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지방자치단체 단위과제 운영 지원도구 개발 연구

Research on Development of Support Tools for Local Government Business Transaction Operation Using Big Data Analysis Methodology

  • 김다빈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정보기록학) ;
  • 이은정 (한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 류한조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투고 : 2021.09.30
  • 심사 : 2021.10.23
  • 발행 : 2021.10.31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위과제 현황, 단위과제 운영 및 기록관리 관점의 문제점을 조사 및 분석하여 그 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들을 기반으로 텍스트 기반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방자치단체는 단위과제의 오분류로 인한 보존기간 책정 오류, 과공통사무와 기관공통사무의 유형식별 불가, 단위과제의 과대·과소·중복생성의 오류, 단위과제 명칭의 오류, 참고 가능한 표준의 부재, 통제 가능한 시스템 또는 도구의 부재 등으로 인해 기록관리 운영상 심각한 상태에 놓여 있다. 그러나 단위과제의 수가 약 72만개로 지나치게 많은 수량 때문에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실정이며, 따라서 엄밀하고 통제할 수 있는 도구 및 표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술 중 텍스트기반 분석 도구인 코퍼스와 토큰화 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기록관리기준표를 구성하고 있는 명칭 및 구성용어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단위과제 운영 지원도구는 통일성 있는 보존 기간 책정, 위임사무 기록물 식별, 중복·유사단위과제 생성 통제, 공통 과제의 표준적인 운영 등을 지원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어 기록관리 업무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지원도구가 BRM 및 RMS 등과 연계할 수 있다면 기록관리기준표 관리 업무의 품질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unit tasks, unit task operation, and record management problems used by local governments, and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using text-based big data technology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process. Local governments are in a serious state of record management operation due to errors in preservation period due to misclassification of unit tasks, inability to identify types of overcommon and institutional affairs, errors in unit tasks, errors in name, referenceable standards, and tools. However, the number of unit tasks is about 720,000, which cannot be effectively controlled due to excessive quantities, and thus strict and controllable tools and standards are need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developed a system that applies text-based analysis tools such as corpus and tokenization technology during big data analysis, and applied them to the names and construction terms constituting the record management standard. These unit task operation support tools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record management tasks as they can support standard operability such as uniform preservation period, identification of delegated office records, control of duplicate and similar unit task creation, and common tasks. Therefore, if the big data analysis methodology can be linked to BRM and RM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the record management standard work will increase.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2021년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연구개발사업"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1. 국가기록원 (2007). NAK-P-2009-08 단위과제 보존기간 책정조정 지침.
  2. 국가기록원 (2014). 지방자치단체 기록관리기준표 표준.
  3. 국가기록원 (2018). NAK 34:2018(v1.0) 교육(행정)기관 공통 단위과제 분류기준 및 보존기간 책정기준.
  4. 국가기록원 (2020). 중앙행정기관 단위과제 정비 매뉴얼.
  5. 국가기록원 (2020). 기록물 관리지침(공통 매뉴얼).
  6. 국가기록원 (2021). NAK 4:2021(v2.2) 기록관리기준표 작성 및 관리절차.
  7. 국가기록원 (2021). NAK 29-4:2021(v1.1) 영구기록관리시스템 데이터연계 기술규격: 제1부 기능분류시스템과의 연계.
  8. 김수현, 이영준, 신진영, 박기영 (2019). 경제 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한국은행.
  9. 김인택, 안대진, 이해영 (2017).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능형 기록관리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4), 225-250.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4.225
  10. 김화경, 김은주 (2014). BRM 운영을 위한 단위과제 정비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99-219.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4.199
  11. 류한조, 이경남, 황진현, 임진희 (2021). 지능형 문서처리 도입과 기록관리 변화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68, 41-72.
  12. 박대민 (2016). 뉴스 기사의 자연어처리. 커뮤니케이션 이론, 12(1), 4-52.
  13. 설문원 (2013a). 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231-254.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3.231
  14. 설문원 (2013b). 기록분류를 위한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적용 구조 및 운용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23-5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4.023
  15. 오효정 (2019). QFD 기반 공공기관 기록관 서비스 품질 비교 및 개선방안. 기록학연구, 61, 119-156. https://doi.org/10.20923/kjas.2019.61.119
  16. 정상희 (2016). 광역지방자치단체 단위과제 운영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9, 327-359. https://doi.org/10.20923/kjas.2016.49.327
  17. 정상희 (2020). 지방자치단체 기록분류체계 개선방안 연구 : 지방 BRM 정책영역 '지역및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