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규모 건설사업의 프로그램 관리 전략 - 용산공원 조성사업의 초기단계 프로그램 관리를 중심으로-

  • 이우연 (국토교통부 용산공원조성추진단) ;
  • 현창택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
  • 최재현 (한국기술교육대 건축공학부)
  • 발행 : 2021.10.20

초록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영태(2016), 용산공원 조성에 따른 근대건축물의 활용방안 연구-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홍렬(2018), 용산국가공원 조성 추진을 위한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축 모형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박영순(2019), 용산공원 조성을 위한 참여 거버넌스 구축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온누리, 손민수, 김홍석(2010), 권역별 용산공원 조성의 환경편익 추정,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5권 제5호.
  5. 이우연(2021), 건설프로그램 종결단계 업무 프로세스 기반의 CPCP-RACI 모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정다운, 김흥순(2009), 용산공원 조성방향에 대한 서울 시민의 의식조사, 서울도시연구, 제10권 제2호.
  7. 최혜영(2020), 용산공원 조성 과정의 리질리언스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CMAA (2021), Construction Management Standards of Practice.
  9. FMI (2007), Practice Makes Perfect, FMI Quarterly Issue 4.
  10. ISO 21503 (2017), Project, programme and portfolio management - Guidance on programme management.
  11. PMI (2017), The Standard for Program Management (SPgM), 4th Edition.
  12. Thiry, M. (2015), Program management, Gower Publishing Company.
  13. Thomsen, C., Sanders, S. (2011), Program Management 2.0, FAIA, FCM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