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ollective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1.10.11
  • Accepted : 2021.10.27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effect of reminiscence-based collective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among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study was conducted on 30 volunteers with dementia aged 65 or older attending the S Weekly Care Center located in S-gun as subjects during the period between November 7, 2020 and January 2, 2021 with one session week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SPSS 24.0 statistics program has been used for various data analyses, including confidence verification, cross tabu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3×2 multi-variant analysis, and the intergroup independent sample T-test between the group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llective art therapy based on reminiscence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with dementia. Second, the collective art therapy based on reminiscence therapy is effective in promo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elderly with dementia. Third, the collective art therapy based on reminiscence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among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se study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provided an informative basic data on the reminiscence-based collective art therapy.

본 연구는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S군 S노인요양시설에 입소 중인 65세 이상의 치매노인 총 28명을 대상(실험군 14명, 대조군 14명)으로 2020년 11월 14일 부터 2021년 3월 6일 까지 주1회씩 16회기를 걸쳐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2×2 혼합변량분석, 대응표본 T-test, 집단 간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들의 우울과 의사소통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2020), 고령자통계, 2020.
  2. 박운제(2017), "치매환자 특성의 추이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202-209.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02
  3. 단정와, 이재모(2006), "집단요법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의사소통증진에 미치는 효과," 노 인복지연구, 제33권, pp.71-102.
  4. 권대순(2013), "노인 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공격행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양원영, 전순영(2011),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의사소통과 정서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18권, 제6호. pp.1303-1323. https://doi.org/10.35594/KATA.2011.18.6.007
  6. 정향미(2003),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 매체에 관한 연구", 표현예술심리치료협회 자격증 청구논문.
  7. 양한연(2008), "집단미술치료가 치매 노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제13권, 제2호, pp.107-129.
  8. 김서현, 홍선미(2018), "명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제25권, 제6호, pp.729-748. https://doi.org/10.35594/KATA.2018.25.6.001
  9. 하혜미, 최은영, 전종국(2012),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 거주 경증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2호, pp.405-421.
  10. 윤영옥, 김동연(2006), "치매환자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 연구," 미술치료연구, 제13권, 제1호, pp.115-141.
  11. 조영숙(2008), "감각활동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기억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정현희, 인은지(2017), "실제적용 중심의 노인미술 치료(2판)", 서울: 학지사.
  13. 박선영, 김선희(2014),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21권, 제1호, pp.165-182.
  14. 진성희(2009), "집단미술치료가 경증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제9권, 제1호, pp.153-172.
  15. Quackenbush SW, Barnett MA.(1995), "Correlates of Reminiscence Activity among Elderly Individuals", INTL J of Aging & Human Development, vol.41, No.2, pp.15-20, 1995.
  16. Fry, P. S.(1983), Structured and unstructured reminiscence training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Clinical Geront. vol.1, pp.15-37. https://doi.org/10.1300/J018v01n03_06
  17. 김영숙, 도복늠(2005), "회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제12권, 제2호, pp.483-500.
  18. 김안젤라(2003), "회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보건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선명(2015),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자기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22권, 제2호, pp.603-634.
  20. Zung. W. W. K.(1974), "Depression status inventory and self-rating depression scale note 1974, in Ward, M.J. & Lindenman, C.A., Instruments for measuring nursing practice and other health care variables,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Vol. 1, pp.200-204,
  21. Holedn, U. P., Sinebruchow. L.(1979), "A Validation of Reality Orientation Therapy for Use with the elderly, Dementia and. Communication, Vol. 28, No.2, pp.99-105.
  22. Sherer, M., Maddux, J. E., Merc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 Rep, vol.5, 663-671.
  23. 서현미(2001),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모형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Lyubomirsky, S. & Lepper, H.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46, No.2, pp.137-155. https://doi.org/10.1023/A:1006824100041
  25. 윤지선(2012), "통합적 치료프로그램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주관적 행복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21 세기사회복지연구, 제9권, 제1호, pp.121-141.
  26. 임지숙(2004), "노년기의 자기고양적 편향, 생애사건 해석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김현민, 전순영(2012), "회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5호, pp.1289-1312.
  28. 박현철(2009), "기억력회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의사소통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제9권, 제1호, pp.1-21.
  29. 안솔잎(2016),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사회 경증치매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오영이, 이숙민(2016),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보호시설 경증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연구, 제1권, 제2호, pp.79-86. https://doi.org/10.21186/IPR.2016.1.2.079
  31. 이기문(2014), "회상요법 집단미술치료가 요양원거주 경증치매노인의 정서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