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본 연구는 2018년도 성신여자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 강인자.김혜연(2005). 제주도 초등학교 학생의 생활시간 사용 및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1-19.
- 강현구.정수지.이순형(2014).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수면시간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청소년의 유형별 학업시간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44-146.
- 계승희(2019). 한국 청소년의 아침결식과 체질량지수 및 건강 관련 요인: 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5), 1263-1281.
- 고선강(2017). 아동의 수면시간과 수면시간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가족특성과 아동의 생활시간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141-159.
- 고충숙(2012).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30, 8-36.
- 기은광(2018). 전업주부의 일-생활 균형.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
- 기은광(2019). 청소년의 일생활균형- 중고등학생 청소년의 평일 생활시간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019 가정학분야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 김경민.조은영.송지은(2018). 부모의 감독과 과잉간섭이 아동.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9(1), 7-32.
- 김도연.양혜정(2014).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변화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의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5(3), 169-197.
- 김성은.김준엽(2019).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X: 데이터분석보고서-청소년 생활시간 유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김외숙(2017). 청소년의 시간사용 및 시간부족감의 변화 : 2004년과 2014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4), 35-59.
- 김외숙.박은정(2012). 한국과 미국 고등학생의 생활시간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4), 119-13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4.119
- 김정운.박정열.손영미.장훈(2005).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 2(3), 29-48.
- 김주희.이기영(2015)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101-125.
- 김태명.이은주(2017).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청소년학연구, 24(3), 313-333.
- 나영주.황진숙.이은희.고선주.박숙희(2005). 청소년 생활시간의 내용과 유형에 따른 인터넷 이용. 대한가정학회지, 43(12), 15-28.
- 박재홍.유소이(2017). 가구 유형별 청소년의 아침식사 행태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8(2), 329-340. https://doi.org/10.7856/kjcls.2017.28.2.329
- 박정윤.전유진(2016). 청소년 자녀의 생활시간 사용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35-47.
- 배한진.진미정(2019). 학원 심야교습시간 제한 조례가 고등학생의 학원교습시간 및 수면시간에 미친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30(1), 219-250.
- 백병부.황여정(2011). 일반계 고등학생의 유형별 학습시간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적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60, 57-85.
- 서종수.이미영(2016). 비영리기관 종사자의 일-생활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2), 57-74.
- 서지원(2015). 맞벌이 가정의 시간사용 실태와 시간빈곤.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 소수연.안지영.양대희.김경민(2014). 초기 청소년기의 변화에 대한 부모-자녀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청소년.부모 FGI를 중심으로 -. 청소년상담연구, 22(1), 247-279.
- 손보영.김수정.박지아.김양희(2012). 바람직한 부모 양육태도가 초기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 적응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성차비교. 한국청소년연구, 23(1), 149-173.
- 송유진(2013). 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문화, 25(3), 31-53.
-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 유철현.한성호.박영진.박주성.김종은(2006). 컴퓨터 이용시간과 청소년 비만관의 상관관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6(4), 207-212.
- 이향미.정혜원(2020). 청소년의 독서활동, 진로성숙도, 자기주도학습의 종단적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중등교육연구, 68(2), 389-412.
- 장석진.송소원.조민아(2012).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19(5), 161-187.
- 정은주(2014).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청소년 생활시간 추이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조수경.이소연(2020).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한국청소년연구, 31(1), 5-32.
- 조영희(2010). 일-가정양립정책을 바라보는 생활과학적 관점에 대한 일고.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 조윤정.황준현(2017). 청소년의 규칙적 아침식사를 위한 수면 관련 요인 분석.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0(3), 317-324. https://doi.org/10.15434/KSSH.2017.30.3.317
-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8). 건강가정론. 서울: 신정.
- 조희금.서지원(2009).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 균형을 위한 가정생활 영역의 정책적 요구: 자녀돌봄 및 가사노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61-81.
- 진미정(2008).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 문화, 20(3), 187-211.
- 최정아(2014). 초기 청소년기 공격성의 발달적 변화와 가족 영향 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14(2), 294-305.
- 최효임.김성일(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한국청소년연구, 40, 57-92.
- 하문선(2017). 청소년의 생활시간 사용 종단적 변화와 가정환경, 정서행동문제 간 관계. 청소년학연구, 24(3), 25-59.
- KBS뉴스(2020.8.3.). 한국 청소년 평균 수면 7시간 18분 OECD 평균보다 1시간 적어. https://world.kbs.co.kr/service/news_view.htm?lang=k&Seq_Code=361273에서 2020.08 인출.
- Chatzitheochari, S., & Arber, S.(2012). Class, gender and time poverty: a time-use analysis of British workers' free time resources.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63(3), 451-71. https://doi.org/10.1111/j.1468-4446.2012.01419.x
- Dockery, A., Li, J., & Kendall, G.(2016). Sole-parent work schedules and adolescent wellbeing: Evidence from Australia. Social Science & Medicine, 168, 167-174.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6.09.019
- Kuhnle, C., Hofer, M., & Kilan, B.(2012). Self-control as predictor of school grades, life balance, and flow in adolescen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533-548. https://doi.org/10.1111/j.2044-8279.2011.02042.x
- Martin, M., Lippert, A., Chandler, K., & Lemmon. M. (2018). Does mothers' employment affect adolescents' weight and activity levels? Improving our empirical estimates. SSM - Population Health 4, 291-300. https://doi.org/10.1016/j.ssmph.2018.03.003
- Miller, A., & Han, W.,(2008). Maternal nonstandard work schedules and adolescent overweight.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8(8), 1495-1502. https://doi.org/10.2105/AJPH.2007.123885
- Onwuegbuzie, A., Collins, K., & Frels, P.(2013). Foreword: Using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to frame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ple Research Approaches, 7(1), 2-8. https://doi.org/10.5172/mra.2013.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