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해주팔경도(海州八景圖)>에 표현된 조선 후기 해주의 풍경과 풍물

Expressions of the , Owned by the Onyang Folk Museum Haeju's Scenery and Custom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투고 : 2021.07.15
  • 심사 : 2021.10.31
  • 발행 : 2021.12.30

초록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해주팔경도(海州八景圖)>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해주팔경의 기원과 제작 시기를 유추하고, 팔경도에 담긴 경물과 풍물을 비정(批正)함으로써 해주팔경의 경관상과 집경(集景) 의의를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 알려진 해주 집경의 원전(原典)은 구사맹(1531~1604)의 「해주팔영」으로 확인된다. 1782년에 쓰인 유만주의 『흠영』에서는 이를 고팔경(古八景)으로 지칭하고 해주팔경을 금팔경(今八景)으로 규정했는데, 이는 문헌으로 확인되는 가장 이른 시기 해주의 읍치팔경이다. <해주팔경도>는 '남강에서의 뱃놀이(南江泛舟)', '부용당에서의 연꽃 구경(芙蓉賞蓮)', '광석천에서의 발 씻기(廣石濯足)', '해운교에서의 석별(泣川送客)', '해운정에서의 낚시(東亭釣魚)', '남산에서의 바다 구경(南山望海)'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본된 2폭은 '영해루에서의 달 구경(瀛海玩月)'과 '백림정에서의 백일장과 활쏘기(栢林觀德)'를 담은 것으로 추정된다. 해주팔경에서 배제된 고팔경의 수양채미, 신광제설, 지성폭포는 모두 수양산을 대상장으로 펼쳐진 풍경이다. 이렇듯 <해주팔경도>는 수양산 권역에서 벗어나 읍치(邑治) 중심의 승경 재편(再編) 결과로 부용당, 영해루, 백림정과 읍성 주변의 탁열정, 해운정 등의 누(樓)·정(亭)·당(堂)의 읍치 내외 누정이 명실상부한 해주의 승경으로 부상되었을 뿐 아니라 완사석, 비류담, 석빙고, 봉대, 탁마지, 읍수, 부용당, 해운정의 지당과 중도의 형태, 다양한 형상의 선박, 특산주 등 해주를 대표하는 세부 경물을 담고자 한 치밀함이 드러난다. <해주팔경도>에 묘사된 풍경은 해주목의 유서 깊고 탁월한 명소가 대부분이지만 일상 생활과 관련된 생활경(生活景)의 모습도 적절히 안배되었다. 또한 탁족(濯足), 조어(釣魚), 표모(漂母), 상련(賞蓮), 송객(送客), 주유(舟遊), 음주(飮酒), 망해(望海), 완월(玩月), 사예(射藝), 시작(詩作), 음다(飮茶), 가무(歌舞) 등 다채로운 풍류 행위를 담고 있다. 고팔경과 비교해볼 때 해주팔경은 4계절 경관 배분을 고려치 않았을 뿐 아니라 소상전형(瀟湘典型)의 결속성 또한 와해(瓦解)되었다. 해운정의 건립과 영해루의 퇴락(頹落) 시기에 착안할 때 <해주팔경도>는 18세기 초·중반에 제작된 것으로 조심스럽게 추정된다. <해주팔경도>는 관념적 이상향에서 벗어나 명승고적과 풍물 등 해주의 대표적 풍광을 골라 보여줌으로써 지역민에게 친밀감을 강화시키고 해주인(海州人)으로서의 긍지를 진작(振作)시키는 데 이바지한 그림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fers the origin and production period of the , which is in the Onyang folk museum, th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Haeju Palgyeong and exploration of the landscapes and traditions contained in the painting. The first collection of landscapes to Haeju was identified as Haeju Palgyeong by Ku Sa-meng (1531-1604). Yoo Man-ju, writing in 1782, referred to it as Go-palgyeong in 『Heumyeong』 while Haeju Palgyeong was defined as Geum-palgyeong (今八景), which is the Haeju Palgyeong in the earliest period confirmed by literature. is 'Boating on the Nam river (南江泛舟)', 'Lotus viewing at Buyongdang (芙蓉賞蓮)', 'Foot washing at Gwangseokcheon (廣石濯足)', 'Seokbyul at Haeunkyo (泣川送客)', 'Fishing at Haeunjeong (東亭釣魚)' and 'Sea view at Namsan( 南山望海)', and the final two contain a picture that contains 'Viewing the moon at Yeonghaeru (瀛海玩月)' and 'Writing contest and Archery at Baeklimjeong (栢林觀德)' The Suyang Chaemi(首陽採薇), Shingwang-jeoljeol (神光霽雪), and Jiseong falls (池城瀑布) of Gopalgyeong, which were excluded from Haeju Palgyeong, are all landscapes unfolding as a grand site of Suyangsan Mountain. is a result of the reorganization of Seunggyeong centered on Eupchi (邑治), away from the Suyangsan area. It has emerged as a seunggyeong of Haeju. The elaborateness of trying to contain the detailed prizes representing Haeju, such as the specialty sake of Haeju, is revealed. Most of the landscapes depicted in are historic and outstanding spots in Haemok, but the scenes of life related to daily life are properly arranged. In addition, Foot washing (濯足), Fishing(釣魚), Doing laundry (漂母), Lotus viewing (賞蓮), Sending guests (送客), Drinking (飮酒), sea viewing (望海), Moon viewing (玩月), Archery (射藝), Poetry (詩作), Drinking tea (飮茶), and Dancing (歌舞) are of various styles. Compared with the Gopalgyeongs, Haeju Palgyeong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distribution of landscapes in the four seasons, and the small-sized view was also broken. When considering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Haeunjeong and the deterioration of Yeonghhoeru, it is believed that was produced in the early- to mid-18th century. is considered to be a painting that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the sense of intimacy with the local people and promoting the pride of Haeju by showing the representative scenery of Haeju, such as scenic spots and customs, away from the ideal utopia.

