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Image and Awareness of Safe Restaurant Signs on Behavior Intention

안심식당 표지판에 대한 이미지와 인지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Kim, Yoon-Seo (Department of Foodservice and Culinary Management, Kyonggi University) ;
  • Shin, Hyoung-Chul (Department of Foodservice and Culinary Management, Kyonggi University)
  • 김윤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외식조리관리학과) ;
  • 신형철 (경기대학교 관광문화대학 외식조리전공)
  • Received : 2021.09.23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atering companies in line with the new normal in the era of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age and awareness of signs for safe restaurant on behavioral intentions. As a result of testing the hypothe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mage of the sign for the safe restaura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gnition. Second, the image of the safe restaurant sig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awareness of the signs for the safe restaura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Fourth, tru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Fifth, it was found that the image and awareness of the sign in the safe restauran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Sixth, it was found that the image of the sign at the safe restaurant and the awareness of the sign at the safe restaurant completely mediate trust an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need for publicity activities to raise awareness of the safe restaurant certification and the importance of giving trust to consumers.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시대 뉴노멀에 맞춘 외식업체가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심식당 표지판에 대한 이미지와 인지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첫째, 안심식당 표지판에 대한 이미지는 인지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심식당 표지판에 대한 이미지는 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안심식당 표지판에 대한 인지도는 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뢰는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안심식당에 표지판에 대한 이미지와 인지도는 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안심식당에 표지판에 대한 이미지와 안심식당 표지판에 대한 인지도는 신뢰를 완전 매개하여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안심식당 인증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홍보 활동의 필요성 및 소비자에게 신뢰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식품외식경제. (사)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코로나19 대처요령 포스터 제작.배포.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20.02.14.
  2. 안지영, 조미희(2020).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레스토랑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령별, 외식동반인 유형에 따른 차이 분석-. 호텔리조트연구, 19(6): 201-218.
  3. 세계일보. 외식업계, 앱 개발.로봇 활성화로 '비대면' 서비스 강화. https://www.segye.com/newsView/20200827509829?OutUrl=naver/ 2020.08.27.
  4. 식품음료신문. '코로나' 비상 사태...대처.지원에 바쁜 식품.외식업계. http://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633/ 2020.03.03.
  5. 신주희. 식사문화 개선과제 실천 안심식당, 총 1만 6000여 개소 지정,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79344/ 2020.10.30.
  6. 농림축산식품부. 안전한 식사 문화 개선에 앞장서는 우수 지자체 6곳 선정.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63638/ 2021.07.27.
  7. 장예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안심식당. 남원시 사회. https://www.wikitree.co.kr/articles/677384/2021.08.19.
  8. 이현숙. 더 안전하게, 더 촘촘하게...코로나 시대 광진형 '안심식당'. 서울&. https://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7421.html/ 2020.10.22.
  9. 고대승, 이동욱(2005). 국내 인증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139-149.
  10. 김민석, 김주형, 김재준(2011). 국내 녹색건축물 인증제도의 개선방향.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1(2): 95-96.
  11. 신영진, 한흥렬(2017). 우리나라의 본인인증제도 개선방안 : 본인인증수단의 보안수준 진단 및 안전성 확보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0(3): 167-192.
  12. 김성혁, 정다운, 김경훈(2012). 친환경농산물 인증마크의 이미지, 인지도, 공신력 및 구매 의도 간 영향관계 분석. 외식경영연구, 15(6): 359-383.
  13. 류인수, 김명희, 이상훈(2018). 한국 술 품질인증제에 관한 연구 -프랑스, 일본,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21(1): 1-29.
  14. 윤지혜, 조순덕, 김서영, 이은주, 박혜경, 김명철, 김건희(2008).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을 위한 영양 및 위생기준 설정에 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7(5): 589-597. https://doi.org/10.3746/JKFN.2008.37.5.589
  15. 최경기, 조민주, 왕태환, 박종환, 서효림(2013). 한국 보건학의 도전과 미래 : 외식업체에 HACCP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외식업체 규모별 시설관리 선행요건의 수행도 평가.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2013(0): 27-27.
