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ositions and Provenience Studies on Horse Armour Excavated from Changnyeong Gyo-dong and Songhyeon-dong Tumuli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출토 마구류(馬具類)의 조성 및 원료 산지 추정

  • Han, Woorim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Park, Jiyeon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ojin (Planning and Coordination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한우림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
  • 박지연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
  • 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기획과)
  • Received : 2020.09.21
  • Accepted : 2021.01.31
  • Published : 2021.03.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19 samples of harness fittings and pendants, which were excavated in Tomb No. 15 in Songhyeon-dong, Changnyeong. Harness fittings and pendants are used for ostentation, rather than practicality, and were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Gaya culture. So, they are considered artifacts that compare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raw material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venience studies of Bihwa Gaya, which is estimated to be from the 5th to 6th centur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harness fittings were made of pure copper and were gilded with Au·Ag alloys on their surfaces. Hg was detected together and plated with a mercury amalgam method. As a result of the pendant (fish scales-pattern, oval and fish-tail shape), analysis showed that Fe in the background metal, Cu in the middle layer, and Au and Ag on the surface were the main components. The method of adhesion between Cu and Au·Ag gilded layers are plated by a mercury amalgamation method. So, it was identified by the gilt-iron·gold·bronze technique. Since the pendant (heart shaped) is found to be the main component of Fe in the background metal and Ag in the surface layer, the metal was made gilt-iron·silver technique. The background metal and gilding were additionally fixed using a rivet. The raw materials of 3 harnesses excavated from Changnyeong are plotted in zone 2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And 16 harnesses were plotted in Chinese copper ore by Mabuchi Hishao in the Chinese Peninsula.

본 연구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 15호분에서 출토된 마구류인 입주부운주와 행엽 18건 19점을 분석하였다. 입주부운주와 행엽은 마구 장신구로 실용성보다는 신분 과시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는데 가야문화권 내 모든 고분에서 출토되고 있으므로 각 문화권 제작 기법 및 원료 산지를 비교할 수 있는 유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입주부운주와 행엽의 부위에 따른 제작 기법 및 원료 산지를 확인하여 5~6세기로 추정되는 비화가야의 금제 유물 제작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입주부운주는 순구리로 제작되었으며, 표면에 금(Au)·은(Ag)·수은(Hg) 등이 함께 검출되어 수은 아말감법으로 도금하였음이 확인된다. 어린문, 편원어미형 행엽의 분석 결과 바탕층(철)-중간층(구리)-도금층(금·은)이 확인되며, 구리(Cu)와 표면 금(Au)·은(Ag) 도금층은 수은 아말감법으로 도금한 철지금동판장 기법으로 확인된다. 심엽형 행엽은 바탕 금속에서는 철(Fe), 표면층에서는 은(Ag)이 주성분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철지은장 기법으로 제작되었으며, 바탕 금속과 도금층은 원두정을 이용해 고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창녕에서 출토된 마구류 19점의 원료 산지는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와 마부치히사오(馬淵久夫), 중국 납동위원소비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결과 보요(2점) 및 어린문 행엽(1점)은 한반도 남부 태백산분지의 구리 광석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16점은 중국의 구리 광석을 원료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일, 1993, 한반도 출토 도금 자료의 분석, 문화재 26, 국립문화재연구소, pp.172-210. https://doi.org/10.22755/kjchs.1993.26.172
  2.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09, 1500해앞 16살 여성의 삶과 죽음 - 창녕 송현동 고분군 15호분 순장 인골 복원 연구, p.103.
  3.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1, 창녕 송현동 고분군 I-6.7호분 발굴조사 보고서 1권 본문.도면, pp.8-20.
  4.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2, 창녕 송현동 고분군 II 15-17호분 발굴조사 보고, pp.22, 48-51, 170-171.
  5.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5, 가야 이야기 - 가야의 역사, 그리고 우리, p.111.
  6.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9,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 2016-19년도 발굴조사 현장 공개 자료, p.27.
  7.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 pp.46, 60.
  8. 김정근.김기영.박해웅, 1999, 금속현미경조직학, 노드미디어, pp.97-111.
  9. 김지선, 2008, 고대 금도금 기법에 관한 연구 - 아말감도금.박도금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pp.12-13.
  10. 남궁영임, 2003, 고신라 금속장신구 연구, 도서출판 북스힐, pp.72-73.
  11. 남궁훈, 2018, 부여 능산리 고분군 출토 철지금장제품의 도금기법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pp.1, 50.
  12. 박보현, 1990, 심엽형 행엽의 형식 분포와 다양성, 역사교육논집, 한국역사교육학회, pp.129-130.
  13. 박장식.주진옥, 2016, 한국 방짜기술의 출현과정에 관한 금속학적연구: 국립경주박물관 부지 출토 통일신라 청동유물 기준으로,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54 No.12, pp.937-943.
  14. 이난영, 2012,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43.
  15. 서나영, 2013, 고구려 입주부운주 연구, 고려대학교, pp.21-24.
  16. 손은아.권희홍.박학수, 2011, 서봉총.식리총.금령총 출토 행엽 제작기법 연구, 박물관보존과학 12, 국립중앙박물관, pp.35-45.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1.12.0035
  17. 이귀영, 2010, 백제 금속공예의 인각기법과 어자문 고찰, 미술자료 79, 국립중앙박물관.
  18. 이귀영, 2011, 백제 금동공예기술사 연구, 고려대학교, pp.1-2.
  19. 이현정, 2016, 가야의 말과 마구, 가야고고학개론, 중앙문화재연구원, p.296.
  20. 정미연, 2008, 서천 옥북리 유적 출토 청동 및 굼동제 유물의 금속학적 특성과 고고과학적 해석, 공주대학교, p.81.
  21. 최보배, 2017, 집합조직 분석을 통한 고대 금속선 제작기술 조사, 공주대학교, p.63.
  22. 馬淵久夫.平尾良光, 1984, アジア.中近東地域鑛床鉛の鉛同位體比システマティクス, 文部省科學硏究費 補助金, 一般硏究 C, p.19.
  23. 馬淵久夫.平尾良光, 1987, 東アジア鉛鉱石の鉛同位体比, 考古学雑誌 73(2), pp.199-245.
  24. 定森秀夫, 1981, 韓国慶尚南道昌寧地域土陶質土器の検討‐陶質土器に関する一私見‐, 吉代文化 33.
  25. 穴澤咊光·馬目順一, 1970, 昌寧校洞古墳群 ‐梅原考古学を中心とした谷井済一氏発掘資料の研究‐, 考古学雑誌 60-4.
  26. 小林行雄, 1962, 鍍金技法の傳来, 古代の技術, 塙選書 24, 塙書房, pp.196-197.
  27. Jeong Youn-joong, Cheong Chang-sik, 2019, 'Lead isotope mapping of galena from base metal deposits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Geoscience Jouranal Vol.23 No.2, pp.235-252.
  28. Jeong Youn-joong, Chenong Chang-sik, Shin Dong-bok, Lee Kwang-sik, Jo Hui-je, Mukesh Kumar Gautam, Lee Insung, 2012, 'Regional variations in the lead isotopic composition of galena from southern Korea with implications for the discrimination of lead provenance',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61, pp.116-127. https://doi.org/10.1016/j.jseaes.2012.09.008
  29. Hsu Yiu-kang, Sabatini Benjamin J., 2019, 'A ge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ead ores in China: An isotope database for provenancing archaeological materials', PLOS ONE 14(4), pp.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