키워드

참고문헌

  1. 具思孟, 「八谷集」 「海州八詠 次七峯韻」
  2. 權燮, 1715, 「遊行錄」 「西行追記」
  3. 金楺, 「儉齋集」 「重修栢林亭記」
  4. 金 忠甲, 「龜巖集」 「首陽瀛海樓 次使相韻」
  5. 李 世仁, 「續東文選」 「次瀛海樓韻」
  6. 李 承召, 「三灘集」 「鳳池樓」
  7. 朴承任, 「嘯皐集」 「題笑蓉堂契會圖」
  8. 徐邁修, 「海營日記」
  9. 兪晩柱, 「欽英」
  10. 尹斗壽, 「梧陰遺稿」 「次瀛海樓韻」
  11. 「日省錄」
  12. 曺偉, 「梅溪集」 「海州鳳池樓」
  13. 車天輅, 「五山集」
  14. 洪敬謨, 「冠巖全書」 「碧城記」
  15. 洪敬謨, 「冠巖全書」 「芙蓉堂西小室記」
  16. 洪彦弼, 「默齋集」
  17. 「大東地志」
  18. 「東國通鑑」
  19. 「世宗實錄地理志」
  20. 「新增東國輿地勝覽」
  21. 「輿地圖書」
  22. 「昌原俞氏 族譜」 「附記」
  23. 「海州邑誌」
  24. 「海州誌」
  25. 국립중앙박물관, 2019, 「한국서화도록 27집 :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2」.
  26. 김칠용, 2004, 「새로 복원된 부용당」, 「민족문화유산」 통권 13호, 평양: 조선문화보존사, p.27.
  27. 김하라, 2011, 「兪晩柱의 「欽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김하라, 2020, 「유만주(兪晩柱)의 해주(海州) : 「흠영(欽英)」에 나타난 18세기 해주의 역사지리학」, 「한국한문학연구」 77호, pp.183~221.
  29. 노재현, 2013, 「傳統 景觀의 原型으로 본 瀟湘八景의 形式과 構造」, 「온지논총」 No.34, pp.115~160.
  30. 노재현.서효석.한상엽.최종희, 2016, 「탁영.탁족의 문화 변용을 통해 본 정원 유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1), pp.97~106.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1.097
  31. 노재현.손희경.김홍균, 2016, 「<영사정팔경도(永思亭八景圖)>와 팔영시로 본 영사정팔경의 경관 구조와 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5(2), pp.58~68. https://doi.org/10.14700/KITLA.2017.35.2.58
  32. 노재현.신상섭.2010, 「국가 지정 문화재 '명승'의 유형과 팔경(八景), 동천구곡(洞天九曲)과의 연관성」, 「문화재」 43(1), pp.128~159. https://doi.org/10.22755/kjchs.2010.43.1.128
  33. 노재현.이규완, 2010, 「부여팔경으로 본 백제 사비시대 장소와 경물의 회고(懷古) 관성(慣性)」,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pp.14~28.
  34. 민족문화사 편, 1998, 「한국민속대사전 (민족 문화역사 편)」, 민중서관, pp.722~723.
  35. 박명도, 2012, 「해주팔경도에서 이곳 선비들의 만남과 헤어짐을 보다」, '風流 - 선비, 바람에 실려' 기획전, 온양민속박물관, pp.18~31.
  36. 박해훈, 2017, 「한국의 팔경도」, 소명출판사, pp.11~15.
  37. 생명의숲 국민운동, 2007, 「역주 조선의 임수」, 지오북, pp.795~807.