  16. 유주연(2014). 해외 친환경레스토랑 인증제도 비교분석 연구. 관광연구저널, 28(9): 85-96.
  17. 조선배(2001). 서비스품질평가와 향상전략 : 주제발표 : 서비스품질인증제도 : 서비스품질 분야 : 숙박산업 및 외식산업의 서비스 표준화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추계 학술발표대회, 0(0): 25-33.
  18. 성미애, 진미정, 장영은, 유재언, 손서희(2021). 가족의 코로나19 관련 정책 인지도, 이용 정도, 이용 만족도 및 요구도. 가족정책연구, 1(1): 3-20.
  19. 이영희, 이승신(2014). 식품업체 및 국가식품 안전정책에 대한 소비자신뢰모형 분석. 소비자학연구, 25(2): 1-20.
  20. 김한결. 코로나19 확산, 외식할 때도 안전하게, 한국농정. http://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4942/ 2021.07.31.
  21. Asada, A., & Ko, Y. J.(2019). Perceived influence of word-of-mouth recommendation on sport-watching behavior: A gender difference perspective. Sport Marketing Quarterly, 28(3): 135-147. https://doi.org/10.32731/smq.283.092019.02
  22. 고동우, 박석희(2002). 관광지의 정서적 이미지 척도 개발 - 순정서적 이미지와 준정서적 이미지. 관광학연구, 25(4): 13-32.
  23. 이도연, 박혜윤(2021). 항공사 승무원의 외적 이미지가 승무원의 인지적 이미지, 항공사의 정서적 이미지 및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9(1): 53-72. https://doi.org/10.30529/AMSOK.2021.19.1.004
  24. 김선정, 이걸재(2017).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의 태도, 재구매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3(3): 125-135.
  25. 신정승(2014). TV 영상매체 속의 커피프랜차이즈 PPL광고가 브랜드 이미지 및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우진(2004). 제품배치(PPL)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과 태도변화에 소비자특성이 미치는 영향, 관여도와 PPL관련 사전정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Nedungadi, P.(1990). Recall and consumer consideration sets: Influencing choice without altering brand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3): 263-276. https://doi.org/10.1086/208556
  28. Hoyer, W. D., & Brown, S. P.(1990). Effects of brand awareness on choice for a common, repeat-purchase prod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2): 141-148. https://doi.org/10.1086/208544
  29. Morgan, R. M., & Hunt, S. D.(1994).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20-38.
  30. Moorman, C., Deshpande, R., & Zaltman, G.(1993). Factors affecting trust in market research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81-101.
  31. 홍차옥(2012). 탁구장 고객의 서비스 공정성과 탁구몰입, 고객신뢰, 고객충성도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김영선(2014). 소비자의 위생인식과 지각된 위험이 브랜드이미지, 고객만족, 고객신뢰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커피전문점 점포형 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문상정, 송정선(2014).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의 가격공정성과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신뢰, 브랜드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사전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29(3): 231-255.
  34. Keller, W.(1998). Are international R&D spillovers trade-related? analyzing spillovers among randomly matched trade partners. European Economic Review, 42(8): 1469-1481. https://doi.org/10.1016/S0014-2921(97)00092-5
  35. Chaudhuri, A., & Holbrook, M. B.(2001).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65(2): 81-93. https://doi.org/10.1509/jmkg.65.2.81.18255
  36. 박상민, 강선아, 이수범(2018). 외식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동이 기업이미지, 기업신뢰도,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21(3): 53-75.
