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ethods of Collecting Records for COVID-19 Archives

COVID-19 아카이브를 위한 기록 수집 방안 연구

  • 심지연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 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21.09.30
  • Accepted : 2021.10.26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COVID-19 Archives are some of the Disaster Archives. It is necessary to collect disaster records produced in real-time at the disaster scene rather than start collecting records after the disaster recovery. Therefore, this study summarized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disaster archive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COVID-19 archives and examined overseas disaster archive collection policies that can be referenced in establishing a COVID-19 archive collection policy. In addition,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institutions that establish and operate related archives at home and abroad. As a result, record collection Improvement plans for the COVID-19 archive were proposed: Firstly, in terms of collection policy improvements, the essential elements identified in the survey were selected as additional collection policy elements. Secondly, diversification of participants' groups requires the introduction of clear definitions of collection targets, diversification of promotional methods such as recording record contents through collaboration with related departments, and improving copyright issues that limit record donation. Thirdly, participatory record collection methods with efficient questionnaires in participatory forms and privacy issues are proposed as improvement plans.

COVID-19 아카이브는 재난 아카이브의 일종으로서 재난에 관한 기록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재난 발생과 복구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생산되는 기록을 수집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COVID-19 아카이브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재난 아카이브 관련 정의와 목적을 정리하고, COVID-19 아카이브 수집 정책 수립에 참고가 될 수 있는 해외 재난 아카이브 수집 정책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외에서 관련 아카이브를 구축·운영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 정책과 수집 방법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존재함을 인식하고 COVID-19 아카이브를 위한 기록 수집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수집 정책 수립을 위해 설문조사에서 확인된 보편적인 요소들을 추가적으로 제안할 수집 정책 요소로 선정하였다. 둘째, 참여자 집단의 다양화를 위해 수집 대상의 명확한 정의 도입과 유관 부서와의 협력을 통한 기록콘텐츠 제작 등 홍보 방식의 다각화, 기록기증에 제한이 되는 저작권 관련 사항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셋째, 참여형 기록 수집 방식의 도입과 이에 따른 참여양식의 효과적인 설계, 개인정보보호 관련 사항의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중앙도서관 (2020). 국립중앙도서관 웹자원 수집 지침.
  2. 김신권 (2021). 감염병과 대유행: 인문 의학적 관점. 문화와 융합, 43, 35-54.
  3. 김원제 (2003). 한국사회 위험 (Risk) 의 특성과 치유. 사회연구, 4, 169-196.
  4. 김현정 (2017). 재난기록의 웹 아카이빙에 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2), 27-56. http://dx.doi.org/10.14404/JKSARM.2017.17.2.027
  5. 김학래 (2020). "코로나-19: 우리의 기억":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과 사회변화에 대한 디지털 아카이브.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4), 229-236. http://dx.doi.org/10.14404/JKSARM.2020.20.4.229
  6. 박진경, 김유승 (2017).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 219-243.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7.28.2.219
  7. 박찬희 (2019). 재난 아카이브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8. 서울특별시 (2020). 서울시 COVID-19 백서
  9. 송주형 (2015). 구술을 통한 재난 사고의 기록화 세월호 참사 관련 구술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4, 155-197. http://dx.doi.org/10.20923/kjas.2015.44.155
  10. 신동희, 김유승 (2016).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 정책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 1-30. http://dx.doi.org/10.14404/JKSARM.2016.16.3.001
  11. 안병우 (2015). 세월호 사건 기록화의 과정과 의의. 기록학연구, 44, 217-241. https://doi.org/10.20923/kjas.2015.44.217
  12. 양상미 (2008). 대학기록관 기록물 수집 정책의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13. 유신성, 오효정 (2021). 재난백서 구축을 위한 온라인 기록물 활용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1(2), 135-154. http://dx.doi.org/10.14404/JKSARM.2021.21.2.135
  14. 유호선, 오효정 (2018). 이슈 생존 주기 모형 기반 재난 아카이브 수집 방안. 정보관리학회지, 35(2), 115-139. http://dx.doi.org/10.3743/KOSIM.2018.35.2.115
