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ypes of tweezers and their culture of use

족집게(鑷)의 유형과 사용 문화

  • KIM, Jihyeon (Research Division of Artistic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김지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21.03.25
  • Accepted : 2021.07.20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types of tweezers used across time and to examine the social culture of periods through the use of tweezers. Chapter II summarized the terms for tweezers and looked at the use of tweezers in two cases related to the social culture and politics of a period. The first is the use of tweezers for beauty purposes. Men used tweezers as a kind of self-management to maintain their social status and power, and thus they helped develop a wide range of tweezers cultures. People with gray hair are usually old. The perception that we should step down from politics when we are aged has become strong. Therefore, politicians pulled out gray hairs with tweezers to maintain only black hair and show youth, which indicates that their social influence is still strong. The second is the use of tweezers for first aid. Chapter III classified tweezers by type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The tweezers are largely divided into basic and composite types. The basic type of tweezers is a form that has been continue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consists of tongs and handles, and a fixed type of tweezers with a fixed ring appeared. Composite tweezers are made by grafting earpick or multipurpose knives. Composite tweezers are all-in-one tweezers with an earpick and an all-in-one knife. Tweezers are usually all-in-one. Among the composite tweezers, rivet separation and ring separation are characterized by separation, unlike the all-in-one tweezers. The method of connecting is divided into rivets and connection rings. The all-in-one tweezers appear only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are characterized by the lifestyle that provides a glimpse of the tastes of contemporary users. The manufacturing takes shape after making a thin metal plate. Decorative techniques are carved on soft metal tweezers, such as silver and bronze with a line, point, and a pressed angle. These tweezers are presumed to have been used by the royal family or aristocrats. However, most tweezers are made of strong bronze or iron. Therefore, the majority of simple X-shaped patterns are sampled or without patterns. The biggest reason why there are such diverse types of tweezers is that the culture of tweezers was widespread regardless of the times. In addition, the basic type of tweezers has been use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has been modified and used together as necessary because the shape of tweezers is a practical daily tool. Study of metal crafts have been limited to royal objects and Buddhist crafts. We hope that research on everyday tools such as tweezers will continue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times in various ways.

본고는 시대를 관통하는 기형의 보편성을 가진 족집게의 쓰임과 사용 문화를 알아보고, 족집게의 유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II장에서는 족집게에 관한 용어를 정리하고, 족집게의 쓰임을 당대의 사회문화, 정치와 관련하여 두 가지 경우로 보았다. 첫 번째는 미용 및 자기관리의 목적으로 족집게를 사용한 경우이다. 눈썹과 코털을 정리하는 미용 용도로 사용하였고, 남성들이 사회적 지위와 권력을 유지하고자 흰털을 뽑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두 번째는 응급 처지 의료보조기구로 족집게를 사용한 경우이다. III장에서는 고려, 조선시대 족집게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족집게는 크게 기본형과 복합형으로 구분된다. 기본형은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져온 형태로 손잡이와 집게로 이루어져 있다. 집게를 고정하는 고리가 달린 족집게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복합형은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뉜다. 일체형은 양쪽에 달린 도구에 기반을 둔 분류이며, 귀이개 일체형과 손칼 일체형이 있다. 반면 분리형은 리벳 분리형과 고리 분리형으로 나뉜다. 특히 주목할 점은 복합형 중 일체형은 고려시대에만 나타나는 기형으로 당대 사용자들의 기호를 엿볼 수 있다. 제작 기법은 단조로 얇은 금속판을 만든 후에 족집게의 형태를 만든다. 장식 기법은 은과 동 같은 무른 금속 재질의 족집게에 선각, 점조, 압각(인각) 등으로 문양을 새겼고, 장식성이 두드러지는 족집게는 왕실이나 귀족들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시대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족집게는 강도가 높은 청동이나 철로 제작되었다. 때문에 다수의 족집게는 단순한 X자 문양이 시문되거나 무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족집게의 형태들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던 이유는 시대를 막론하고 족집게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기 때문이다. 기본형 족집게는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으며 실용성에 기반을 둔 전형적인 일상도구이다. 그동안 금속공예는 왕실공예 또는 불교공예에 한정되어 연구되어왔다. 족집게와 같은 일상용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당대의 사회문화를 여러 방면으로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공예 지식백과 구축> 연구과제(NRICH-2105-A40F-1) 수행을 통해 작성되었다.

References

  1. 「강희자전(康熙字典)」
  2. 「고려도경(高麗圖經)」
  3. 「고려사(高麗史)」
  4. 「구급간이방언해(救急簡易方諺解)」
  5. 「남파집(南坡集)」
  6.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7.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8. 「동주집(東洲集)」
  9.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백발부(白髮賦)」
  10.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
  11. 「부계기문(涪溪記聞)」
  12. 「사가집(四佳集)」
  13. 「사성통해(四聲通解)」
  14. 「성호사설(星湖僿說))」
  15. 「역어유해(譯語類解)」
  16. 「운선잡기(雲仙雜記)」
  17. 「정몽유어(正蒙類語)」
  18. 「제서(齊書)」
  19. 「지봉유설(芝峯類說)」
  20.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21. 「태평어람(太平御覽)」
  22. 「훈몽자회(訓蒙字會)」
  23. 국립경주박물관, 2005, 「신라의 황금장신구」, p.184.
  24. 국립무형유산원, 2005, 「조각장」, 도서출판 피아, p.60.
  25.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오구라 컬렉션 한국문화재 - 일본 도교국립박물관 소장」, p.398.
  26.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독일 쾰른 동아시아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p.231.
  27.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 p.58.
  2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영국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p.132.
  29. 권혁남 외, 2014, 「미륵사지 석탑 출토 사리장엄 금제유물의 재료학적 특성」, 「문화재」 제47권 제4호, p.213.
  30. 김동훈, 2017, 「러시아 연해주 스타로레첸스코예 평지성 제1차 발굴조사 성과」, 「2017 Asian Archaeology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p.10.
  31. 김세린, 2020, 「고려시대 금속공예 선각(線刻) 기법의 기술과 유형」, 「문화재」 제53권 제3호, p.38.
  32. 이귀영, 2009, 「금속공예품의 제작 기법」, 「금속공예 -전통과 현대의 만남-」, 국립청주박물관, p.84.
  33. 이재성, 2010, 「韓國 傳統 방짜鍮器의 金屬學的 特性과 再現實驗」,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45.
  34. 충청이장문화재연구원, 2008, 「공주 금학동 고분군」, p.194.
  35. 한송이, 2016, 「왕흥사지와 미륵사지 사리공양품의 재검토」, 「백제 사리장엄과 동아시아 불교문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p.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