  37. Tseng, S., & Fogg, B. J.(1999). Credibility and computing technology. Communications of the ACM, 42(5): 39-44. https://doi.org/10.1145/301353.301402
  38. Zeithaml, V. A.(198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The Journal of Marketing, 52(3): 2-22. https://doi.org/10.2307/1251446
  39. Ajzen & Fishbein, M.(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Cliffs, NJ : Prentice Hall.
  40. Ajzen, I.(1991).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50(2): 179-2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41. Norman,P., Clark,T., & Walker,G.(2005). The theory ofthe planned behavior, descriptive norms and the moderating role of group identificatio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5(5): 1008-1029.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5.tb02157.x
  42. 강재희, 강진희(2014). 전주 향토음식의 힐링 푸드 이미지가 인지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 29(3): 181-203.
  43. 김성인, 이수범(2015). 외식기업의 스포츠 스폰서십 활동이 스폰서 기업의 이미지, 인지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4(3): 61-80.
  44. 김신애, 권기대, 고삼숙(2020). 농산물 브랜드에서 이미지, 품질, 신뢰, 몰입 및 충성도 간 의향 관계-'예가정성'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8(3): 67-80. https://doi.org/10.18852/BDAK.2020.18.3.67
  45. 김희수, 한수진(2020). 메이크업 전문 뷰티아카데미 교육생들의 관계효익이 뷰티아카데미 브랜드 이미지와 신뢰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융복합연구, 18(5): 221-232. https://doi.org/10.14400/JDC.2020.18.5.221
  46. 민두식(2021). 공공스포츠서비스의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이미지, 신뢰, 구전의도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국민체력100 체력인증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6(1): 31-48.
  47. 이채은(2019). 외식기업의 디지털 넛지(Digital Nudge) 전략,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신뢰, 고객행동의도 간의 구조관계 분석. 외식경영연구, 22(5): 99-120.
  48. 김다영(2017). 디지털 시대,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디지털 콘텐츠 마케팅의 전략 제안. The Journal of Europe Culture Arts, 8(2): 55-75.
  49. 김나형(2017). 외식업체 영양표시에 대한 신뢰와 만족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식공간연구, 12(1): 33-49.
  50. 김신애, 권기대(2019). 농산물 브랜드에서 인지도, 이미지, 관계신뢰 및 충성도 간의 영향 관계.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7(4): 5-18. https://doi.org/10.18852/BDAK.2019.17.4.5
  51. 박철, 최경희(2016). 친환경농산물인증 인지도, 신뢰, 구매의도간의 관계. 경상논집, 36(1): 86-110.
  52. 장병주(2016). 자동차 산업관광을 통해 형성된 브랜드 인지도가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18(6): 61-78.
  53. 황광석, 이운식(2019). 주류 판매업자의 일반적 특성, 윤리의식, 세제인지도가 조세정책의 신뢰성과 제도개선 및 납세순응에 미치는 영향. 세무회계연구, 59: 161-190.
  54. 김동범(2020). 드라이브 스루의 이용 동기가 신뢰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23(5): 455-481.
  55. 박은애(2020). 브랜드 체험, 브랜드 태도, 브랜드 신뢰, 행동 의도 간의 관계 -프리미엄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6(3): 319-341.
  56. 이양주(2020). 합기도장의 교육서비스품질과 서비스가치, 신뢰, 미래행동의도의 구조적 관계. 대한무도학회지, 22(2): 177-190. https://doi.org/10.35277/KAMA.2020.22.2.177
  57. 왕관, 김봉석, 이지연(2021). 참관객의 전시회 가치 인식이 전시회에 대한 신뢰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무역전시연구, 16(2): 85-107.
  58. 류동균(2018). 해외여행상품의 지각된 가치가 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 연구, 17(4): 129-145.
  59. 호효수, 김병수(2020). 중국 공유 자전거 서비스에서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 지각된 가치와 신뢰의 역할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8(7): 167-175. https://doi.org/10.14400/JDC.2020.18.7.167
  60. 김헌철(2021). 광주 오미 향토음식의 이미지가 선호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객과 지역민의 차이. Tourism Research, 46(1): 181-202. https://doi.org/10.32780/KTIDOI.2021.46.1.181
  61. 송광인, 유춘운(2020). 농촌체험마을 서비스품질이 브랜드자산과 고객지향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45(3): 291-317. https://doi.org/10.32780/KTIDOI.2020.45.3.291
  62. 장순옥, 우이식(2015). 향토음식의 인지도와 기호도 및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1(2): 154-17. https://doi.org/10.20878/cshr.2015.21.2.013
  63. 박수미(2017). 항공사 문화마케팅이 기업이미지, 브랜드자산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4. 김선주(2012). 친환경적 소비자특성이 그린마케팅 스포츠용품 기업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5. 허철무(2016). 스포츠용품기업의 친환경 경영활동이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5(6): 845-860.
