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헤테로토피아로 본 영화 <창>의 공간구조 분석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Movie Viewed as a Heterotopia

  • 태지호 (안동대학교 사학과) ;
  • 김대근 (신한대학교 미디어언론학과)
  • Tae, Ji-Ho (Department of History,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Dae-Keun (Department of Media & Mass Communication, Shinhan University)
  • 투고 : 2021.11.23
  • 심사 : 2021.12.27
  • 발행 : 2021.12.31

초록

본 연구는 1997년 개봉한 임권택 감독의 영화 <창>에 나타난 공간 구조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화의 공간은 등장인물의 성격과 특징을 포함하여 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당대의 현실 및 외재적 상황을 파악하게 해주는 영화적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공간 개념을 활용하였다. 헤테로토피아 개념은 당대의 성격을 규정하면서, 우리 삶을 둘러싼 자본과 권력, 제도와 규범이 공간을 통해 어떻게 가시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 속에서 본 연구는 우선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그 함의에 대해서 다루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영화 <창>의 공간이 헤테로토피아로 논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영화 <창>의 공간은 일탈의 헤테로토피아, 저항 불가능성의 헤테로토피아, 경계의 헤테로토피아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영화의 대사, 장면, 편집 등과 같은 영화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병행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영화 <창>에 드러나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우선 영화 <창>에서의 여성들은 수동적으로 재현되며, 헤테로토피아의 경계를 부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영화 <창>은 역사와 기억을 동시에 재현하고 있으며, 그 경합의 장으로서 헤테로토피아를 제시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of director Im Kwon-taek's film , which was released in 1997. The space of the film contain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nd allows us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reality and extern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charact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Michel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The concept of heterotopia defines the character of the era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how capital, power, institutions and norms surrounding our lives are being visualized through spac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first dealt wit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Michel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and its meaning. And through this,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the space of the film can be defined as a heterotopi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ilm's dialogue, scenes, and editing, the space of the film was divided into a heterotopia of deviation, a heterotopia of resistance impossibility, and a heterotopia of boundaries. The meaning of the film obtained through this analysis is as follows. The woman in the film is passively represented and floating on the border of heterotopia. And the film represent history and memory at the same time, and presents a heterotopia as the arena of competi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감사원 "Y2K" 정부대응 미진" 종합대책반 확대개편 권고 1999.01.08. 한겨레신문 2면
  2. 밀레니엄버그 보상 보험상품 나온다. 경향신문 1998. 05.02. 8면.
  3. Foucault, M..(1994). Les Heterotopies. 이상길 역 (2014). 「헤테로토피아」. 서울. 문학과지성사. 12-13.
  4. 백로라(2012). 홍상구 영화에 재현된 '서울'의 공간적 의미. 「한국문학 이론과 비평」 16(3).
  5. 김필남(2009). '부산영화'로 보는 부산 공간의 의미. 「로컬리티 인문학」 2.
  6. 계윤경(2016). <외박>과 <카트>의 여성노동운동과 공간. 「현대영화연구」 12(1).
  7. 김대근(2016). 영화 <서부전선>에 재현된 헤테로토피아: 그 생성과 소멸의 구조. 「영화연구」 68.
  8. Foucault, M..(1969). L'Archeologie de Savoir. 이정우 역 (2000). 「지식의 고고학」. 서울. 민음사. 157.
  9. Foucault, M..(1975). Surveiller et punir : Naissance de la prison. 오생근 역 (2003). 「감시와 처벌 : 감옥의 역사」. 경기. 나남. 222.
  10. Foucault, M..(1994). Les Heterotopies. 이상길 역 (2014). 「헤테로토피아」. 서울. 문학과지성사. 13.
  11. 허경(2013). 서구근대도시 형성의 계보학: 미셸 푸코의 도시관. 「도시인문학연구」 5(2). 16.
  12. Foucault, M..(1994). Les Heterotopies. 이상길 역 (2014). 「헤테로토피아」. 서울. 문학과지성사. 47.
  13. Foucault, M..(1994). Les Heterotopies. 이상길 역 (2014). 「헤테로토피아」. 서울. 문학과지성사. 49-57.
  14. Foucault, M..(1994). Les Heterotopies. 이상길 역 (2014). 「헤테로토피아」. 서울. 문학과지성사. 22.
  15. Foucault, M..(1994). Les Heterotopies. 이상길 역 (2014). 「헤테로토피아」. 서울. 문학과지성사. 18-19.
  16. Foucault, M..(1994). Les Heterotopies. 이상길 역 (2014). 「헤테로토피아」. 서울. 문학과지성사. 53.
  17. Foucault, M..(1994). Les Heterotopies. 이상길 역 (2014). 「헤테로토피아」. 서울. 문학과지성사. 16.
  18. Foucault, M..(1994). Les Heterotopies. 이상길 역 (2014). 「헤테로토피아」. 서울. 문학과지성사. 50.
  19. Foucault, M..(1994). Les Heterotopies. 이상길 역 (2014). 「헤테로토피아」. 서울. 문학과지성사. 56-57.
  20. Sabat, M.(2012). From Red Light to Black Light. City. 16(1~2):158-171. https://doi.org/10.1080/13604813.2012.663555
  21. 오유석(2009). 동대문 밖 유곽-'청량리 588' 공간 구성의 역사와 변화. 「서울학연구」 36. 102-103.
  22. 오유석(2009). 동대문 밖 유곽-'청량리 588' 공간 구성의 역사와 변화. 「서울학연구」 36. 103.
  23. 女性의 侮辱을 一掃할 '公娼' 廢止法令. 동아일보 1947. 10.30. 2면.
  24. 媒介한 者엔 懲役도 淪落行爲등 防止法公布. 경향신문 1961. 11.09. 3면.
  25. 시내淪落街 淨化 포주등 告發 善道사업펴. 동아일보 1980.09.13. 6면.
  26. 정성일 대담, 이지은 자료정리(2003). 「임권택이 임권택을 말하다」. 현실문화연구. 172.
  27. 김정선(2017). 임권택 감독의 시선을 통해 (재)발견되는 부산의 로컬리티. 「동북아 문화연구」 53. 173.
  28. 태지호(2013). 문화적 기억으로서 향수 영화가 제시하는 재현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7(6). 2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