玉寶匠)으로 활동한 김은석(金殷錫)도 전흥길과 마찬가지로 거북뉴 옥보(玉寶)와 용뉴 옥보를 모두 제작할 수 있었던 장인이었다. 또한 옥보장 이중려(李仲呂)의 활동도 주목되는데, 김은석이 활동하지 않는 동안 옥보의 새로운 양식을 창출했을 뿐 아니라 이 양식이 금보에도 적용되어 고종 연간 후반기인 1890년 이후 주요한 양식으로 자리하게 된다. 대한제국 수립 이후 제작된 용뉴의 경우 금보와 옥보가 유사한 양식을 공유하는데, 당시 『대례의궤(大禮儀軌)』에 기록된 장인들은 전흥길, 김은석 등 고종 연간 계속 활동해온 금보장, 옥보장이었다. 이들은 처음 용뉴의 어보를 제작해야 할 때 문헌이나 기록 등으로 중국의 용뉴 인장 형식을 차용하였지만, 용뉴 형태와 용 모습은 당시 조선시대부터 제작되어온 용 조각을 모방한 것으로 보인다. 어보는 왕실과 황실의 정통성과 권위를 상징하는 의물로, 국내외 정세에 따른 변화를 가장 많이 반영하는 공예품이다. 고종 연간은 역대 왕들의 재위 기간 중 어보가 가장 많이 만들어진 시기로 기존의 어보 제작 전통을 지키면서도 새로운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高宗實錄」
  2. 「宗廟儀軌」(奎14420), 1706년.
  3. 「[正祖]國葬都監儀軌」(奎13634), 1800년.
  4. 「哲宗大王國葬都監儀軌」(奎13844), 1863년.
  5. 「[文祖神貞后八尊憲宗孝定后六尊哲宗哲仁后三尊]崇都儀軌」(奎13448), 1865년.
  6.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奎13153), 1866년.
  7. 「[文祖三尊號憲宗哲宗再]尊號都監儀軌」(奎13408), 1866년.
  8. 「[文祖神貞后十二尊號憲宗孝定后七哲仁后高宗初尊]上尊號都監儀軌」(奎13455), 1873년.
  9. 「[純宗王世子受冊時]冊禮都監儀軌」(奎13169), 1875년.
  10. 「翼宗大王追上大王大妃殿加上尊號都監儀軌」(奎13412), 1875년.
  11. 「寶印所儀軌」(奎14212), 1876년.
  12. 「哲仁王后國葬都監儀軌」(奎13860), 1878년.
  13. 「[純祖純明后]嘉禮都監儀軌」(奎13174), 1882년.
  14. 「[文祖神貞后二十]加上尊號都監儀軌」(奎13460), 1888년.
  15. 「[文祖神貞后]加上尊號都監儀軌」(奎13475), 1888년.
  16. 「英祖廟號都監儀軌」(奎13301), 1890년.
  17. 「[文祖神貞后太王再尊號憲宗孝定后八尊號]加上尊號都監儀軌」(奎13473), 1890년.
  18. 「神貞王后國葬都監儀軌」(奎13736), 1890년.
  19. 「翼宗大王追上神貞王后追上尊號都監儀軌」(奎13422), 1890년.
  20. 「[肅宗四]追上尊號都監儀軌」(奎13272), 1890년.
  21. 「翼宗大王追上神貞王后追上大殿加上王大妃殿加上中宮殿加上尊號都監儀軌」(奎13425), 1892년.
  22. 「[高宗]大禮儀軌」(奎13486), 1897년.
  23. 「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奎13883), 1895년.
  24. 「[太祖莊祖正祖純祖]追尊時儀軌」(奎13236), 1899년.
  25. 「義王英王冊封儀軌」(奎13226), 1900년.
  26. 「[仁祖大王追上仁烈王后追上莊烈王后追上孝宗大王追上仁宣王后追上皇帝加上明憲太后加上明成王后追上]尊號都監儀軌」(奎13246), 1900년.
  27. 「淳妃冊封儀軌」(奎13204), 1901년.
  28. 「文祖翼皇帝追上神貞翼皇后追上皇帝加上明憲太后加上明成皇后追上上號都監儀軌」(奎13430), 1902년.
  29. 「[淳妃]進封皇貴妃儀軌」(奎13211), 1903년.
  30. 「[孝宗王后]國葬都監儀軌」(奎13816), 1903년.
  31. 「[純明]王后國葬都監儀軌」(奎13902), 1904년.
  32. 「[純宗純宗妃] 嘉禮都監儀軌」(奎13182), 1906년.
  33. 「[高宗] 尊奉都監儀軌」(奎13163), 1907년.
  34. 국립고궁박물관, 2014, 「국역보인소의궤」, p.17.
  35.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05, 「조각장」, 피아, p.7.
  36. 성인근, 2008, 「조선시대와 대한제국기 國璽의 변화상」, 「역사와 실학」 36, 역사실학회, pp.85~111.
  37. 성인근, 2014, 「미국에서 환수한 조선왕실 인장문화재의 가치와 과제」, 「문화재」 제47권 제4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p.192~209. https://doi.org/10.22755/KJCHS.2014.47.4.192
  38. 이윤상, 2003, 「대한제국기 국가와 국왕의 위상제고사업」, 「진단학보」 95, 진단학회, p.84.
  39. 임현우, 2008, 「조선시대 어보 연구 : 구 종묘 소장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81~100.
  40. 장을연, 2020, 「대한제국 황실의 책봉의례와 금책」, 「대한제국기 황실 의례와 의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p.58.
  41. 정창운, 2010, 「조선시대 어보 보뉴 양식 연구」, 「조선왕실의 어보 1」, 국립고궁박물관, pp.738~742.
  42. 제지현, 2013, 「朝鮮時代 17~18世紀 王室 御寶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5~41.
  43. 제지현, 2016, 「1705년 금보개조도감(金寶改造都監) 제작 금보 연구」, 「문화재」 제50권 제1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p.53~54.
  44. 제지현, 2019, 「崔天若이 제작.감독한 조선 왕실 御寶 연구」, 「美術史學硏究」 304, 한국미술사학회, p.144.
  45. 한영우, 2001, 「대한제국 성립 과정과 「대례의궤」」, 「한국사론」 45,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pp.193~277.
  46. 故宫博物院 编, 2008, 「明淸帝后宝玺」, 北京: 故宮出版社, p.16.
  47. 규장각 원문 검색 서비스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13634_00&vol_no=0003
  48. 중국 북경고궁박물원 https://www.dpm.org.cn/Home.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