  66. 박정우, 송필수(2015). 관광산업의 SNS 마케팅 활동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기업 이미지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29(7): 225-239.
  67. 박진표, 전혜진(2021).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의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가 HMR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3(3): 283-300.
  68. 김윤서, 신형철(2020). 친환경 의식과 소비가치, 친환경 브랜드 인지도,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외식경영연구, 23(4): 7-28.
  69. 주은정(2019).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 이용 동기가 레스토랑의 브랜드 인지도와 고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식공간연구, 14(3): 125-141.
  70. 노현지, 구자준(2019). 식품브랜드의 패러디광고 차별성이 브랜드 인지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초조형학연구, 20(1): 159-172
  71. 박상현, 우승정(2021). 스포츠용품 기업의 문화마케팅과 이미지, 행동의도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6(1): 279-290.
  72. 정태린, 전태준(2019). 1인 미디어를 통한 스포츠 신발 수집가의 브랜드 소개를 접한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스포츠 신발 수집가에 대한 신뢰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8(): 133-145.
  73. 김기영, 경수빈(2018). 외식상품의 인증마크이미지, 인지도가 소비자 신뢰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마크 중심으로-. 호텔리조트연구, 17(3): 365-380.
  74. Riel, C., & Ban, A. V. D.(2001). The added value of corporate logos-An empirical stud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5(3/4): 428-440. https://doi.org/10.1108/03090560110382093
  75. Keller, K.(2003). Brand Synthesis: The Multidimensionality of Brand Knowledg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9(4): 595-600. https://doi.org/10.1086/346254
  76. 신형철, 김동진, 김양숙(2017). Impact of Sanitary Grade Card Image and Its Awareness on Consumer's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식공간연구, 12(2): 1-21.
  77. 신형철(2019). 디저트 카페의 물리적 환경과 고객가치, 소비감정, 행동의도 간의 관계연구. 관광경영연구, 23(1): 65-85.
  78. 김동진, 신형철(2019). 베이커리 카페의 환경 단서와 고객접점서비스, 내적반응,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연구. 관광경영연구, 23(2): 701-718.
  79. 조영신, 강경태, 신형철(2018).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과 메뉴 선택속성, 행동의도 간의 관계 연구. 관광경영연구, 22(6): 807-825.
  80. Joseph F. Hair, Jr., Marko Sarstedt, Christian M. Ringle, & Siegfried P. Gudergan(2017). Advanced issues i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aGe publications.
  81. Fornell, C., & Larcker, DF.(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2307/3151312
  82. 이정은, 서경도(2017). 남도전통음식의 인식, 이미지, 태도, 행동의도간의 구조적영향관계: 광 주.전라남도지역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3(4): 65-90.
  83. 김나형(2016).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이 외식영양표시의 인지도,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식공간연구, 11(2): 53-72.
  84. 정진이, 김어지나, 양일선, 함선옥(2015). 외식업체 영양표시제도 시행동기 및 장애 요인, 호텔경영학 연구, 24(1): 227-243.
  85. 정경수. 비대면 경제, 4050이 이끌었다.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804000585/ 2021.08.04.
  86. 배도용, 이병채(2021). 녹색인증제도가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경영경제연구, 43(1): 231-248. https://doi.org/10.22828/MERI.2021.43.1.010
  87. 배종갑. 완주군 코로나19 안심식당 전국 최고 평가. 전북도민일보.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8256/ 2021.07.21.