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Landscap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lan in the Seonwonjeon of the Deoksugung Palace

덕수궁 선원전(璿源殿)영역의 조경 복원정비 계획

  • So, Hyun-S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 Kim, Mi-Jeong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소현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김미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21.07.25
  • Accepted : 2021.09.17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e Seonwonjeon(璿源殿) in the Deoksugung Palace was initially the ritual space for the royal family affiliated with the Gyeongungung Palace during the Korean Empire. It is currently, however, empty, as a landscap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lan is established as a part of the restoration project for the Seonwonjeon are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of the original form and examination of similar cases. First, the original topography of the backside grove, which had been in the Seonwonjeon area, is 3.0-5.0m higher than the base of the building, and a terraced flower bed(花階) was installed on the border of the green to set off the difference in a scenic way. Second, the backside grove was composed with fruit trees to bear fruits used in rites and pine trees which symbolize the ritual space. Third, resting places were established at both ends of the site for the convenience of visitors without interrupting the atmosphere of the sacred ground. A trail was also created inside the backside grove along with minimum landscape elements, including functionally required items, such as the signboard, bench, tree guard, ramp, street lights, and landscaping lights. Fourth, the information on original planting in the palace and ritual space was extracted through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literatures, antique paintings, and photographs along with site surveys. Based on the information acquired, a planting plan was established for the courtyard, pedestrian road, resting places, terraced flower bed, pine grove, and fruit tree garden, which constitute the landscaping space of the Seonwonjeon area.

대한제국 시기 경운궁에 부속된 왕실의 제례공간이었으나 현재 비어있는 덕수궁 선원전영역의 복원 사업으로서 조경 복원정비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원형 고증과 유사 사례 고찰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선원전영역에 있었던 전각 배후림의 원지형이 전각의 지반보다 3.0~5.0m 높아서 녹지 경계부에 화계를 설치하여 경관적으로 처리하였다. 둘째, 배후림은 제례에 사용하는 과실을 얻기 위한 유실수원과 제례공간을 상징하는 소나무림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궁궐 방문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성역(聖域)의 분위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부지 양쪽 끝에 휴게공간을 배치하고, 배후림 내에 산책로를 도입하였으며, 최소한의 조경시설로서 기능적으로 요구되는 안내판, 휴게의자, 수목보호대, 경사로, 보행등·경관조명등을 도입하였다. 넷째, 문헌, 고회화, 사진 등 사료(史料) 고찰과 현장 조사로 궁궐과 제례공간의 기존 식재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원전영역 조경공간을 구성하는 전각 마당, 관람로와 휴게공간, 화계, 소나무림, 유실수원의 배식계획을 수립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재청(2005). 「덕수궁 복원정비 기본계획」.
  2. 문화재청(2014). 「덕수궁 선원전 복원정비 기본계획」.
  3. 문화재청(2019). 「덕수궁 선원전영역 학술조사연구용역(건축, 미술사)」.
  4. 문화재청(2016). 「덕수궁 조경 정비 기본 계획」.
  5. 이강근(2010). 조선후기 선원전의 기능과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강좌미술사 35(-): 239-268.
  6. 박상희(2003). 경운궁 선원전 터 보전을 위한 건축 설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문화재청(2020). 「덕수궁 선원전영역 조경 복원정비 종합계획 연구」.
  8. 김영모, 이선, 진상철, 장종수(2004). 화성 행궁의 식생경관 복원을 위한 고증과 복원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39-53.
  9. 김충식, 정슬기(2018). 경복궁 경회루 권역의 식생경관원형과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6(6): 17-25. https://doi.org/10.9715/KILA.2018.46.6.017
  10.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 홈페이지 (http://www.deoksugung.go.kr).
  11. 안계복, 이원호(2014). 조선시대 궁궐정원의 원형경관 복원을 위한 제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10-20.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3.010
  12. 만선출판협회(1919). 「선철연선(명소, 사적, 미술)대관」.
  13. 나라문화재연구소(奈良文化財研究所) 소장 1915년 측도 경성(1915) .
  14.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www.museum.go.kr/).
  15. 서울역사박물관 유물관리과(2006). 「서울지도」, 예맥출판사.
  16. 오다 쇼고(小田省吾)(1938). 「덕수궁사」, 근택상점(近澤商店), 학국학중앙연구원 학국학도서관 소장.
  17. 문화재청 수리기술과(2021). 「문화재수리업무편람」, (주)계문사.
  18. 궁능유적본부 훈령 제21호, 궁능유적본부 기본운영규정(2021.5.1.)
  19. 한국고전종합DB(https://db.itkc.or.kr).
  20.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오례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
  21. 남경공학원건축계 곡부문물관리위원회(南京工學院建筑系, 曲阜文物管理委員會(1987). 「곡부공묘건축(曲阜孔廟建築)」, 중국건축공업출판사.
  22.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동궐도 .
  23.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www.gogung.go.kr).
  24. 정우진(2016). 중건 경복궁 후원 오운각 권역으로 조명한 조선시대 궁궐 별원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3): 1-17.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3.001
  25.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https://nl.go.kr/news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