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oard Games in 'Nonsan, Finding Lost Treasure'

'논산, 잃어버린 보물을 찾아서' 보드게임 개발 연구

  • Received : 2021.11.23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oard games using local cultural contents. As a prior study related to this study, basic research on board game development, research on cultural products based on cultural heritage, and storytelling development research using local cultural and tourism resources were considered. Among them, for the main purpose of board games and development process,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the research methodology of Lee Dae-woong and Oh Seung-taek (2004).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successfully proceed with planning meetings, proposal preparation, board game design, board game 3D graphic production process, and prototype development. What is peculiar is that characters (dried persimmons, strawberries, jujube, and salted seafood) containing Nonsan's unique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searched and utilized. In addition, major cultural heritages such as Donamseowon Confucian Academy and Gwanchoksa Temple, designated as Nonsan-si cultural properties, were combined with important treasure hunt contents of board games to enhance interest and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e theme of this paper, Nonsan, Finding Lost Treasure, is a new educational alternative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computer games, and has the advantage of having the nature of community leisure play, not individual play. Based on this board game development research in the future, we intend to expect the results of game production using cultural elements from other regions.

본고는 지역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보드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로서 보드게임 개발의 기초연구 및 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문화 상품 관련 연구 그리고 지역의 문화관광자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개발 연구 등을 고찰하였다. 그 중 주목적인 보드게임의 및 개발 과정을 위해 이대웅·오승택(2004)의 연구방법론 기대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획회의, 제안서 작성, 보드게임 설계와 보드게임 3D 그래픽 제작 과정, 프로토타입 개발 등을 성공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 특이할 점은 논산의 독보적인 지역 특성을 담은 캐릭터(곶감, 딸기, 대추, 젓갈)를 탐색하여 활용하였다. 또한 논산시 문화재로 지정된 돈암서원과 관촉사 등 주요 문화유산을 보드게임의 중요한 보물찾기 내용으로 접목시켜서 흥미성과 교육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었다. 본고의 주제인 '논산, 잃어버린 보물을 찾아서'라는 보드게임 놀이는 컴퓨터 게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용 대안으로 교육적 기여도가 높으며 개인의 놀이가 아닌 공동체적 여가놀이의 속성이 지녔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향후 이 보드게임 개발 연구를 토대로 다른 지역의 문화요소를 활용한 게임제작의 결과물을 기대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양집.강승우.송득섭(2013).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한국전통 보드게임 설계 및 개발,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7권10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2294-2300. https://doi.org/10.6109/jkiice.2013.17.10.2294
  2. 박성남.조남옥.양지웅(2019). 보드게임을 활용한 부모교육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5권1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77-97.
  3. 박경민.손명희(2019),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가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23권1호,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47-60.
  4. 이대웅.오승택(2004). 보드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소프트웨어미디어연구, 2004권2호, 상명대학교 소프트웨어 미디어연구소, 1-21.
  5. 김민우.이원호.박재완(2013). 아날로그와 디지털 게임을 통합하는 하이브리드 보드게임 개발과 이의 활용 -모노폴리 보드게임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12권5호, 디자인융복합학회, 273-287.
  6. 이동연(2011). 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 충남의 문화유산을 테마로 한 보드게임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디자인학연구 5권2호,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39-48.
  7. 임지원(2021). 복합기제텍스트의 확장 의미에 대한 수용자의 인지적 재구성: 서사적 미디어표현을 활용한 의사소통 교육을 위해,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7-143.
  8. 심상민(2017). 지역문화콘텐츠 확보와 성공적 문화도시 육성, 인문과학연구 35권0호,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29.
  9. 이학주(2015). 지역향토자원을 활용한 관광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개발 연구, 인문과학 57권,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9-237.
  10. 조창희(2006). 지역문화콘텐츠와 지역산업 개발, 인문콘텐츠8호, 인문콘텐츠학회, 5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