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Example Spaces Constructed by Students in Learning the Area of a Trapezoid based on Dienes' Theory of Learning Mathematics

Dienes의 수학학습이론에 따른 사다리꼴의 넓이 학습에서 학생들이 구성한 예 공간 분석

  • Received : 2021.10.18
  • Accepted : 2021.10.29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The area of a trapezoid is an important concept to develop mathematical thinking and competency, but many students tend to understand the formula for the area of a trapezoid instrumentally. A clue to solving these problems could be found in Dienes' theory of learning mathematics and Watson and Mason' concept of example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area of the trapezoid. This study analyzed the example spaces constructed by students in learning the area of a trapezoid based on Dienes' theory of learning mathema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ample spaces for each stage of math learning constructed by the students were a trapezoidal variation example spaces in the play stage, a common representation example spaces in the comparison-representation stage, and a trapezoidal area formula example spaces in the symbolization-formalization stage. The type, generation, extent, and relevance of examples constituting example spaces were analyzed, and the structure of the example spaces was presented as a map. This study also analyzed general examples, special examples, conventional examples of example spaces, and discussed how to utilize examples and example spaces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area of a trapezoid.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appropriate to apply Dienes' theory of learning mathematics to learning the are of a trapezoid, and this study can be a model for learning the area of the trapezoid.

사다리꼴의 넓이는 수학적 사고와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다수의 학생은 사다리꼴의 넓이 공식을 도구적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를 Dienes의 수학학습이론과 Watson과 Mason의 예 공간 개념에서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다리꼴의 넓이 교수학습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Dienes의 수학학습이론에 따른 사다리꼴의 넓이 학습에서 학생들이 구성한 예 공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이 구성한 수학학습단계별 예 공간은 놀이 단계의 사다리꼴 변형에 대한 예 공간, 비교·표현 단계의 공통점 표현에 대한 예 공간, 기호화·형식화 단계의 사다리꼴 넓이 식에 대한 예 공간이었다. 단계별 예 공간을 구성하는 예의 종류, 생성, 비중, 관련성을 분석하고 예 공간의 구조를 맵으로 도식화하였다. 단계별 예 공간의 일반적인 예, 특수한 예, 관례적인 예를 분석하고 실제 사다리꼴의 넓이 교수학습실행에서 예와 예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Dienes의 수학학습이론에 따른 사다리꼴의 넓이 학습수행의 유의미함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내용은 사다리꼴의 넓이 학습의 한 모델이 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봉, 김정하(2015).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25(3), 461-472.
  2. 권민서(2018). 초등 수학 영재 학급 학생의 수학적 내용 위계화의 특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3. 교육부(2019). 2015 개정 수학 교과서 5-1(초판). 서울: 교육부.
  4. 교육부(2015). 2009 개정 수학 교과서 5-1(초판). 서울: 교육부.
  5. 교육부(2011). 2007 개정 수학 교과서 5-1(초판). 서울: 교육부.
  6. 김상화, 방정숙, 정유경(2013). 평면도형의 넓이 수업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해결 방법에 근거한 교사의 형식화 도출 과정 분석. 학교수학, 15(4), 847-866.
  7. 김수미(2008). Zoltan Dienes의 수학학습 6단계 이론의 재음미. 학교수학, 10(3), 339-355.
  8. 김정하(2000). Dienes의 수학학습 원리와 구체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9. 김현진(2009). Dienes의 수학교육관에 입각한 놀이학습에 관한 수업 방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10. 나귀수(2012). 초등학교 학생들의 넓이 개념 이해도 조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3), 451-469.
  11. 방신영(2013). 스핑크스퍼즐의 삼각형 배열 찾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특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2. 오민영(2020). Dienes의 수학학습이론에 따른 사다리꼴의 넓이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학생들의 예 공간 구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13. 오민영, 이미림, 이윤기, 김남균(2019). 다각형 넓이 지도를 위한 삼각형 직소교구의 과제개발 연구. 2019 수학교육관련학회 연합국제학술대회, 2, 369-371.
  14. 오민영, 이윤기, 김남균(2020). 삼각형 직소 교구와 과제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국제수학교육학술대회 프로시딩. 294-297.
  15. 유상휘, 송상헌(2013). 사다리꼴 넓이 구하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과 유추적 사고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3(2), 253-267.
  16. 이선영(2006). 초등학생의 평면 도형 넓이 공식 구성 활동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7. 이종욱(2006). 예비초등교사의 사다리꼴 넓이 표상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수학교육, 45(2), 177-189.
  18. 이근범, 이경화(2016). 예 구성 활동을 통한 암묵적 지식의 현시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18(3), 571-587.
  19. 이승연(2011). Dienes의 수학교육관에 입각한 수학교구 활용방안.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 임아름, 박영희(2011). 개방형 교수법에 따른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연구: 평행사변형, 삼각형, 사다리꼴, 마름모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361-383.
  21. 정경순, 임재훈(2011). 직사각형, 평행사변형, 삼각형 넓이 공식에 내재된 관계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이해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1(2), 181-199.
  22. 정영우(2015). 사다리꼴 넓이 공식의 변환에 관한 연구. 영남수학회, 31(2), 167-188.
  23. 정지현(2014). Dienes의 수학학습 6단계 이론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4. Diens, Z. P.(1960). Building up mathematics. London: Hutchinson Educational, 31-48.
  25. Mason, J. Pimm, D. J(1984). Generic examples: Seeing the general in the particular.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5, 277-289. https://doi.org/10.1007/BF00312078
  26. Dienes, Z. P.(2000). The theory of the six stages of learning with integers. Mathematics in School, 29(2), 27-32.
  27. Mason, J., Stephens, M., & Watson, A.(2009). Appreciating mathematical structure for all.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1(2), 10-32. https://doi.org/10.1007/BF03217543
  28. Watson, A., & Mason, J.(2015). 색다른 학교 수학(이경화, 옮김). 서울: 경문사. (원서출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