  38. 여상진, 2013, 「18C 末 황해감사 徐邁修의 집무와 해주목 관영 시설의 이용 : 「海營日記」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9), pp.4244~4252. https://doi.org/10.5762/KAIS.2012.13.9.4244
  39. 이상희, 1999, 「꽃으로 본 한국 문화 3」, 넥서스, p.323.
  40. 이원복, 2002, 「竹堂 申濡의 畵境」, 「미술자료」 68, 국립중앙박물관, pp.59~79.
  41. 전경욱, 2012, 「한국의 전통 연희」, 도서출판 학고재, p.310.
  42. 제송희, 2016, 「조선 후기 관원 행렬의 시각화 양상과 특징」, 「정신문화연구」 39(3), pp.7~48.
  43. 최기수, 2004, 「제50호 발간 기념 논설 (1) : 자연에서 얻는 삶과 지혜 - 八景과 九曲」,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pp.133~138.
  44. 한국인문과학원 편, 1990, 「조선시대 사찬읍지(私撰邑誌) 33 : 황해도 3」, pp.9, 22.
  4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4」, 웅진출판(주), pp.585~591.
  46. 황석영, 2015, 「장길산 (합본)」, 창비, p.332.
  47. 後藤春彦, 2009, 「生活景とは何か」, 「生活景」, 日本建築學會, 京都: 學藝出版社, pp.23~36.
  48. 국가지식포럼 북한지역정보넷 http://cybernk.net/infoText/InfoAdminstList.aspx?mc=AD0102&direct=1&ac=A05
  49. 국가지식포럼 북한지역정보넷 유물유적관 http://www.cybernk.net/infoText/InfoRelicDetail.aspx?mc=DR0102&sc=A405250&ti d=DR010200010686&direct=1
  50.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10554_00
  51. 나무위키 https://namu.wiki/w/%ED%95%B4%EC%A3%BC%EC%8B%9C
  52. 냉면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https://cafe.daum.net/nangsamo
  53. 다음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24h3736b004
  54.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소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55.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9A%A9%EB%8B%B9
  56. 이코노미톡뉴스 (시대정신 시대정론) http://www.econotalking.kr/news/articleView.html?idxno=151911
  57. 평화문제연구소 http://www.ipa.re.kr
  58. 한국고전번역원 https://db.itkc.or.kr
  59. 한국관광공사 http://kto.visitkorea.or.kr
  6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2295
  61. 해주최씨 대종회 http://www.haejuchoi.or.kr/skin/sub_page.php?page_idx=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