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Use and Degree of Discomfort of Informatization Device Among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Disabilities

장애여부에 따른 노인의 정보화기기 사용 및 불편함

  • Kim, Hee-You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Honam University)
  • 김희영 (호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1.11.23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use and inconvenience of informatization devices according to the disability of the elderly. A total 10,097 data from the elderly survey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possession and use of information devices, usage capabilities, and injustice according to disability.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ability-related characteristics.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informatiz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usage ability and information device usage inconvenience according to disability. The p-value was set at 0.001.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n Korea had lower smartphones and tablet PCs than the non-disabled elderly. In terms of daily inconvenience,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often responded that they had no experience or did not know about the inconvenience of online reservations for trains/high-speed buses/intercity buses, ordering kiosks at restaurants, using ATMs, or reducing bank stores. Taken together, the ability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n Korea to possess and use informatization devices is very low and they feel more inconvenience than the non-disabled elder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bility to possess and use informatization devices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n the rapidly progressing aging of the disabled and the informatization of our society.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장애여부에 따른 정보화기기의 사용과 불편함을 알아보는 것이다. 노인실태 조사 자료에서 총 10,097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 여부에 따른 정보화기기 보유와 사용, 사용역량, 불v편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장애관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시행하였다. 장애 여부에 따른 정보통신기기 사용능력, 정보화기기 이용시 불편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p값은 0.001로 정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장애 노인은 비장애 노인에 비해 스마트폰, 태블릿 PC보유율과 사용률이 더 낮았고, 일상생활에서 메시지 받기, 메시지 보내기, 정보검색 및 조회,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동영상 보기에서 활용능력이 저조하였다. 일상에서의 정보화기기 사용불편함을 조사하였을 때 장애 노인은 기차/고속버스/시외버스 온라인 예매, 식당 등에서 키오스크 주문, ATM사용 또는 은행점포 감소로 느끼는 불편함에 대해 비장애 노인에 비해 경험이 없거나 모른다고 응답하는 경우가 많았고 불편함 없이 이용하는 경우는 적었다.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국내 장애 노인의 정보화기기 보유, 사용능력은 비장애 노인에 비해 저조하며 일상에서는 정보화기기 사용에 더 큰 불편을 느끼고 있다.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장애인의 고령화와 우리 사회의 정보화의 상황에서 장애 노인들의 소외를 막고 알맞은 교육과 지원을 통해 정보화기기의 사용능력 증진과 불편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성호, 현승혜(2014). 노인의 정보기술 이용 여부와 이용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71(1): 85-110.
  2. 배영, 오정연, 이삼열, 이영범(2009). 정보화 정책을 통한 정보화의 개념. 서울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0). 2020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4.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2019). 2019한국미디어패널조사결과주요내용. 1-11. https://portal.kocca.kr/portal/bbs/view/B0000204/1940800.do?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0247&categorys=4&subcate=58&cateCode=0&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option1=&option2=&year=&categoryCOM062=&categoryCOM063=&categoryCOM208=&categoryInst=&morePage=&delCode=&qtp=&pageIndex=1 2021.10.09.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9).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통계정보 보고서. http://www.google.com/url?esrc=s&q=&rct=j&sa=U&url=http://kostat.go.kr/portal/korea/kor_pi/8/7/index.board%3Fbmode%3Ddownload%26bSeq%3D%26aSeq%3D351208%26ord%3D4&ved=2ahUKEwiv65yX5-TzAhXK62EKHalwBS8QFnoECAQQAg&usg=AOvVaw2jYgvBviEqkqi4s4TlXTND
  6. 황남희, 김혜수, 김경래, 주보혜, 홍석호, 김주현(2020). 노년기 정보 활용 현황 및 디지털 소외 해소 방안 모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2046.
  7. 문진영, 정순둘(2020). 노인의 정보접근성 강화 방안 연구. 보건사회연구, 40(2): 283-320. https://doi.org/10.15709/HSWR.2020.40.2.283
  8. 유용식(2021).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이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2): 213-222.
  9. 이복자, 명승환(2010). 노인의 정보화인식과 인터넷활용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3(4): 151-179.
  10. 이윤정(2013). 노인의 정보기기 접근 수준이 정신건강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10): 17-29.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0.017
  11. 박소영, 정순둘(2019).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 접근성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9(3): 179-214. https://doi.org/10.15709/HSWR.2019.39.3.179
  12. 경기복지재단(2013). 장애 노인 복지 프로그램 참여자 삶의 변화연구: 객관적 해석학 방법을 활용하여. 경기복지재단.
  13. 남궁현경, 김일호, 천희란(2017). 서울시 고령자의 정보격차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4): 73-81. https://doi.org/10.14400/jdc.2017.15.4.73
  14. 김판수, 김희섭, 이미숙(2014). 고령층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이용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9(8): 197-205. https://doi.org/10.9708/jksci.2014.19.8.197
  15. 문진영, 정순둘(2020). 노인의 정보접근성 강화 방안 연구. 보건사회연구, 40(2): 283-320. https://doi.org/10.15709/HSWR.2020.40.2.283
  16. 보건복지부(2020).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 보고서.
  17. 보건복지부(2020).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결과보고서.
  18. 장석준(2016). 노년층 디지털 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11(2): 149-170.
  19. 김희영(2021). 노인의 라이프케어와 웰니스를 위한 자원봉사활동 참여요인의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5(3): 269-278.
  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0). 웹접근성 실태조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