  15. 이미영 (2009). 재해지역의 기록화 사례 연구: 한신 아와지 대지진 기록관리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21, 85-116. https://doi.org/10.20923/kjas.2009.21.085
  16. 정혜지 (2016). 미국 9.11 메모리얼의 재난기록물 수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17. 정혜지, 이승휘 (2018). 미국 9.11 메모리얼의 설립과 재난컬렉션 수집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55, 235-273. http://dx.doi.org/10.20923/kjas.2018.55.235
  18. 주강원 (2014). 재난과 재난법에 관한 소고. 홍익법학, 15(2), 415-439. http://dx.doi.org/10.16960/jhlr.15.2.201406.415
  19.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용어사전. 서울 : 역사비평사.
  20. 한순미 (2020). 재난과 교차하는 서사: 역사 기록 속 재난 읽기의 방법. 인문연구, 90, 35-64. http://dx.doi.org/10.21211/JHUM.90.2
  21. 한희정, 강주연, 김용, 오효정 (2017). 자동수집 기반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 아카이브 설계 및 구축전략.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4), 127-154. http://doi.org/10.14404/JKSARM.2017.17.4.127
  22. 홍승혜, 박길성, 김영선, 강수환 (2020). 넘치는 백서, 부족한 백서: 위험의 사회적 추적으로서 메르스 백서를 진단한다. 한국사회, 21(1), 3-34. https://doi.org/10.22862/KJSR.2020.21.1.001
  23. 홍영의 (2015). 4.16 참사 기억.기록운동의 전개과정과 의미: 2014년 '세월호 참사'시민기록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한국학논총, 43, 293-322.
  24. Adams, B., & Milstein, D (2021). Improvisation, Design, and Sociality during the Pandemic: A Conversation with Denise Milstein from the New York City COVID-19 Oral History, Narrative and Memory Archive. Design and Culture, 13(1), 43-52. http://dx.doi.org/10.1080/17547075.2020.1871557
  25. Lee, A. P., & Springer, K. (2020). Socially Engaged Oral History Pedagogy amid the COVID-19 Pandemic. The Oral History Review, 47(2), 227-239. http://dx.doi.org/10.1080/00940798.2020.1793678
  26. Neatrour, A. L., Myntti, J., & Wittmann, R. J. (2020). Documenting contemporary regional history: the Utah COVID-19 digital collection. Digital Library Perspectives.
  27. Rivard, C. J. (2012). Archiving Disaster: A Comparative Study of September 11, 2001 and Hurricane Katrina . Doctoral dissertation, UC Santa Cruz,
  28. Rivard, C. J. (2014). Archiving disaster and national identity in the digital realm. In Identity technologies: Constructing the self online.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32-143.
  29. Shigeo Sugimoto (2014). Digital archives and metadata as critical infrastructure to keep community memory safe for the future - lessons from Japanese activities, Archives and Manuscripts, 42(1), 61-72. http://dx.doi.org/10.1080/01576895.2014.893833
  30. Tebeau, M. (2021).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Rapid-Response Archiving Meets the Pandemic. Collections: A Journal for Museum and Archives Professionals, 1550190620986550. http://dx.doi.org/10.1177/1550190620986550
  31. The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 Museum at the World Trade Center Foundation (2018). COLLECTIONS MANAGEMENT POLICY.
  32. Wheelock, H., Dickson, M., & Barrett, E. (2020). The threads of history: why record your pandemic experiences for the RCPI archive?. Irish Journal of Psychological Medicine, 1-2. http://dx.doi.org/10.1017/ipm.2020.48
  33.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2013).国立国会図書館東日本大震災アーカイブ構築プロジェクトの基本的な方針.
  34.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2013). 東日本大震災アーカイブ収集等実施計画.
  35. 국가위기관리 기본지침. 대통령훈령 제 229호.
  36.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법률 제 17698호.
  37. 국가기록원, 감염병 사상 첫 '코로나19 백서' 만든다. (2020. 12. 30). 동아일보. 출처: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01230/104696614/1
  38. 화성시문화재단 도서관, '코로나19 아카이브' 사업 성황리 마무리. (2021. 3. 2). 뉴스와이어. 출처: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919244
  39. 5천만 사망한 '스페인 독감'에서 코로나19를 읽는다. (2020. 03. 31). 동아일보. 출처: https://www.hani.co.kr/arti/animalpeople/human_animal/935006.html
  40.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http://www.kdca.go.kr/contents.es?mid=a40509010000
  41. Pandemic Influenza Storybook https://www.cdc.gov/publications/panflu/index.html
  42. The Deadly Virus: The Influenza Epidemic of 1918 https://www.archives.gov/exhibits/influenza-epidemic/
  43. The American Influenza Epidemic of 1918-1919: A Digital Encyclopedia https://www.influenzaarchive.org/
  44. Global Health Events web archiv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outbreak https://www.nlm.nih.gov/webcollecting/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